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장하는 카자흐스탄 핀테크 시장
- 트렌드
- 카자흐스탄
- 알마티무역관 김민정
- 2025-10-17
- 출처 : KOTRA
-
다양한 금융 기술의 빠른 발전과 정부의 강력한 지원
카자흐스탄 전자 결제 및 디지털 뱅킹 시장의 성장에 주목
카자흐스탄의 핀테크 시장 개요
카자흐스탄은 중앙아시아의 금융 허브로 자리 잡고 있으며, 최근 몇 년간 특히 핀테크 산업에서 급격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 높은 계좌 보급률과 스마트폰 보급률(2023년 기준 83%) 및 인터넷 보급률(2024년 기준 92%)은 핀테크 시장의 성장을 가속화하고 소비자들이 적극적으로 디지털 결제 방식을 수용하도록 도왔다. 통계청에 따르면 기술 진보, 규제 완화, 비현금 결제 방식의 보편화와 수요 증가로 2019년 500만 명에 불과했던 온라인 뱅킹 사용자는 2023년 2310만 명으로 4.6배 증가했다.
카자흐스탄의 핀테크 산업은 2015년 ‘정보화에 관한 특화 법률’ 제정을 통해 첫걸음을 내디뎠다. 본격적인 발전은 2017년 정부가 ‘디지털 카자흐스탄(Digital Kazakhstan)’ 프로그램을 도입하며 시작됐다. 디지털 카자흐스탄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국가 경제 성장률을 가속화하고, 디지털 경제 중심으로 전환을 통한 지속가능한 발전 기반 마련에 목표를 두었다. 2021년 중국이 암호화폐 채굴을 금지하며 카자흐스탄으로 대규모 채굴업체들이 유입되었는데, 이 때 갑작스러운 시장 확장에 대한 대비 부족으로 혼란을 겪은 후 정부는 핀테크 법률을 재정비하고 기술 인프라를 개선했다. 팬데믹 종결 후에도 핀테크 시장 성장은 가속화됐고, 비대면 금융 서비스 및 디지털 결제의 필요성이 커지며 핀테크 채택률은 더욱 증가했다.
카자흐스탄 핀테크 시장은 더 나아가 정부와 금융기관간 협업으로 환경을 안정화시키며, 역동적인 성장을 바탕으로 국내외 투자자들에게 강력한 비즈니스 기회를 제공하는 유망한 시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핀테크와 정부 서비스(GovTech)의 통합으로 정부의 온라인 행정 서비스는 더욱 확대돼 완전 자동화율은 6%, 온라인 서비스 제공 비율은 전체의 90%에 달한다. 나아가 시중은행과 정부 시스템 간의 연계 강화로 카자흐스탄 시민들은 은행 앱을 통해 디지털 문서 접근, 운전면허 갱신, 차량 소유권 이전, 사업 등록, 세금 납부, 혼인 신고, 출생증명서 발급 등 정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 발전, 정부의 규제 지원, 디지털 금융 서비스에 대한 수요 증가로 카자흐스탄의 핀테크 스타트업 수는 2018년 50여 개사에서 2024년 200여 개사로 4배 증가했다.
전자상거래의 발달과 핀테크
카자흐스탄의 전자상거래 시장은 팬데믹을 계기로 소비자들이 오프라인 구매에서 온라인 구매로 이동하는 양상을 보이며 급성장했다. 카자흐스탄의 이머커스 시장은 러-우 사태로 인한 지정학적 상황과 높은 인플레이션율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성장했고, 그 결과 중앙아시아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시장 중 하나로 거듭났다. 카자흐스탄의 전자상거래 시장은 2019년 기준 전체 소매 거래에서 3.7%, 2023년에는 12.6%를 차지했다.
카자흐스탄 정부의 디지털 경제 육성 및 핀테크·전자상거래 스타트업 지원, 온라인 결제 시스템 및 전자 지갑의 활성화는 전자상거래 시장의 성장과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형성하며 디지털 경제 활성화를 주도했다. 전자상거래 플랫폼과 은행 및 핀테크 기업들(Kaspi.kz, Halyk Bank, ForteBank 등)이 협력하여 BNPL(Buy Now Pay Later) 서비스를 적극 도입했고, 핀테크 기술을 활용한 보안 및 신원 인증 시스템으로 온라인 거래 신뢰성을 강화했으며, 전자지갑 및 모바일 뱅킹으로 결제 접근성을 확대하며 생태계를 조성했다.
<카자흐스탄 주요 핀테크(Kaspi.kz) 기업의 비현금(모바일) 결제 방식>



➊ 모바일 포스터미널 사용
➋ QR코드 활용
➌ 핸드폰 번호를 활용한 원격 결제
[자료: Kaspi.kz]
전자상거래의 성장과 온라인 거래의 확대로 카자흐스탄의 비현금 결제 규모는 빠르게 증가해 2024년 전체 카드거래 규모 15.4조 텡게(미화 약 325억 달러) 중 13.3조 텡게(미화 약 280억 달러)에 달하며 전체 소매 매출의 89%를 차지했다. 비현금 거래 건수는 지난 5년 간 20배 이상 증가했으며, 2024년에는 전년 동기 대비 13.3% 증가한 11억 건을 기록했다.
정부 정책 및 규제
정부는 또한 민간 부문과의 협력 모델을 기반으로 핀테크 산업 성장을 도모하며 ‘금융 부문 발전 개념 2022-2030(Concept for the Development of the Financial Sector 2022-2030)"을 채택하여, 국제적으로 통합된 지속 가능하고 경쟁력 있는 금융 시장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동 개념은 혁신적인 금융 기술(FinTech),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금융 역량 강화, 규제 기술(RegTech) 발전을 포함한다. 특히 카자흐스탄의 금융 시장에서 디지털 서비스와 플랫폼 솔루션이 증가하면서 규제기술(RegTech)의 필요성이 확대되었다. 규제기술(RegTech)의 도입을 통해 금융 기관 규제 준수 자동화, 보고 절차 간소화 및 데이터 표준화, AML/CTF(자금세탁방지 및 테러자금조달방지) 및 KYC(고객 신원 확인) 규제 준수 지원, 리스크 관리 및 사기 예방(Fraud Prevention) 강화, 스트레스 테스트 및 리스크 평가 자동화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금융기관과 협력하여 데이터 표준화 및 통제 자동화를 추진하고 있다. 카자흐스탄 시중 은행 앱을 통해 정부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은 금융 서비스의 디지털화 및 규제기술(RegTech) 도입의 대표 사례이다.
<모바일 은행 앱을 통한 정부 행정업무 처리 화면>


[자료: Kaspi.kz]
정부는 핀테크 산업에 우호적인 태도를 보이지만, 법률 준수 여부를 엄격하게 감독하고 있다. 정부는 2023년 2월 디지털 자산 및 암호화폐 채굴 관련 법안에 대해 서명했다.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기술에 대한 엄격한 규제를 적용하고, 암호화폐 채굴에 대한 의무 라이선스 취득을 한 기업에 한해서만 부분적으로 채굴을 허용하고 있다. 디지털 마이닝 풀에 대한 인증 요건 또한 강화했다. AIFC(Astana International Financial Centre)는 정부와 함께 민간 제안을 검토해 핀테크 및 블록체인 규제를 검토하고 지원하며, 관련 교육 또한 제공하고 있다.
핀테크 기업의 경우 전통 은행업보다는 비교적 덜 엄격한 규제가 적용되나, 금융 규제 당국의 감시 대상임은 동일하다. 또한 AML/CTF(자금세탁방지 및 테러자금조달방지)법을 준수해야한다. 특히 AML/CTF 규정은 암호화폐 및 디지털 자산 거래소에도 적용되며, 디지털 자산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은 반드시 등록 및 라이선스를 취득해야 한다. 등록된 거래소는 KYC(Know Your Customer) 절차를 시행하여 고객 신원 확인을 진행하고, AML/CTF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자금세탁 방지 조치를 적용해야 하며, 거래를 모니터링하여 의심스러운 거래에 대해 금융당국에 보호할 의무를 가진다.
<Digital Code 도입을 위한 정부 부처간 회의>

[자료: primeminister.kz]
카자흐스탄 정부는 IT 및 핀테크 산업을 포함한 디지털 경제 관련 법률을 최적화하고 정비하기 위해 디지털 코드(Digital Code)를 도입할 계획이다. 기존의 기존 정보통신기술(ICT) 및 핀테크 관련 법률이 일관성 없이 분산되어 있고, 규제 체계가 분산됨에 따라 법률 적용에서 혼란이 발생하여, 새로운 디지털 경제 및 핀테크 환경을 반영한 통합적인 법률 프레임워크 필요한 상황이다. 디지털 코드(Digital Code) 도입에 포함되는 요소에는 1) 빅데이터(Big Data) 및 AI 기반 데이터 처리 규제 강화 2) 사물인터넷(IoT) 관련 법률 정비 3) 개인정보 및 민감한 데이터의 불법 수집 금지 4) 성숙한 디지털 경제 구축을 위한 법률적 기반 조성 5) 정부기관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 6) 디지털 서비스 제공업체를 위한 통합 규제 프레임워크 마련 등이 있다.
카자흐스탄의 핀테크 생태계
카자흐스탄에서는 은행이 핀테크 산업 발전의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글로벌 슈퍼 앱 및 디지털 플랫폼과 경쟁할 수 있는 다양한 소비자 및 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한다. 카자흐스탄 은행들은 전통적인 금융서비스에서 벗어나 다양한 상거래 및 생활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핀테크와 GovTech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금융 모델을 형성하고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한다. 그 결과 카자흐스탄의 은행들의 2024년 업계의 자기자본이익률(ROE)은 37%로, 글로벌 평균(13%)보다 훨씬 높아 높은 수익성을 보이고 있다.
<In-app 생태계 비교>
Kaspi

Halyk

Jusan

Freedom

Alibaba

Tencent

DAU to MAU ratio
65%
29%
na
na
40%
85.5%
이커머스
1P E-Grocery
ㅇ
3P Marketplace
ㅇ
ㅇ
ㅇ
ㅇ
ㅇ
배달
ㅇ
ㅇ
ㅇ
ㅇ
여행
항공권
ㅇ
ㅇ
ㅇ
ㅇ
ㅇ
철도승차권
ㅇ
ㅇ
ㅇ
ㅇ
ㅇ
여행패키지
ㅇ
ㅇ
결제지원
QR 결제
ㅇ
ㅇ
ㅇ
ㅇ
ㅇ
P2P 결제
ㅇ
ㅇ
ㅇ
ㅇ
ㅇ
ㅇ
독자 결제 네트워크
ㅇ
ㅇ
ㅇ
ㅇ
청구서납부
ㅇ
ㅇ
ㅇ
ㅇ
ㅇ
ㅇ
Gov
Tech
세금
ㅇ
ㅇ
ㅇ
ㅇ
ㅇ
ㅇ
디지털문서
ㅇ
ㅇ
ㅇ
ㅇ
ㅇ
사업등록
ㅇ
ㅇ
ㅇ
ㅇ
기타
보험
ㅇ
ㅇ
ㅇ
ㅇ
ㅇ
투자
ㅇ
ㅇ
ㅇ
ㅇ
티켓예약
ㅇ
ㅇ
ㅇ
[자료: National Payment Corporation of Kazakhstan]
Kaspi.kz, Halyk Bank, Jusan Bank, Freedom Bank 등의 은행은 핀테크 및 전자상거래 기능을 확대하여 1P 또는 3P 마켓플레이스, 항공권 및 철도 승차권 구매, 정부 연계 서비스, 티켓 예매, 구인·구직 및 중고거래, 보험, 투자, 배달 서비스 등을 인앱 생태계 내에서 조성했다. 일일 활성 사용자(DAU) 대비 월간 활성 사용자(MAU) 비율은 Kaspi 65%, Halyk Bank 29%로 글로벌 디지털 기업인 Tencent(85.5%), Alibaba(40%), Nubank(39.3%)와 비교 가능할 수준에 이르렀다.
카자흐스탄 내 핀테크 기업 현황
카자흐스탄에는 현재 229개의 핀테크 스타트업 기업이 등록되어 있으며 136개의 결제 조직, 35개의 전자화폐 시스템, 90개 이상의 디지털 대출 기관(MFOs)과 AIFC 핀테크 랩(AIFC Fintech Lab)에 등록된 18개 스타트업이 운영 중이다. 디지털 결제, 자금세탁방지 및 Anti-Fraud, 크라우드펀딩, 웰스테크, 대출, 암호화폐, 신원확인(eKYC), 금융 마켓플레이스, 신용평가, 이슬람 금융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 중이며, AIFC(Astana International Financial Centre) 및 정부 규제 기관이 핀테크 시장 환경을 규제하고 지원한다. 분야별 대표적인 핀테크 기업들을 소개한다.
Kaspi.kz(디지털 결제 등)
카스피는 카자흐스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핀테크 기업이다. 1997년에 설립되었으며 간편결제, 온라인 쇼핑 서비스, 소비자 대출, 예금 상품 등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슈퍼 앱을 운영하고 있다. 카스피는 하루 1200만 명 이상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필수 금융 서비스로 자리 잡았으며, 2024년 기준 자산규모는 6,689억 텡게(약 13억 3340만 달러)에 달했다.
Jusan Invest JSC(금융 마켓플레이스)
Jusan Invest는 카자흐스탄에서 가장 큰 투자 및 자산 관리 회사 중 하나로 브로커리지 서비스, 자산 관리, 투자 컨설팅 등을 제공한다. 고객들이 국내 및 국제 금융시장에 접근하여 다양한 금융 상품에 투자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주식, 채권, ETF 등을 쉽게 거래할 수 있는 모바일 및 웹 플랫폼을 운영한다. 카자흐스탄의 금융상품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Jusan Invest 또한 성장하고 있으며, 모회사가 되는 Jusan Bank의 2024년 자산 규모는 2869억 텡게(약 5억 7236만 달러)이다.
Halyk Bank(신용 평가)
HalykBank는 카자흐스탄 최대의 금융기관으로 소매금융, 중소기업(SME) 금융, 기업금융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온라인 및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통한 디지털 전환을 주도하는 한편, AI 및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신용점수를 산출하는 첨단 신용 평가 시스템을 도입했다. 또한 보다 정교한 신용 분석을 통해 대출 승인을 검토하는 등 소비자 대출 및 금융 상품 또한 제공하고 있다. Kaspi.kz가 B2C 분야에서 강세를 띈다면 Halyk Bank는 보다 전통적인 B2B 분야에서 두각을 드러내며, 2024년 기준 자산 규모는 4,943억 텡게(약 9억 8612만 달러)이다.
Bank Freedom Finance Kazakhstan(디지털 대출)
Bank Freedom Finance Kazakhstan는 카자흐스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디지털 대출 전문 은행이다. 소비자는 Bank Freedom Finance Kazakhstan의 모바일 앱을 통해 손쉽게 온라인 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실물 서류 없이 디지털 모기지(주택담보대출)를 신청할 수 있다. 또한 다중 통화 및 투자카드를 제공해 고객이 다양한 통화로 투자 및 결제가 가능하다. Bank Freedom Finance Kazakhstan은 2020년 KassaNova Bank를 인수한 후 급성장했으며, 2022년 기준 온라인 대출 시장 점유율 58%를 차지하기도 했다.
TABYS(WealthTech)
TABYS는 Astana International Exchange(AIX)**에서 개발한 카자흐스탄의 투자자들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 AIX 거래소에서 다양한 금융 상품에 투자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앱을 통해 등록 및 계좌를 연결하여 세계 주식 시장에 접근할 수 있으며, 증권, 주식, 채권, 석유 등 다양한 자산에 대한 투자 옵션을 제공한다.
Al Saqr Finance (이슬람 금융)
Al Saqr Finance는 카자흐스탄에서 가장 중요한 이슬람 금융 기관 중 하나로 Shariah 원칙을 준수하는 금융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앱은 카자흐스탄에 거주하는 무슬림을 위한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온라인 계좌 개설 및 등록을 지원하며, 온라인 송금, 구매대금 결제, 자산 관리 등을 이슬람 원칙에 따라 진행할 수 있다. 이슬람 금융 카드 발급을 통해 비이자 금융 상품을 제공하며, 고객이 정기적으로 기부를 할 수 있는 자동 자선기부(Auto Sadaqa) 기능을 구현하기도 했다. 또한 자사 모바일 은행 앱 내 기능을 통해 기도 시간 및 키블라(Qibla) 방향, 할랄 카페 및 모스크 위치를 찾을 수 있는 지도를 제공한다.
시사점
카자흐스탄 핀테크 시장은 정부의 기술 발전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과 규제 완화를 바탕으로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2016년 결제 및 지급 시스템 관련 법률 제정으로 핀테크 및 디지털 결제 생태계의 법적 기반을 마련했으며, 2018년에는 Astana International Financial Centre(AIFC)와 함께 규제 샌드박스를 도입하여 스타트업 핀테크 기업들이 새로운 금융 서비스를 시험·확대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다. 또한 ‘Digital Kazakhstan’ 프로그램을 통해 디지털 경제의 토대를 확립하고, 2022~2030 금융 부문 발전 개념 채택 및 디지털 텡게 개념 도입을 통해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및 암호 화폐 관련 규제 완화 방안도 적극 검토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정책적·제도적 환경은 카자흐스탄 핀테크 시장을 중앙아시아 지역의 선도 시장으로 성장시키는 핵심 요인으로 평가된다. 특히 디지털 결제, 오픈뱅킹, 블록체인 등 신기술 기반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시장의 확장 잠재력은 매우 높다. 현지 은행 연동 이커머스 기업 H사의 기획부 이사 A씨는 “카자흐스탄의 핀테크 생태계는 정부의 규제 완화와 디지털 전환 정책 덕분에 단기간에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디지털 결제와 오픈뱅킹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스타트업뿐 아니라 기존 금융기관들도 새로운 서비스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앞으로 이 분야는 전자상거래와 긴밀히 결합돼 시장 규모가 기하급수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라고 덧붙였다.
카자흐스탄 핀테크 시장은 디지털 금융, 블록체인, 오픈뱅킹, 이슬람 금융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 기업들의 신흥 진출 유망 시장으로 평가된다. 전자결제 및 B2B 핀테크 솔루션 공급, 빅데이터 기반 신용평가 모델 개발, 보안 솔루션 및 공공 부문 디지털화 협력 확대 등을 통해 시장 진출을 모색할 수 있다. 또한 AIFC의 핀테크 허브 및 세제 혜택을 활용하는 전략적 접근도 유효할 것이다. 현지 파트너 발굴 및 시장 동향 파악을 위해서는 ‘Digital Kazakhstan’ 관련 주요 행사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해당 포럼은 매년 1월, 전시회는 10월에 개최돼 글로벌 기업과의 네트워킹 및 시장 조사에 유용한 기회를 제공한다.
자료: Astana Times, Primeminister.kz, National Payment Corporation of Kazakhstan, Kaspi.kz, Rise Research, AIFC 및 KOTRA 알마티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성장하는 카자흐스탄 핀테크 시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5년 UAE AI 산업 정보
아랍에미리트 2025-10-17
-
2
우크라이나 자동차 시장 동향
우크라이나 2025-10-17
-
3
석유의 나라 사우디에서 전기차를 꿈꾸다
사우디아라비아 2025-10-17
-
4
일본 요양 서비스의 미래 '돌봄테크'
일본 2025-10-16
-
5
2025년 UAE IT 산업 정보
아랍에미리트 2025-10-16
-
6
인도 프린터 시장 동향
인도 2025-10-17
-
1
2025년 카자흐스탄 식품가공 산업 정보
카자흐스탄 2025-09-17
-
2
2025년 카자흐스탄 건설산업 정보
카자흐스탄 2025-05-08
-
3
2024년 카자흐스탄 원전산업 정보
카자흐스탄 2024-10-21
-
4
2024년 카자흐스탄 스마트팜 시장
카자흐스탄 2024-07-09
-
5
2023년 카자흐스탄 소비재 산업 정보
카자흐스탄 2023-12-20
-
6
2023년 카자흐스탄 제조 산업 정보
카자흐스탄 2023-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