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싱가포르 웨어러블 제품 시장동향
- 상품DB
- 싱가포르
- 싱가포르무역관 김대현
- 2025-10-21
- 출처 : KOTRA
-
Keyword #웨어러블
건강 및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관심 증가로 웨어러블 기기 수요 증가
2025년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 판매량 4.9% 증가
상품명 및 HS Code
웨어러블 디바이스 관련해 특정 HS Code로 정의로 정의되지 않는바, 가장 많이 활용되는 HS Code 2개를 조사하였다.
<상품명 및 HS Code>
상품명
HS Code
음성∙영상이나 그 밖의 자료의 수신용∙변환용∙송신용∙재생용 기기
851762
그 밖의 기기
903180
[자료: KOTRA 싱가포르무역관 종합]
시장동향 및 개요
유로모니터에서는 웨어러블(Wearable) 제품시장을 피트니스 트래커 등 ‘액티비티 웨어러블’과 스마트워치, 무선이어폰 등 ‘스마트 웨어러블’로 크게 구분했다. 2025년 싱가포르 웨어러블 전자기기 소매 판매량은 전년 대비 1% 증가한 약 66만5000대로 예상된다. 이 중 스마트 웨어러블(주로 스마트워치)은 약 40만5000대 판매돼, 4.9%의 성장률로 모든 제품군 중 가장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였다. 전체 웨어러블 시장은 이러한 스마트 웨어러블의 호조에 힘입어 소폭 성장했으며, 2025년 시장의 완만한 확대를 견인했다. 향후 2025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5%의 성장률(CAGR)을 유지해, 2030년에는 연간 약 84만7000대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싱가포르 연도별 웨어러블 제품 시장 규모(2021-2025년)>
(단위: 천 대, %)
년도
판매량
성장률(전년 대비)
2021
533.8
14.5
2022
576.5
8.0
2023
618.4
7.3
2024
659.4
6.6
2025 (예상치)
665.2
0.9
[자료: Euromonitor]
<싱가포르 웨어러블 제품 카테고리별 판매량 및 성장률(2025년 예상치 기준)>
(단위: 천 대, %)
카테고리
판매량
성장률(전년 대비)
액티비티 웨어러블
259.9
-4.8
- 액티비티 밴드 (피트니스 트래커)
0.4
-37.2
- 아날로그 시계 (시곗바늘형)
52.2
0.4
- 디지털시계 (디지털 디스플레이)
207.3
-5.9
스마트 웨어러블
405.3
4.9
[자료: Euromonitor]
건강 및 웰니스에 대한 관심 증가가 스마트 웨어러블 시장 성장을 이끄는 핵심 요인으로 분석된다. 스마트워치를 비롯한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는 심박수 측정, 수면 추적, 스트레스 관리 등 다양한 건강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며, 피트니스 애호가부터 자신의 웰빙을 관리하려는 직장인까지 폭넓은 소비자층의 공감을 얻고 있다. 한편, 걸음 수 측정 등에 초점을 맞춘 액티비티 밴드(피트니스 트래커)의 인기는 감소하고 있으며, 아날로그 스타일의 활동량계 시계가 미니멀리즘 디자인으로 일부 소비자를 유지하고 있으나 이러한 전통형 웨어러블은 시장 주류 트렌드를 뒤집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대다수 소비자가 스마트워치형 제품으로 이동함에 따라, 스마트 웨어러블이 웨어러블 전자기기 시장의 성장을 주도하는 중심축으로 부상했다.
웨어러블 기기 수입 규모 및 동향
싱가포르의 2024년 음성∙영상이나 그 밖의 자료의 수신용∙변환용∙송신용∙재생용 기기 (HS코드 851762)의 총수입액은 약 68억1800만 미국 달러로 전년 대비 1.7% 증가했다. Global Trade Atlas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상위 주요 수입국으로는 중국, 말레이시아, 태국, 대만 순으로 나타났다.
<싱가포르 웨어러블 기기 및 그 밖의 기기 수입 동향 (HS코드 851762 기준)>
(단위: US$천, %)
순위
국가
수입 규모
점유율
증감률
(’24 /’23)
2022년
2023년
2024년
2024년
1
중국
2,192,396
2,030,284
1,722,265
25.3
-15.2
2
말레이시아
1,085,705
1,274,411
1,292,567
19.0
1.4
3
태국
476,026
538,963
998,443
14.6
85.3
4
대만
259,830
337,299
531,072
7.8
57.5
5
미국
339,833
388,814
421,438
6.2
8.4
6
베트남
245,465
217,001
418,811
6.1
93.0
7
인도네시아
709,627
1,041,570
394,670
5.8
-62.1
8
멕시코
209,182
299,002
339,581
5.0
13.6
9
체코
165,587
97,382
155,389
2.3
59.6
10
인도
26,999
40,568
98,150
1.4
141.9
22
대한민국
12,960
15,070
9,736
0.1
-35.4
전체
6,143,540
6,702,908
6,817,689
100.0
1.7
[자료: Global Trade Atlas (GTA), 2025.10.08. 기준]
참고로, 웨어러블 기기는 세부 분류에 따라 HS코드 903180(웨어러블 기기를 포함한 그 밖의 기기)으로도 구분할 수 있다. Global Trade Atlas 통계에 따르면, HS코드 903180 품목에 대한 싱가포르의 2024년 총 수입액은 약 3억8000만 미국 달러이며, 그 중 한국 수입액은 286만 달러로 총 19위를 차지했다.
경쟁 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싱가포르 웨어러블 제품 시장에서 상위권 점유율을 차지하는 5개사로는 Apple, Samsung, Garmin, Xiaomi, Huawei가 있다. 애플과 삼성의 양강 구도가 지속되는 가운데, 중국 브랜드들도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완만한 점유율 상승을 이뤘다. 대표적으로 샤오미(Xiaomi)는 합리적인 가격대에 필수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밴드와 워치로 일부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며 판매량을 늘렸다. 또한 신생·소규모 브랜드들은 이커머스 플랫폼을 적극 활용해 시장에 진입하고 있다. 예를 들어, 중국의 LIGE(리지)나 싱가포르의 토착 브랜드 Blackdot(블랙닷) 등은 주력 브랜드 제품 가격의 10분의 1 수준인 초저가형 스마트워치를 선보여 가격에 민감한 소비자층을 공략했다. 이러한 전략으로 소규모 업체들도 온라인을 통한 판로를 개척해 서서히 입지를 넓히고 있다.
<Blackdot(블랙닷) 스마트워치>

[자료: 브랜드 자사 웹사이트]
Garmin(가민) 등 특화된 기능을 내세운 업체도 꾸준한 존재감을 보였다. Garmin은 전문 스포츠 및 피트니스 분야에 강점을 지닌 브랜드로, 정교한 건강 및 운동 성능 추적 기능을 갖춘 웨어러블 기기로 마니아층과 운동 애호가들의 지지를 얻고 있다. 이처럼 2025년의 경쟁 구도는 혁신성과 생태계 연동, 브랜드 파워를 갖춘 소수의 거대 기업이 시장을 주도하는 한편, 가성비나 특화 기능을 내세운 후발주자들이 틈새를 공략하며 다각화된 경쟁 양상을 보인다. 유로모니터는 전반적으로 시장은 몇몇 지배적 기업 중심으로 높은 집중도를 띠었지만, 신생 경쟁자들의 꾸준한 기술 개발과 가격 경쟁 전략이 향후 경쟁 구도를 더욱 역동적으로 만들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고 분석했다.
유통 채널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25년 기준 온라인 판매 채널 점유율은 전년 대비 0.9%p 상승한 41.3%를 기록한 반면, 오프라인 판매 채널 점유율은 소폭 하락해 58.7%로 나타났다. 점유율은 다소 감소했지만, 여전히 높은 비중을 보이는 오프라인 판매채널에서는 전자제품 판매 전문점이 가장 57.9%를 차지해 가장 높았다. 싱가포르에서는 HARVEY NORMAN, CHALLENGER, COURTS 등 전자제품 종합 판매점과 더불어, Apple, Xiaomi 등 브랜드 매장을 대형 쇼핑몰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싱가포르 웨어러블 제품 유통채널>

[자료: Euromonitor]
온라인 판매가 확대되는 가운데에서도, 2025년에는 가전·전자제품 전문 매장이 여전히 가장 큰 유통 비중을 차지했다. 스마트워치와 같은 고가의 기술 제품일수록 직접 착용해 보고 체험해 보려는 수요가 여전히 높기 때문이다. 많은 소비자는 구매 전 매장을 방문해 제품의 디자인, 화면 크기, 착용감을 확인하고, 전문 판매원으로부터 제품 기능과 사용법에 대한 상담을 받기를 원했다. 이러한 오프라인 경험은 특히 프리미엄 스마트워치 구매 결정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제품별 비교 평가를 돕는 요소로 작용했다. 이에 대응해 전통 소매업체들은 옴니채널 전략(온·오프라인 통합)을 강화하며 변화하는 유통 환경에 적응하고 있다. 다수의 오프라인 매장이 온라인 사전 주문 후 매장 픽업 서비스를 도입하고, 가상 상담이나 연장 반품 정책 등을 제공함으로써 온라인의 편의성과 오프라인의 경험을 접목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HARVEY NORMAN 매장 스마트워치 매대>

[자료: KOTRA 싱가포르무역관 직접 촬영]
관세율·수입 규제·인증
싱가포르는 자유무역을 지향하고 있어 주류, 담배, 자동차, 석유 제품 등 4개 품목군 외 전면 무관세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2025년 기준 상품용역세(Goods & Service Tax) 9%를 부과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의료 상태, 질병, 해부학적 또는 생리학적 과정의 조사, 탐지, 진단, 모니터링, 치료 또는 관리와 같은 의료 목적을 위한 디지털 건강 기기는 HSA(Health Sciences Authority)의 규제 통제 대상 의료 기기로 분류된다. 제품 등록이 면제된 저위험 의료기기나, HSA 승인을 받은 특정 조건을 제외한 모든 디지털 헬스 기반 웨어러블 기기는 싱가포르 내 유통되기 전에 HSA 등록이 필요하다.
* HSA 규정 관련 링크 :
https://www.hsa.gov.sg/medical-devices/regulatory-overview
시사점
건강 관리와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소비자들의 높은 관심을 바탕으로 스마트워치를 중심으로 한 스마트 웨어러블 수요 증대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웨어러블 기기가 일상생활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고 있고, 스마트홈 등 다른 디지털 생태계와의 연동성이 강화됨에 따라, 향후에도 스마트 웨어러블은 시장 성장을 견인하는 핵심 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지 전자제품 유통사인 A 사 대표는 헬스케어,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현지 소비자들의 높은 관심을 이해함과 동시에 한국 제품의 높은 품질과 우수성을 부각하는 마케팅 전략을 마련한다면, 현지 시장에서의 성공적인 안착도 충분히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자료: Euromonitor, Global Trade Atlas, The Straits Times 등, KOTRA 싱가포르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싱가포르 웨어러블 제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브라질 스포츠 마케팅 시장, 디지털 혁신과 팬 중심 접근법의 성장
브라질 2025-10-21
-
2
TWS·웨어러블의 확산이 이끄는 아르헨티나 전자기기 시장
아르헨티나 2025-10-14
-
3
AI 기술이 한 자리에, ‘중국 국제 소비전자 박람회’ 참관기
중국 2025-10-13
-
4
싱가포르 색조화장품 시장동향
싱가포르 2021-05-31
-
5
2025년 튀르키예 섬유 및 의류산업 정보
튀르키예 2025-10-21
-
6
베트남 소매시장, 고성장 속 경쟁 구도 다변화
베트남 2025-10-21
-
1
2025년 싱가포르 프랜차이즈 산업 정보
싱가포르 2025-04-11
-
2
2024년 싱가포르 반도체 산업 정보
싱가포르 2024-11-11
-
3
2023년 싱가포르 바이오헬스 산업 정보
싱가포르 2023-05-23
-
4
2021년 싱가포르 IT산업 정보
싱가포르 2021-12-01
-
5
2021년 싱가포르 관광산업 정보
싱가포르 2021-11-29
-
6
2021년 싱가포르 건설산업 정보
싱가포르 2021-11-29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