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히트 상품과 브랜드로 알아보는 중국의 베이커리 시장
  • 트렌드
  • 중국
  • 칭다오무역관
  • 2025-10-29
  • 출처 : KOTRA

2029년 베이커리 시장 규모, 8585억 위안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

버터 떡, 프레첼 등 새롭거나 건강한 맛이 인기, 동시에 가성비 높은 베이커리에 주목

베이커리 시장 규모

 

중국의 소비 수준 상승과 외식 소비 증가에 따라 중국 베이커리 산업의 소비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시장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시장 컨설팅 회사인 iiMedia Research의 발표에 따르면, 2024년 중국 베이커리 소매 시장 규모는 6110억7000만 위안(약 858억 달러)으로, 전년 대비 8.8%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9년에는 시장 규모가 8595억6000만 위안(1207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시장 컨설팅 회사인 홍찬(餐) 빅테이터의 자료에 의하면, 2025년 5월 기준 중국 내 베이커리 매장 수는 총 33만8000개에 달한다.

 

<중국 베이커리 시장 규모>

(단위: CNY 억, %)

[자료: iimedia Research]

 

중국 베이커리 주요 브랜드

 

홍찬(餐) 빅테이터가 소비자 선호도, 검색지수,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운영 현황, 온라인 투표 등을 종합해 2025년 3월 ‘2025년 중국 베이커리 TOP10 브랜드’를 발표했다.

 

1위를 차지한 ‘하오리라이(好利)’는 수입산 동물성 생크림 및 천연 원료를 사용하고, 방부제 무첨가를 추구하는 등 고품질 베이커리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4위를 차지한 루시허(溪河)’는 서양식 재료인 치즈, 크림, 초콜릿 등과 중국 식재료를 결합유니크한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루시허의 뒤를 이어 5위를 차지한 바오스푸가오뎬(鲍师傅糕点)’도 지속적으로 창의적인 제품을 개발하고 있으며, 그중 고기 가루가 들어간 마들렌 모양의 케이크인 '러우쏭샤오베이(肉松小)'연간 판매량이 1억2000만 개를 넘었다.

 

<2025년 중국 베이커리 TOP10 브랜드>

 순위

브랜드명

회사명

브랜드 로고

특징

1

 하오리라이

(好利)

베이징하오리라이식품

(北京市好利食品有限公司)

수입산 동물성 생크림, 천연 원료 사용, 방부제 무첨가 등 고품질 레서피를 고수해 단가가 높은 편임

2

싱푸시빙

(幸福西)

선전싱푸시빙식품

(市幸福西食品有限公司)

냉장 유통 배송 서비스를 주력으로 하며, 온라인 주문 비중이 60%에 달함

3

원조푸드 GANSO

(元祖食品)

상하이원쭈멍

(上海元祖果子股有限公司)

선물용 고급 제품을 주력으로 하며, 중국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사업을 확대하고 있음

4

루시허

(溪河)

루시허식품(그룹)

(溪河食品(集)有限公司)

저당·저지방 제품 비중이 40%를 넘으며, 가성비 높은 제품을 주력으로 하고 있음

5

바오스푸가오뎬

(鲍师傅糕点)

베이징바오차이성외식관리

(北京管理有限公司)

즉석 판매를 핵심 특징으로 하며, 모든 매장은 전면 제품 디스플레이, 후방 주방 구조를 채택해 소비자가 제품 제작 과정을 직접 확인할 수 있음

6

첸지

(仟吉)

우한시첸지식품

(市仟吉食品有限公司)

자체 농장, 중앙 공장, 전 매장 직영의 전(全) 산업 체인을 보유하고 있음. 주로 ‘저유·저당·무첨가’ 제품을 판매 중임

7

메이신시빙

(美心西)

메이신식품(광저우)

(美心食品(广州)有限公司)

개방형 주방과 즉석 제조 방식을 도입했으며, 홍콩식 베이커리 식품을 주력하고 있음

8

브레드토크

(面包新)

상하이신위베이커리식품

(上海新面包食品有限公司)

중앙 공장에서 생산한 냉동 반죽을 매장에서 조리하는 방식을 사용해 제품 신선도를 보장함. 2025년 저당 시리즈 판매량이 전년 대비 35% 증가함

9

파파탕토스트

(爸爸糖吐司面包)

장쑤바바탕외식관리

(爸爸糖餐管理有限公司)

유통기한이 하루인 즉석에서 구운 수제 토스트를 핵심으로 함

10

쿠모쿠모

(KUMO KUMO)

상하이원다오브랜드발전(그룹)

(上海文道品牌()有限公司)

수입 원료 사용을 고수하며, 즉석에서 구운 치즈케이크가 주력 제품임. 치즈케이크의 매출 비중이 70%를 넘음

[자료: 홍찬() 빅테이터, KOTRA 칭다오무역관 정리]

 

베이커리 히트 상품: 버터 떡과 프레첼

 

1. 찹쌀 식감과 버터 풍미의 조합, 버터 떡(油年糕)

 

일부 베이커리 브랜드들이 2025년 춘절 기간 동안 버터 떡(年糕) 시즌 한정으로 판매했다. 이 버터 떡은 중국 떡의 찹쌀 느낌과 서양 버터의 고소한 풍미를 결합한 제품으로, 2025년 초부터 선풍적인 인기를 끌기 시작해 여러 프랜차이즈 베이커리에서 판매하기 시작했다.

 

중국식 쿠키인 궁정타오수(廷桃酥)를 시그니처 메뉴로 하는 안후이성 허페이(合肥) 기반의 베이커리 브랜드인 ‘잔지(詹)’는 2025년 2월 말부터 버터 떡을 출시했으며, 인기 있는 매장에서는 주말 하루에 300 세트가 판매되기도 했다. 또한, 주요 베이커리 브랜드 중 하나인 ‘루시허(溪河)’는 2025년 3월 치즈 버터 떡 제품이 출시 43일 만에 2000만 개가 판매됐다고 공식 SNS 계정에 발표하기도 했다.

 

대부분의 프랜차이즈 베이커리에서 판매하는 버터 의 개당 가격은 보통 2위안에서 3위안 사이다. 포장 개수에 따라 가격 차이가 있지만 ,한 세트 가격은 보통 20위안을 넘지 않는다.

 

<중국 SNS에서의 버터 구매 후기>


[자료: 餐O2O(음식O2O)]

 

2. 심플하면서 건강한 맛, 프레첼(水面包)

 

중국 소비자들의 저당·저지방 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프레첼(水面包)의 장점이 부각되고 있다. 전통적인 프레첼은 밀가루, 물, 소금, 식용 탄산수소나트륨 등 네 가지 기본 원료만 사용하며, 제조 과정에서 방부제나 인공 향료를 첨가하지 않아 현대인의 건강한 식습관 요구에 부합한다. 재료가 간단하면서 건강한 맛을 주는 프레첼의 특징이 소비 증가를 직접적으로 견인하고 있다.

 

펑파이 뉴스(彭拜新) 보도에 따르면, 2025년 5월 중국의 유명 인플루언서 동위후이(董宇)의 3회에 걸친 더우인(중국판 틱톡) 라이브 커머스에서 총 65만 개의 프레첼이 판매됐다. 

 

<프레첼>

[자료: 하오칸스핀(好看视频)]

 

또한, 시장조사 컨설팅 회사인 Nint 컨설팅의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중국의 주요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프레첼(水面包)의 판매액은 전년 대비 각각 약 400~500%에 달하는 성장세를 기록했다. 아래 표에서 '전통 전자상거래 플랫폼'은 우리나라의 쿠팡과 같은 징동, 티몰 등을 나타내며, '콘텐츠 전자상거래 플랫폼'은 인스타그램과 비슷한 기능을 가진 더우인, 샤오홍슈(小红书) 등을 의미한다.

 

<2024프레첼 판매액 전년 대비 증가율>

(단위: %)

[자료: Nint 컨설팅]

 

베이커리 히트 브랜드: 가성비로 승부하는 스더우촨(十豆川)과 다위런자(大豫人家)

 

최근 몇 년간 비(非) 1선 도시를 중심으로 ‘전 품목 9.9 위안 균일가’를 내세운 베이커리 브랜드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해당 브랜드들은 전 품목 9.9위안실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공장에서 미리 반제품을 생산해 매장에서 단순 가공·판매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스더우촨 슈퍼 베이커리 공장(十豆川超糕工)’과 다위런자 슈퍼 베이커리 공장(大豫人家超烘焙工)등 브랜드가 있다. 이들은 임대료가 낮고 유동 인구가 적당한 아파트 단지 주변이나 학교 인근에 매장을 운영해 비용을 절감하고, 공급망 및 생산 관리 최적화를 통해 효율을 높이고 있다.

 

1. 스더우촨(十豆川)

 

<스더우촨 매장 및 제품 이미지>

[자료: 취안추홍베이즈난(全球烘焙指南), 중국기업가일보(中家日)]

 

스더우촨(十豆川)은 2020년 안후이성에서 시작한 ‘슈퍼형 베이커리 공장’을 콘셉트로 한 베이커리 프랜차이즈다. 창업 1년 만에 전국에 40여 개 매장이 생겼고, 현재 전국에 140개 이상의 매장을 보유해 업계 신흥 강자로 떠오르고 있다. 스더우촨은 ‘전 품목 균일가 9.9위안’을 핵심 전략으로 삼아 고품질이면서 합리적인 가격의 베이커리를 주력으로 하며, 크림 케이크, 에그 타르트, 초콜릿 파이, 크로와상 등 50종 이상의 다양한 제품을 보유하고 있다.

 

스더우촨은 저가 판매 외에도 ▲효율적인 원가 구조, ▲저가 소매 운영 경험자를 중심으로 한 3선 도시 확장, ▲입소문 마케팅이 사업 성장의 기반이 됐다. 전체 제품의 약 70%가 사전 가공돼 매장에서 간단한 처리만으로 판매가 가능해 인건비가 50% 절감된다. 또한, 대량 구매를 통한 원재료 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

 

가맹점주는 주로 조이밍() 등 간식 할인업계 종사자들을 중점 유치하고, 이들의 저가 소매 운영 노하우를 활용해 매장을 쉽게 확장할 수 있었다. 가성비를 중시하는 소비자들이 많고, 임대료와 운영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소도시를 공략했기에 3선 도시 이하의 지역 매장이 60% 이상을 차지한다.

 

아울러, 매장 간판을 노란색으로 하고, ‘전 품목 9.9 위안’라는 슬로건을 직관적으로 보여줘 소비자들의 구매 결정을 유도했다. 온라인에서는 더우인을 통해 매장 대기 행렬 장면을 확산시키고, 샤오홍슈 이용자의 후기(일부 부정적 평가 포함)를 활용해 화제성을 높여 브랜드 인지도를 더욱 확대하고 있다.

 

2. 다위런자(大豫人家)

 

<다위런자 매장 및 제품>

[자료: 다중뎬핑(大)]

 

다위런자(大豫人家)는 2024년 허난성 상추(商丘)시를 기반으로 설립된 베이커리 프랜차이즈다. 스더우촨과 비슷한 사업 모델로 중앙 공장에서의 사전 제조와 매장에서의 가공 방식을 통해 품질과 가격의 균형을 실현했으며, 전 품목 9.9위안 균일가 전략으로 극대화된 가성비를 추구한다.

 

2024년 첫 매장 오픈 이후 상추(商丘), 정저우(州) 등지에서 빠르게 확장했으며, 2025년 현재 허난성 외에도 안후이성, 산둥성, 산시성(山西), 장쑤성 등 전국 단위로 매장이 확대됐다. 3선 및 3선 이하 도시의 매장이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하며, 2025년 8월 기준 총 27개의 매장을 운영 중이다.

 

빵, 케이크, 과자 등 50종 이상의 제품을 취급하며, 그중 버터 챔피언 토스트, 밀크폼 치즈케이크 등이 가장 인기가 많다. 또한, 저당 호밀 토스트, 프로바이오틱 빵 등 건강 제품도 함께 출시해 다양한 소비자 요구를 충족하고 있다. 2025년에는 식물성 베이커리 제품과 프로바이오틱 치즈케이크를 선보였으며, 건강 카테고리 제품 비중을 20%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위런자는 상추(商丘)와 정저우(州)에 두 개의 생산 기지를 운영하고 있으며, 전자동 생산라인과 스마트 설비를 도입해 원재료부터 완제품까지의 전 과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중국의 주요 유업 브랜드 하나인 멍뉴(蒙牛)와 협력해 고급 중국산 치즈 등 원료를 도입함으로써 제품 품질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수입 의존도를 낮췄다.

 

시사점

 

칭다오에 거점을 둔 베이커리 프랜차이즈인 D사의 관계자는 칭다오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9.9 위안 베이커리 브랜드의 지속적인 발전은 제품의 맛 품질에 달려 있다"고 밝혔다. 그는 소비자들이 베이커리 제품을 선택할 때 맛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하고, 브랜드가 만족스러운 맛을 제공하지 못하면 일시적인 관심은 얻을 수 있으나 재구매로 이어지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또한, "9.9 위안 베이커리 모델이 시장에 안정적으로 자리 잡기 위해선 시간이 필요하다"라고 평가했다. "제품 포지셔닝이 상이하므로, 이러한 저가 브랜드의 출현이 자사 매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라고 덧붙였다.

 

또한, 그는 최근 베이커리 업계에서 클린 라벨(Clean Label)’ 트렌드가 확산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는 소비자들이 원재료 표시가 단순하고 인공첨가물이 적은 제품을 선호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식이섬유와 프로바이오틱스를 첨가한 저당 제품이 특히 인기를 얻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D 역시 이러한 산업 트렌드에 맞추어 신제품을 개발 중이라고 전했다.

 

우리 기업의 중국 베이커리 시장 진출 시 저가 경쟁에 뛰어들기보다는 좋은 식재료를 사용해 건강한 맛을 내는 제품을 선보이거나, 독특한 맛 또는 눈에 띄는 모양의 제품으로 승부를 보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또한, SNS를 활용한 입소문 마케팅 전략이 수반돼야 하며, 브랜드 포지셔닝에 따라 중소도시를 먼저 공략하는 것도 검토해 볼 수 있다.

 

 

자료: iimedia Research, 더우인, 홍찬() 빅테이터, O2O(음식O2O), 투충촹이(), Nint컨설팅, 취안추홍베이즈난(全球烘焙指南), 중국 기업가 일보(中家日), KOTRA 칭다오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히트 상품과 브랜드로 알아보는 중국의 베이커리 시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