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석유의 나라 사우디에서 전기차를 꿈꾸다
- 트렌드
- 사우디아라비아
- 리야드무역관 장성원
- 2025-10-17
- 출처 : KOTRA
-
글로벌 기업 유치와 현지 브랜드 육성의 두 축을 통해 전기차 생태계 육성 중
루시드·BYD·테슬라 속속 진출…EVIQ 충전망 확충으로 시장 기반 확대
사우디아라비아 자동차 시장
사우디는 MENA(중동,북아프리카)지역 전체에서 가장 큰 자동차 시장을 가지고 있다. 2023년 기준, 사우디의 자동차 시장규모는 약 500억 달러 규모에 이른다. 글로벌 리서치 회사인 유로모니터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사우디 자동차·부품 시장 규모는 508억 달러, 산업 생산가치(Production Value)는 37억 달러로 단기간에 빠르게 성장했다. 유로모니터는 사우디가 역내 평균을 웃도는 연평균 2.5%(2023~2028년)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며, 이에 따라 B2B 수요 잠재력도 한층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2023년 MENA 지역 자동차 시장규모>
(단위: US$ 백만)

[자료: 유로모니터]
사우디 정부의 전략적인 전기차 산업 육성
사우디 정부는 ‘비전 2030’에 따른 '사우디 그린 이니셔티브(Saudi Green Initiative)'를 통해 2030년까지 전기차 판매 비중 30%를 목표로 설정했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글로벌 기업 유치' 및 '현지 브랜드 육성'이라는 두 가지 전략을 병행하고 있다. 글로벌 마케팅 리서치 회사인 Mordor Intelligence에 따르면, 2025년 사우디 전기차 시장 규모는 약 62만 달러 규모에 불과하며, 사우디 전체 자동차 시장의 0.01%에도 미치지 못한다. 그럼에도 사우디 전기차 시장은 연평균 성장률(CAGR) 6.48%를 기록하며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글로벌 기업 유치 측면에서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PIF)는 2018년 미국 전기차 기업 루시드 모토(Lucid Motors)에 10억 달러 이상을 투자했고, 지속적으로 지분을 매입하며 최대주주가 됐다. 이후 2023년 제다 인근 킹압둘라경제도시(KAEC)에 현지 공장을 설립해 2025년 부분 조립을 개시했으나, 아직 완성차 생산을 하지 못하고 있다.
<사우디 루시드 매장 사진>

[자료: 아랍 뉴스 홈페이지]
현대자동차는 국부펀드(PIF)와의 합작투자를 통해 현대자동차 사우디아라비아 생산법인(HMMME, Hyundai Motor Manufacturing Middle East)을 설립했다(현대자동차가 30%,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가 70%의 지분 보유). 2025년 5월 15일, 킹압둘라경제도시(KAEC)에 2026년 4분기 가동을 목표로, 연간 5만 대 규모의 전기차 및 내연기관차를 혼류 생산할 수 있는 공장 개소식을 발표했다.
<현대차 사우디 생산법인 공장 조감도>

[자료: 현대자동차 홈페이지]
현지 브랜드 육성 측면에서는 국부펀드(PIF)가 2022년 사우디 최초의 전기차 브랜드 시어(Ceer)를 출범했다. 시어는 2026년 말 본격적인 차량 양산을 목표로 개발을 진행 중이다. 사우디 국부펀드(PIF)와 세계 최대 전자 기업 중 하나인 대만 폭스콘(Foxconn)이 합작 설립한 시어(Ceer)는 사우디 내에서 전기차 설계·전자기술을 현지화하고, 전기차 산업 생태계 기반을 다지는 역할을 맡고 있다. 시어는 2030년까지 현지 부품 조달률을 45% 이상 달성하겠다고 발표했으며, 배터리, 인버터, 열관리 시스템 등 주요 부품의 현지 생산 계획에 따라 전기차 부품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예정이다. 참고로 한국의 자동차 부품 중견기업 신영은 '시어'와 금형·지그를 비롯한 차체(프레임) 부품 공급 계약을 2024년 체결한 바 있다.
확대되는 중국 전기차 브랜드
중국 전기차들도 사우디에서의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대표적인 브랜드로는 비야디(BYD), Zeekr(Geely 그룹), MG 등이 있다. BYD는 전시장 수를 늘리고 다양한 전기·하이브리드 모델을 출시하는 등 가장 공격적인 확장 전략을 보이고 있다. 현재 3개의 쇼룸을 운영 중이며, 내년까지 리야드 내에 총 10개의 쇼룸을 설치할 계획이다. BYD는 “Seal 7 DM-i” 등 하이브리드 모델도 도입해 다양한 수요층을 공략하고 있다.
<사우디 파노라마 몰 내 BYD 쇼룸>

[자료: 리야드무역관 직접 촬영]
Zeekr는 Geely 그룹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로, 사우디에서 두 곳의 매장을 운영 중이다. 사우디 전용 웹사이트를 통해 “ZEEKR 001”, “ZEEKR X” 등 전기차 모델을 소개하고 있다. ROX Motor는 중국 고급 전기차 브랜드로, 테크 전시회인 LEAP 2025에서 고급 전지형 SUV ROX 01을 선보이며 사우디 시장에 공식 진출했다. 사우디 고객을 위해 아랍어 음성 상호작용 제어 및 대용량 에어컨 시스템, 전기 구동 장치 냉각 시스템, 자외선 차단 전기 선쉐이드와 같은 현지 기후에 맞는 적응 장치를 선보인 바 있다.
전기차 인프라 환경 조성
인프라 차원에서도 전기차 시장을 위한 환경 조성이 확대되고 있다. 국부펀드(PIF)와 사우디 전력공사(SEC)가 합작한 EVIQ는 전기차 충전 인프라 전문 회사로 리야드, 제다, 담맘, 알코바 등 4개 주요 도시에 35개 충전 거점을 운영 중이며, 이 가운데 22개가 리야드에 집중돼 있다. 특히 사우디 특유의 생활 패턴을 반영해 대형 쇼핑몰 내에 충전존을 배치해 가족 단위 방문객이 더운 날씨 속에서도 실내에서 편리하게 충전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또한, EVIQ 애플리케이션과 구글맵에 간단한 검색을 통해 각 충전소의 위치, 사용 가능 슬롯 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다국어 서비스(32개 언어, 한국어 포함)를 지원해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였다. 현재 모든 충전소는 무료로 개방돼 있어 초기 전기차 이용자 확대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현지 전기차 업체 관계자는 리야드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사우디 전기차 충전 인프라 산업은 이제 막 본격 궤도에 오르기 시작했다”라며, “초기 단계에서는 정부와 국부펀드가 주도적으로 투자해 시장을 열고 있지만, 앞으로는 민간 기업과 해외 기술 파트너가 얼마나 참여하느냐가 산업 성패를 좌우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리야드 쇼핑몰 내 EVIQ 충전소 모습>

[자료: 리야드무역관 직접 촬영]
시사점
사우디 전기차 산업은 아직 초기 단계지만 정부 주도 투자와 글로벌 기업 유치로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 기업은 기술력과 경험을 바탕으로 선제적으로 입지를 다져야 한다. 사우디에서 충전 인프라가 생활권 중심으로 빠르게 자리 잡고 있지만, 사우디 기업의 전기차 생산 및 부품 자립률은 낮다. 결국 늘어나는 차량과 배터리·부품 수요는 당분간 해외 기업이 메울 수밖에 없으며, 이는 한국 기업이 진출할 수 있는 기회로 보인다. 유로모니터의 산업 매력도 평가에서도 전기차 부문은 투자와 성장성이 높은 분야로 평가됐다.사우디가 전 산업에서 일관되게 강조하는 흐름은 ‘현지화’다. 전기차 분야 역시 현지화율을 중요시하는 만큼, 사우디 회사와의 합작 및 협력을 통해 생태계에 안착해야 한다.
자료: 현대자동차, CEER, LUCID 홈페이지, Modor Intelligence, GTA, 유로모니터, KOTRA 리야드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석유의 나라 사우디에서 전기차를 꿈꾸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인도 청정에너지 산업, 재생에너지 확대와 에너지 저장 중심의 도약
인도 2025-10-16
-
2
2025년 UAE AI 산업 정보
아랍에미리트 2025-10-17
-
3
일본 요양 서비스의 미래 '돌봄테크'
일본 2025-10-16
-
4
성장하는 카자흐스탄 핀테크 시장
카자흐스탄 2025-10-17
-
5
2025년 일본 조선업 정보
일본 2025-10-16
-
6
튀르키예 원자력 에너지 확대…우리기업의 도전과 기회
튀르키예 2025-10-14
-
1
2024년 사우디아라비아 석유화학산업 정보
사우디아라비아 2024-12-20
-
2
2024년 사우디아라비아 자동차 산업 정보
사우디아라비아 2024-07-09
-
3
2021 사우디아라비아 방산산업 정보
사우디아라비아 2022-01-14
-
4
2021 사우디아라비아 재생에너지 산업 정보
사우디아라비아 2022-01-14
-
5
2021 사우디아라비아 농림식품수산 산업 정보
사우디아라비아 2022-01-10
-
6
2021 사우디아라비아 석유산업 정보
사우디아라비아 2022-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