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UAE IT 산업 정보
- 국별 주요산업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무역관 박미진
- 2025-10-16
- 출처 : KOTRA
-
UAE IT 산업, 디지털 인프라 허브로 도약
시장 동향과 우리기업 시사점 한눈에
산업 특성 개괄 및 최신 동향
UAE IT 산업은 MENA 지역 내 다른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산업 구조가 고도화된 특징을 보인다. 이는 정부가 디지털 전환을 국가 핵심 전략으로 추진하고, 글로벌 빅테크 기업을 적극 유치한 결과다. UAE는 5G,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등 첨단 인프라를 선제적으로 구축해 금융, 헬스케어, 관광 등 다양한 산업 전반에 IT 활용을 확산시켰으며, 동시에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확보했다. 다양한 요소들이 시너지 효과를 내면서 UAE는 역내 IT 산업 선도 국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한편, 지정학적 긴장, 국제유가의 변동성, 세제 강화, 관광·소매 산업의 경기 사이클 등은 잠재적인 하방 요인이 될 수 있다. 특히 최근 중동 지역의 안보 불확실성이 고조되면서 UAE IT 산업의 가장 큰 리스크로 부상하고 있다.
관련 정책 및 규제
1. AI·5G 중심으로 미래 IT 생태계 구축하는 UAE
UAE 정부는 2017년 국가 AI 전략 2031(UAE National Strategy for AI 2031) 발표와 함께 AI 사무소 설립, 세계 최초의 AI 전담 장관 임명을 계기로 AI 분야에 대한 정책 지원을 본격화했다. UAE 국가 AI 전략 2031은 2031년까지 AI 분야의 세계적 리더로 도약하겠다는 국가적 목표를 담고 있으며, 교육·경제·정부 혁신·사회적 행복 증진을 AI 기술을 통해 달성한다는 점을 주요 골자로 한다.
아울러 UAE는 다양한 산업에 AI를 접목하기 위해 정부 주도로 전문 기업·기관을 설립하고, 글로벌 기업과 파트너십을 강화하며 산업 생태계를 육성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G42, 첨단기술연구위원회(Advanced Technology Research Council), MGX, EDGE Technologies, MBZUAI(무함마드 빈 자이드 인공지능 대학) 등이 있다.
<UAE 주요 AI 관련 기업 및 기관>
기업 및 기관명
소개
G42

· 아부다비에 본사를 둔 UAE 대표 인공지능·클라우드 기업으로 데이터센터·헬스케어·스마트시티·우주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 기반 솔루션과 인프라를 제공
Advanced Technology
Research Council(ATRC)

· 아부다비 정부 산하에서 첨단 기술 연구개발(R&D)과 혁신 전략을 총괄하는 최고 감독기관으로 AI 활용 능력 향상을 위한 연구 중
AI 71

· ATRC가 벤처원(VentureOne)과 함께 2023년 11월 출범한 AI 회사로, Falcon 모델을 활용한 멀티 도메인 구축에 초점
MGX

· 2024년 3월 설립된 AI 및 반도체 분야 전문 기술 투자사로 UAE와 전 세계 AI 및 첨단 기술 개발 가속화를 위한 투자를 목표로 함
[자료: 각 기업 및 기관 웹사이트]
한편, UAE는 중동 지역에서 5G 네트워크를 선도하는 국가로 IT 및 통신 인프라 확충에 앞장서고 있다. 현지 주요 통신사인 e&(에티살랏)과 du(두)는 5G 인프라 구축과 서비스 상용화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면서, 이를 기반으로 하는 혁신 기술(예: 자율주행차, 스마트시티, IoT) 발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2. 디지털 정부 전환 및 데이터 경제 전략 추진
UAE는 2018년 디지털 정부 성숙도 모델(UAE Digital Government Maturity Model)*을 채택한 이후 4차 산업혁명 전략(Strateg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국가 AI 전략 2031, 에미리트 블록체인 전략(Emirates Blockchain Strategy 2021) 등 핵심 과제를 단계적으로 추진해 왔다. 국가 차원의 전략은 전자정부 플랫폼과 스마트 서비스의 확산을 가속화하며 공공 부문의 IT 수요를 크게 끌어올렸다.
* TDRA(통신·디지털정부규제청)가 도입한 지침으로, 정부 기관의 디지털 전환 수준을 5단계로 평가·개선하는 체계. 모델 활성화를 통해 UN 전자정부 조사 온라인 서비스 지수 상위권 진입과 디지털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함.
늘어나는 IT 수요를 뒷받침하기 위해 데이터센터 인프라 확충에도 적극적이다. UAE 대표 데이터센터 전문 기업 카즈나(Khazna)는 2023년 300MW 용량 목표를 이미 초과 달성했으며, 현재 160MW 이상 규모의 추가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특히 아즈만에 건설 중(2026년 말 1단계 공정 완료 예정)인 100MW 규모 데이터센터는 중동 최초로 AI에 최적화되었다. 또한, 아부다비 마프라크(2026년 12월 완공 예정)와 마스다르 시티(2026년 8월 완공 예정)에도 총 60MW 규모의 신규 센터를 건설 중이다.
한편, du는 2025년 4월 마이크로소프트와 약 20억 디르함(5억4000만 달러) 규모의 초대형 데이터센터 계약을 체결했다. 현재 UAE 전역에서 5개의 데이터센터를 운영 중인 du는 이번 계약을 통해 마이크로소프트에 대규모 데이터 저장 및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와 같이 UAE는 데이터를 경제적 자산으로 규정하고, 이를 활용해 새로운 부가가치와 일자리를 창출하는 데이터 경제 전략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전략에 따라 추진되는 대규모 투자는 IT 역량 강화와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그 결과 UAE는 MENA 지역의 대표적 데이터 허브로 빠르게 부상하고 있다.
3. 수입 의존 심화 속에서도 재수출 거점 역할 유지
UAE는 역내 제조 기반이 취약해 IT 제품 수요의 상당 부분을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특히 2022년 이후 데이터센터 및 AI 인프라 확충에 따라 서버와 특수 PC 수입이 빠르게 증가했으며, 중동 지역 주요 IT 하드웨어 재수출 거점으로서의 위상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다.
4. 경제 다변화 전략 속 관광·헬스케어 활성화가 견인하는 UAE IT 수요
UAE 정부의 비석유 부문 중점 육성 산업인 관광과 헬스케어 산업의 디지털 전환은 IT 산업 성장의 핵심 동력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관광 분야에서는 AI 기반 스마트·모바일 서비스와 빅데이터 분석 툴을 통해 사용자 경험을 향상하고 있으며, 헬스케어 분야에서는 스마트 의료 인프라 확대와 함께 데이터센터 및 클라우드 솔루션 수요가 동반 증가하고 있다.
주요 기업 현황
UAE IT 시장에는 글로벌 기업과 현지 강자가 혼재돼 있다. IT분야 주요 기업은 아래와 같다.
<UAE 주요 IT 기업>
기업명
소개
Microsoft

· UAE 정부의 디지털·AI 정책에 발맞춰 데이터센터와 AI 서비스 확대 중
· G42에 15억 달러 투자 및 브래드 스미스 부회장이 G42 이사회에 참여, G42와의 협력을 통해 국가 주도 AI 및 주권 클라우드(Sovereign cloud) 모델 구축 중
Huawei Technologies

· 통신장비·네트워크·소비자 전자제품 제조 및 유통
· du와 5.5G 기술 개발 협약 체결, 통신 분야 협력 강화
· ADCB, ENBD, Mashreq 등 시중 은행과 협력, 디지털 뱅킹 서비스 혁신 노력
Lenovo

· UAE 및 GCC PC 시장 선도업체, 데스크톱·노트북 판매 중심
· 샤르자 연구단지와 협업해 고성능 AI 서버 개발 추진
· 현지 학교·e스포츠 센터 구축, 차세대 기술인력 양성에 기여
Alpha Data

· 1981년 설립, UAE 현지 대표 IT솔루션 기업, 공공·민간 대상 ICT 인프라 솔루션 제공
· 소매·제조·헬스케어 등 다양한 산업에 적용가능한 솔루션 확대
Almasa IT Distribution

· 1995년 설립, UAE 주요 IT 유통사로 PC, 네트워킹, 메모리·스토리지 등 부품, 소프트웨어 판매 및 자체 브랜드 PC 조립·생산
· HP, Intel, AMD, Nvidia 등 글로벌 브랜드와 협력해 현지 기업, 소매업체 등에 장비 공급
Sharaf DG, Emax

· UAE 전자기기 소매시장의 양대 산맥, Sharaf DG는 26개, Emax는 25개의 매장을 운영 중
· IT 하드웨어 최대 소매 판매 기업
Amazon.ae

· UAE 최대 온라인 쇼핑몰, 아마존 인수 합병 후 글로벌 스토어 연계로 100만 개 이상의 상품 제공
· 2019년 7월 아마존 프라임(Amazon Prime) 도입으로 무료 배송, 영상·게임 서비스 등 제공
[자료: 각 기업 웹사이트]
산업 수급 현황
1. UAE IT 시장 수요 동향 및 전망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피치 솔루션(Fitch Solutions)에 따르면, 2025년 UAE IT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11.9% 증가한 133억 달러로 추산된다. 코로나19 충격 이후 UAE IT 시장은 5년 연속 성장세를 이어오고 있다.
UAE IT 시장은 중장기적으로 더욱 높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2028년까지 연평균 12.1% 성장해 시장 규모는 187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동기간 UAE의 연평균 GDP 성장률은 약 5.2%로 전망되고, 15~64세 생산연령 인구 또한 늘어날 것으로 예측되기에 하드웨어·소프트웨어·IT 서비스 수요를 고르게 뒷받침할 것으로 보인다.
<UAE의 IT 시장규모 동향 및 전망>
(단위: US$ 백만)
구분
2024년f
2025년f
2026년f
2027년f
2028년f
IT 시장규모
11,879.2
13,287.6
14,853.7
16,653.9
18,742.2
IT 시장규모(GDP 대비 %)
2.4
2.6
2.8
3.0
3.3
하드웨어 판매액
3,821.9
4,165.0
4,569.4
5,093.3
5,784.1
소프트웨어 판매액
1,448.3
1,627.8
1,826.5
2,045.6
2,287.0
서비스 판매액
6,609.1
7,494.7
8,457.8
9,515.0
10,671.1
* 주 : f는 전망치
[자료 : Fitch Solutions]
2. UAE IT 관련 품목 수출입 동향
UAE의 IT 관련 품목 수입은 2023년 7억6100만 달러에서 2024년 7억6500만 달러로 소폭 증가했으며, 2025년 8월 기준 10억 달러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UAE의 IT 관련 품목 수입 시장은 하드웨어가 견인하고 있다. 자동 자료처리 기계(데스크톱, 노트북, 서버 등) 수입액은 2025년 9억4700만 달러로, 전체의 90.7%를 차지했다.
<UAE IT 관련 품목 수입 현황>
(단위: US$ 천)
HS코드
품목
2023년
2024년
2025년*
8471
자동 자료처리 기계
638,796
644,340
946,662
8523
패키지 소프트웨어
66,033
50,122
33,267
8473
컴퓨터 부품 및 액세서리
52,433
57,114
43,251
8417
네트워크 장비
4,052
13,797
20,104
-
총계
761,314
765,373
1,043,284
* 주: 2025년 8월 누계 기준이며, 일부 국가는 통계 발표 지연으로 자료가 누락됐을 수 있음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9]
UAE의 IT 관련 품목 수출 규모는 2023년에서 2024년 사이 소폭 감소했으나, 2025년 들어 회복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23년 9500만 달러 수준이었던 UAE의 IT 관련 품목 수출액은 2024년 9100만 달러로 3.7% 감소했으나, 2025년 8월 기준 8564만 달러를 기록해 회복세를 보였다. 주요 수출 품목인 자동 자료처리 기계(노트북·서버 등)가 전체 수출액의 71.2%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UAE IT 관련 품목 수출 현황>
(단위: US$ 천)
HS코드
품목
2023년
2024년
2025년*
8471
자동 자료처리 기계
68,184
63,005
60,932
8473
컴퓨터 부품 및 액세서리
15,014
13,172
17,770
8523
패키지 소프트웨어
11,480
11,862
5,736
8417
네트워크 장비
204
3,337
1,199
-
총계
94,882
91,376
85,637
* 주: 2025년 8월 누계 기준이며, 일부 국가는 통계 발표 지연으로 자료가 누락됐을 수 있음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9]
UAE IT 관련 품목 수출액 증감에는 지정학적 리스크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UAE가 MENA 주요 재수출 국가이고, 인근지역 정치·안보 불안정이 확대되면 UAE를 경유한 재수출 흐름이 위축되는 양상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UAE는 MENA IT 물류의 거점 역할을 유지하고 있으나, 지정학적 분쟁과 역내 불안정성은 여전히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對 UAE IT 관련 품목 수출은 큰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 최근 5년간 최소 수출액은 2021년 6270만 달러며, 최대 수출액은 2024년 1억 달러다. 한편, 2025년 8월 누계기준 수출액은 545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4.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UAE의 對한국 IT 수요는 하드웨어보다 솔루션·소프트웨어 중심이어서 이러한 통계가 실제 시장 상황을 반영한다고 보기 어려울 수 있다.
<대한민국 對 UAE IT 관련 품목 수출 현황 (MTI 813기준)>
(단위: US$ 천, %)
연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8월)
증감률('24/'25)
수출액
62,683
100,787
82,929
100,101
54,534
-24.8
* 주 : MTI 813은 전산기록매체, 레이저프린터, 컴퓨터주변기기 등 하드웨어 위주의 통계치 반영
[자료 : KITA(2025.9월 조회)]
SWOT 분석
<SWOT 분석>
강점(Strengths)
약점(Weaknesses)
· 안정적 유가로 풍부한 재정 여력
· Dubai Internet City 등 IT 클러스터에 대한 정책 지원
· 아시아·중동을 연결하는 지정학적 위치
· 경제 다각화 정책이 IT 수요를 뒷받침
· 5G 조기 도입으로 차세대 모바일 서비스 확산 기반 마련
· 후티 반군, 헤즈볼라 등 무장세력에 따른 안보 문제
· 이스라엘-하마스 분쟁으로 악화된 지정학적 전망
· 상대적으로 높은 인터넷 및 통신 비용
· 소규모 내수시장으로 제한적인 규모의 경제
· 국제유가 변동시 정부 재정이 영향을 받는 구조적 취약성
기회(Opportunities)
위협(Threats)
· 글로벌 IT기업의 투자 확대로 디지털 전환 모멘텀
· 공공부문 디지털 전환 따른 클라우드, SaaS 시장 중기적 성장 기회
· 유가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경우, 정부 및 민간의 IT 지출 지속 가능성 확대
· 보건의료 분야 대규모 투자
· 관광·스포츠·부동산 등 신산업 확장
· 이란·시리아 등 지역 안보 상황 악화
· 확대 가능성이 존재하는 이스라엘-이란 긴장
· 글로벌 물가 상승 압박으로 중산층 가구 수요에 부담
· 사이버 보안 위험 증대로 네트워크 신뢰도 저하 및 수요 위축
[자료: 두바이무역관 자료 종합]
유망 분야 및 시사점
UAE IT 시장은 하드웨어 중심에서 솔루션·소프트웨어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 정부 및 민간의 디지털 전환이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면서 클라우드 및 대규모 데이터센터 투자가 이어지고, 관련 인프라, 소프트웨어, 플랫폼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데이터센터 확대는 에너지 효율, 보안, 운영 최적화 솔루션 도입을 촉진할 전망이다.
한편, 소프트웨어 측면에서는 기업용 ERP·CRM을 비롯해 회계·마케팅 등 재무·경영관리 프로그램 수요 증가, 산업별로는 금융(핀테크), 제조(공정 자동화), 소매·관광(운영 효율, 고객경험 향상) 부문 IT 수요 증가가 기대된다. 특히 현지 요구에 맞춘 맞춤형 소프트웨어의 성장 가능성이 높다. 또한, AI는 국가 전략 차원의 최우선 과제이기에 고성능 서버·대용량 스토리지에 대한 하드웨어 수요뿐만 아니라 백업·복구, 암호화·접근제어 등 보안 솔루션 시장을 함께 키운다.
통신 인프라에서는 5G 고도화를 활용하는 응용 서비스 부문의 성장이 기대된다. 5G 인프라가 발전하면서 단순히 통신장비를 더 설치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이를 활용한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창출할 전망이다. 예를 들면 스마트 팩토리(공장), 원격 진료(병원), 스마트 체크인(호텔) 서비스가 대표적이다. 특히 관광과 헬스케어는 UAE의 전략산업으로 해당 분야 응용 서비스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UAE IT 산업의 고도화는 단순히 제품이나 통신 서비스 수요 확대에 그치지 않고, 디지털 인프라 허브로 발전하며 금융, 의료, 제조 등 다양한 산업으로 활용 범위를 넓히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 기업도 산업 맞춤형 고부가가치 솔루션 제공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특히 △클라우드 비용·성능 최적화, 운영 자동화 △데이터 보안·컴플라이언스 △친환경 데이터센터(자원 절감·운영 효율화) △산업 특화 소프트웨어 △백업·복구·암호화 등 보안 인프라 분야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여지가 크다.
이에 따라 현지 진출을 희망하는 우리 기업은 현지 정부 부처, 기진출 글로벌 기업, 주요 통신사 및 유통사와의 협력을 통해 진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특히 공동으로 PoC(개념 검증)를 추진하고, 레퍼런스로 확보함으로써 인근 시장으로 확대하는 전략이 효과적이다. 다만, 이러한 과정에서 경쟁사와의 차별화를 위한 전략적 요소를 마련하는 것이 성공적인 현지 IT 시장 진출을 위한 핵심 과제가 될 것이다.
자료: Fitch Solutions, Meed, GTA, KITA, Gulf News 외 현지 언론, KOTRA 두바이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2025년 UAE IT 산업 정보)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일본 요양 서비스의 미래 '돌봄테크'
일본 2025-10-16
-
2
성장하는 카자흐스탄 건강기능식품 시장동향
카자흐스탄 2025-10-16
-
3
오스트리아 전자상거래 시장, 안정적인 성장 궤도에 진입
오스트리아 2025-10-16
-
4
2025년 UAE AI 산업 정보
아랍에미리트 2025-10-17
-
5
TWS·웨어러블의 확산이 이끄는 아르헨티나 전자기기 시장
아르헨티나 2025-10-14
-
6
2025년 일본 조선업 정보
일본 2025-10-16
-
1
2025년 UAE AI 산업 정보
아랍에미리트 2025-10-17
-
2
2024 UAE 우주 산업 정보
아랍에미리트 2024-10-28
-
3
2024년 UAE 방산산업 정보
아랍에미리트 2024-09-25
-
4
2024년 UAE 건설산업 정보
아랍에미리트 2024-05-13
-
5
2024년 UAE 전력산업 정보
아랍에미리트 2024-05-13
-
6
2024년 UAE 청정에너지산업 정보
아랍에미리트 2024-04-29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