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2025년 튀르키예 섬유 및 의류산업 정보
  • 국별 주요산업
  • 튀르키예
  • 이스탄불무역관 이지연
  • 2025-10-21
  • 출처 : KOTRA

섬유 제조 부문에서 AI, 사물인터넷(IoT) 등 스마트 생산기술 도입을 통한 디지털 전환 가속화

온라인 플랫폼 성장에 따른 전자상거래 확대로 소매 구조 재편

섬유 및 의류 산업은 튀르키예에서 가장 견고하게 자리잡은 제조 부문 중 하나이자, 국제적으로도 긴밀한 연계와 통합이 이뤄지고 있는 산업 분야다. 초기에는 국가 주도형 산업으로 시작됐으며, 이후 조직화된 산업 단지를 통해 섬유, 원사, 직조, 염색, 마감, 의류 제조에 이르는 다각화된 생산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향으로 진화했다. 부르사, 데니즐리, 가지안테프 지역의 주요 클러스터는 숙련된 노동력과 유연한 제조 역량을 바탕으로 튀르키예 섬유 및 의류 산업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Sun Tekstil 제조공장>

[자료: Analiz Gazetesi]


산업 특성 


연간 총 매출액이 520억 달러를 상회하는 튀르키예의 섬유 및 의류 부문은 국가 산업 기반의 주축이자 국내 주요 고용원이다. 2025년 섬유 시장 총 생산액은 352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92억 달러의 부가가치를 창출해 2025년부터 2029년까지 1.9%의 연평균 성장률(CAGR)이 기대된다. 또한, 의류 부문에서는 2025년 시장 매출이 183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며, 2029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은 2.4%를 기록할 전망이다


다만, 최근 거시경제 지표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2025년 상반기에는 섬유 생산이 전년 동기 대비 3.1% 감소했고, 의류 생산은 8.6% 감소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전통적인 직조 및 편직 원단 부문의 수익성이 점차 축소됨에 따라 제조업체들은 사업 영역을 단순 직조가 아닌 고부가가치 영역으로 전환하고 있다. 또한, 유럽연합(EU)의 환경 규제 강화, 특히 탄소국경조정제도(CBAM)가 도입됨으로써 섬유 및 의류 부문의 친환경 생산 모델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 튀르키예 제조업체들은 시장 접근권을 확보하기 위해 배출가스 절감, 에너지 효율 향상, EU 지속가능성 기준 준수를 지향하는 방향으로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정부 정책

 

튀르키예 정부는 섬유 수출기업들이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를 포함한 EU의 강화된 환경 규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글로벌 지속가능 무역에서의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각종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우선, 입법 개혁과 표적형 재정 지원으로 구성된 통합적 정책 틀을 통해 섬유 산업의 녹색 및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202572일에 제정된 기후법(Climate Law)’은 튀르키예가 순배출 제로(Net-zero)를 향해 나아가는 데 필요한 법적 기반을 제공한다. 해당 법안은 배출권 거래제(ETS), 탄소 크레딧, 기후 금융 메커니즘 등의 수단을 도입해 공공 및 민간 부문 모두가 국가의 온실가스 감축 및 기후 적응 목표에 부합하도록 운영을 조정할 것을 의무화하고 있다.

 

이와 병행해, 통상부는 그린딜 이행 지원사업(Green Deal Compliance Project Support)의 일환으로 ‘Responsible® 프로그램을 출범했다. 이 프로그램은 지속가능성 평가, 이행 로드맵 수립, 기술·재무 타당성 자문 등 분야에서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기업들이 유럽연합(EU) 그린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 최근 3년간 수출 실적이 30만 달러 이상인 제조 및 수출 기업은 지속가능성 및 디지털 전환 관련 컨설팅 서비스에 대해 최대 5 1000만 리라(약 3억4000만 원) 한도 내에서 50%의 비용 지원을 받을 수 있다. 2025년 기준 지원 상한액1370만 리라(약 4억6500만 원)설정돼 있으며, 이는 매년 초 전년도 평균 물가상승률에 따라 조정된다.

 

<튀르키예 무역부 Responsible® 프로그램 홈페이지 화면>

 

[자료: 튀르키예 무역부 Responsible® 프로그램 플랫폼]

 

인증 및 규제

 

튀르키예의 섬유 수입 관련 인증 및 규제는 무역 및 소비자 안전 기준에 부합하도록 관세, 서류 제출, 제품 시험 요건 등이 통합 운영되고 있다. 대부분의 섬유 제품은 한국-튀르키예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0%의 관세 혜택을 받고 있으나, 상당수의 품목은 여전히 튀르키예 통상부의 수입 감시 제도(Import Surveillance System)’하에 있어 추가적인 절차적 통제가 요구된다.

 

관보 2020-9호 및 2022-1호로 공포된 수입 감시 고시(Communiqués on Import Surveillance) 적용 대상 품목의 경우, 선적 이전에 ‘ithalat.ebirlik.org 플랫폼을 통해 등록 인증서(Certificate of Registration)를 사전에 발급받아야 한다. 수입자는 이 인증서를 제출해야 하며, 수출자는 수출자 등록 양식(Exporter Registry Form)을 준비해야 한다. 이는 대한상공회의소의 인증을 받은 후, 주한 튀르키예 대사관에서 아포스티유를 받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 이 외에도 기업 등록증, 세금 납부 증명서, 인감증명서 등의 보조 서류가 요청될 수 있으며, 해당 서류들은 일정 주기로 갱신해 유효성을 유지해야 한다. 모든 섬유 수입품은 세관 당국에 의해 섬유 성분, 염료 함량, 안전 기준 충족 여부 등을 확인하는 실험실 검사를 거쳐야 하며, 신고된 규격과 일치하지 않거나 관련 서류가 불충분할 경우 통관 지연 또는 반입 불가 처분을 받을 수 있다.


또한, ‘화학물질의 등록·평가·허가 및 제한에 관한 규정(KKDİK)’에 따라 일부 유해 화학물질의 섬유 내 사용이 엄격히 제한되거나 금지되고 있다. 해당 물질에는 트리스(2,3-디브로모프로필)포스페이트(Tris(2,3-dibromopropyl)phosphate), Tris(aziridinyl)-phosphine oxide, 폴리브롬화비페닐(PBB), 수은 화합물, 디부틸주석(DBT), 디옥틸주석(DOT)과 같은 유기주석계 화합물 등이 포함된다. 이 규정은 의류, 침구류 등 섬유 제품 내 유해 화학물질의 존재를 최소화함으로써 인체 건강과 환경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동시에 튀르키예의 화학물질 관리 체계를 EUREACH(화학물질 등록·평가·허가 및 제한) 규제와 정합성 있게 조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주요 기업

 

튀르키예 내 섬유 기업의 수는 1만9000여 개, 의류 기업의 수는 6만2000여 개로 추산돼 총 8만 개가 넘는 기업들이 포진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튀르키예에서는 합성 섬유 및 혼방 직물 생산이 증가 추세를 보이며, 내구성과 고성능을 갖춘 소재로 생산의 방향성이 점진적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재활용 섬유 소재를 활용한 새로운 혼방 원단을 도입하며 생산 능력과 수출 물량을 동시에 확대한 Merinos Gülsan Sentetik과 같은 합성 섬유 중심 제조업체들의 매출 실적에서 확인할 수 있다한편, Sanko Tekstil, Kipaş Mensucat, Kordsa 등 대형 통합 기업들은 방적, 직조, 마감 공정 전반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지속하며, 면 기반 생산을 유지하는 동시에 기술 섬유 및 지속가능 섬유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2024튀르키예 주요 섬유 기업 순위>

(단위: US$)

순위

ISO 순위

기업명

순매출

1

106

Merinos

551,124,086

2

140

Gülsan Sentetik

425,837,892

3

177

Sanko Tekstil

408,022,574

4

148

Kipaş Mensucat

399,283,344

5

176

Kordsa

347,542,317

6

237

Melike Tekstil

330,396,914

7

218

Karafiber Tekstil

324,839,576

8

216

Hugo Boss

287,221,786

9

247

Almaxtex Tekstil

283,053,600

10

249

Sun Tekstil

254,540,210

[자료: 이스탄불 상공회의소(ISO) 500 랭킹]


최신 기술 및 생산 동향

 

튀르키예의 섬유 제조 부문은 디지털 전환과 스마트 생산 기술을 빠르게 도입하고 있다. AI, 3D 디자인, 첨단 합성소재의 통합은 제품 개발부터 물류에 이르기까지 가치사슬의 핵심 단계들을 재편하고 있다. 튀르키예의 의류산업협회(TİHCAD) 회장 에르긴 아이든(Ergin Aydın)에 따르면, AI 3D 기술을 활용하면 브랜드들이 단 하나의 프로토타입만으로 컬렉션을 승인하거나, 아예 디지털 샘플만으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게 돼 물리적인 시제품의 생산 자체가 불필요해지는 시대가 오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화 추세는 재활용 및 바이오 기반 합성소재를 포함한 지속가능 생산 및 첨단 소재 분야에 대한 투자 확대와 병행되고 있다. 튀르키예의 제조업체들은 EU의 환경 규제에 부응하기 위해 에너지 효율성 제고, 수처리 재활용, 친환경 합성섬유 개발 등에 적극 투자하고 있다. 예를 들어, Sun Tekstil이라는 기업은 지난 3년간 연구개발(R&D), 생산능력 확장, AI 기반 디지털 디자인 시스템 구축에 총 16억 리라(약 543억2000만 원)를 투입했으며, 염색 공정에서 90%에 달하는 수자원 재활용률을 달성한 바 있다.

 

시장 성장동력

 

튀르키예의 섬유 시장은 소비자의 행동 변화, 디지털화, 지속가능성 요구에 힘입어 점진적인 변화를 겪고 있다. 전자상거래의 급성장은 소매 환경을 재편했으며, 소비자들은 전통적인 매장에 비해 저렴한 가격과 다양한 의류를 제공하는 온라인 플랫폼을 점점 더 선호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은 가격 경쟁을 심화시켜 국내 제조업체와 소매업체들이 비용 최적화를 추진하는 동시에 새로운 판매 채널에 적응하기 위한 유인을 제공하고 있다동시에, 환경에 대한 인식 증가가 유기농 면, 재활용 폴리에스터 및 기타 친환경 소재로 만든 제품에 대한 수요를 촉진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의류 및 가정용 섬유 트렌드는 보다 중립적이고 조화로운 색상 팔레트와 비용 대비 성능 및 내구성을 강조한 제품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와 함께, 시장에 공급되는 상품들은 기능성 및 기술섬유와 같은 고부가가치 부문으로 점차 전환되고 있어, '혁신성능지속가능성' 등의 가치가 상품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


수출 동향

 

튀르키예의 섬유 및 의류 산업은 국가의 가장 오랜 수출 기반 산업 중 하나로, 유럽 시장으로의 수출이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주요 수출 대상국으로는 독일이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뒤를 미국, 스페인, 네덜란드가 잇고 있다. Zara, H&M, Nike, Tommy Hilfiger, Converse 등 글로벌 패션 브랜드들은 튀르키예의 견고한 생산 기반, 숙련된 노동력, 물류상의 이점을 높이 평가하며, 오랫동안 현지 제조업체들과 협력 관계를 유지해 왔다.

 

다만, 각종 거시 지표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생산 비용이 증가하게 되면서 20258월 기준 튀르키예의 섬유 수출액은 약 204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9% 감소했다. 최대 수출국인 독일로의 수출은 8% 감소했으며, 스페인과 네덜란드로의 수출도 각각 6.2%, 6% 줄어들었. 반면, 이라크로의 수출은 12.2% 증가해 전통적인 유럽 지역 외에 타 지역으로의 시장 다각화 시도가 이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최근 3개년 튀르키예 섬유제품 수출 동향 (HS Code 50~63)>

(단위: US$ 천, %)

순위

국가명

수출액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24/'25)

시장

점유율

('25)

2022

2023

2024

2025(8월)

전체

35,228,382

32,868,426

32,036,992

20,380,286

-3.89

100

1

독일

4,588,636

4,009,971

3,740,291

2,338,280

-7.99

11.5

2

네덜란드

2,025,847

2,094,302

2,354,105

1,580,281

-6.00

7.8

3

스페인

3,123,529

2,720,761

2,377,367

1,516,550

-6.24

7.4

4

미국

2,576,871

2,372,062

2,397,241

1,512,012

-4.71

7.4

5

영국

2,620,138

2,155,026

2,111,727

1,357,414

-2.46

6.7

6

이탈리아

1,866,581

1,544,614

1,407,910

933,766

-2.48

4.6

7

프랑스

1,407,279

1,293,378

1,168,924

736,397

-4.86

3.6

8

이라크

781,705

799,101

941,297

588,302

12.22

2.9

9

폴란드

695,111

868,081

970,906

542,036

-11.33

2.7

10

이집트

564,607

288,302

347,368

453,603

30.58

2.2

70

한국

45,315

39,429

37,697

29,248

14.61

0.1

[자료: Global Trade Atlas(2025.10.6.)]



수입 동향

 

튀르키예의 섬유 산업, 특히 합성 섬유 및 직물(직조 및 편직) 부문은 아시아 및 기타 주요 생산국으로부터의 원자재 수입 규모가 큰 편에 속한다. 25/26 시즌 튀르키예의 면화 소비량은 145만 톤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그 중 약 70만 톤이 국내 생산으로 공급되고 있다. 튀르키예의 면화 수입은 브라질과 미국이 전체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뒤를 아제르바이잔, 그리스, 시리아 등이 잇고 있다. 최근 튀르키예가 유기농 면화 생산 및 제조 역량을 확대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합성 섬유 분야의 수입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2311억 달러였던 합성 섬유 수입액은 202412억 달러로 증가했으며, 2025년에는 상반기 기준 73700만 달러를 기록했다.

 

20258월 기준 튀르키예의 섬유 수입 총액은 약 85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6% 증가했다. 주요 수입국은 중국으로, 약 17억 달러의 거래액을 기록하며 20.1%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그 뒤를 이집트(약 63500만 달러), 방글라데시(약 63400만 달러), 이탈리아(약 5억4700만 달러)가 뒤따르고 있다. 특히 이집트로부터의 수입은 48.0%의 급증세를 보여, 튀르키예 섬유 제조업체들의 현지 이전이 수입 구조에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14.9% 감소한 약 26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와 동시에 튀르키예 정부는 수입 관련 규제를 강화하고 있으며, 추가적인 통관 서류 요건과 감시 제도를 도입했다. HS 코드 60번에 해당하는 크로셰 직물에 대한 세이프가드 조사(Safeguard Investigation)는 최근 별도 조치 없이 종료됐으나, 현재 섬유 산업은 튀르키예 내 전체 무역규제조치(Trade Defense Measures) 중 약 25%를 차지하고 있어 가장 규제 강도가 높은 산업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튀르키예 섬유제품 3개년 수입 동향 (HS Code 50~63)>

(단위 : US$ 천, %)

순위

국가명

수입액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24/'25)

시장

점유율

('25)

2022

2023

2024

2025(8월)

전체

15,073,481

12,238,956

12,025,517

8,504,044

6.08

100

1

중국

3,003,998

2,583,129

2,530,747

1,709,724

8.55

20.10

2

이집트

582,565

674,387

685,298

635,121

47.98

7.47

3

방글라데시

614,575

620,902

827,833

633,884

15.25

7.45

4

미국

1,240,289

782,327

437,239

592,502

59.71

6.97

5

이탈리아

791,002

875,385

827,201

546,703

-4.82

6.43

6

브라질

644,956

302,840

476,145

462,585

28.48

5.44

7

인도

1,020,196

801,904

552,143

363,776

-6.26

4.28

8

인도네시아

400,959

214,540

345,745

249,557

18.77

2.93

9

독일

23,127

242,629

214,454

215,930

0.69

2.54

10

한국

549,272

387,767

349,442

206,444

-14.92

2.43

[자료: Global Trade Atlas(2025.10.6.)]

  

진출전략 - SWOT 분석

 

<SWOT 분석>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 유럽, 중동, 북아프리카 및 흑해 시장과의 근접성 확보 및 광범위한 물류 네트워크 보유

- 현행 유럽 기준 및 규제에 대한 완전한 준수

- 숙련된 인력을 갖춘 잘 구축된 섬유 제조 기반

- 원자재(면화 및 합성 섬유) 수입 의존도가 높아 가격 변동성과 공급 측면의 문제 대응에 다소 취약

- 에너지, 인건비, 물류비 상승과 금융 접근성 문제로 인한 생산 비용 증가

- 산업 구조가 분산돼 있으며, 다수의 중소규모 생산자들이 현대화 및 연구개발 투자 미비

기회(Opportunities)

위협(Threats)

- 기술섬유, 친환경 원단 및 유기농 면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

- 자동화 및 디지털 전환으로 신세대 섬유 기계, 센서 및 생산 소프트웨어에 대한 수요 창출

- 튀르키예 정부의 친환경 전환 인센티브로 재활용, 염색 및 마감 기술 분야에서 지속가능성 프로젝트와 외국인 협력 장려

- 지속적인 고인플레이션과 환율 변동성으로 인해 운영 리스크가 증가하고 가격 및 결제 불안정성 초래

- 소비자 구매력 감소로 국내 소매 판매 수요 둔화

[자료: KOTRA 이스탄불무역관 정리]


유망 분야

 

튀르키예의 섬유 산업은 전통적인 의류 중심에서 점차 고부가가치, 기능성, 스마트 소재 분야로 진화하고 있다. 전기차 및 커넥티드 모빌리티 산업의 확산과 함께, 단열성, 난연성, 내구성이 우수한 기술섬유(technical textiles)에 대한 수요가 새롭게 부상하고 있으며, 다수의 튀르키예 국내 제조업체들이 이 분야에서 연구개발(R&D) 및 파일럿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이러한 흐름은 친환경 및 기술 지향 산업에 대한 정부의 인센티브 정책에 의해 지원받고 있다.

 

또한, 튀르키예의 혁신 생태계는 인공지능(AI) 및 사물인터넷(IoT)이 통합된 섬유 솔루션을 개발하는 스타트업들의 성장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들은 온도, 압력, 동작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스마트 섬유를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모빌리티, 헬스케어, 환자 돌봄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산업용 섬유 부문에서는 여전히 합성 섬유 및 플라스틱계 원자재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는 원재료의 안정적인 공급과 소재 기술 협력에 대한 수요가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생산 측면에서는 디지털화 및 AI 기반 자동화 기술이 경쟁력 확보의 핵심 요소로 부상하고 있으며, 튀르키예의 제조업체들은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로봇 절단 기술, 데이터 기반 공정 제어 시스템 등을 적극 도입하고 있다이러한 구조 전환은 기계 장비, 공정 소프트웨어, 디지털 생산 기술 분야에서 한국 기업들과의 협력 가능성을 새롭게 창출하고 있다.

 

시사점

 

튀르키예의 섬유 산업은 현재 구조적인 전환기를 지나고 있다.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급성장은 전통적인 섬유 상권과 도매 채널의 수요를 분산시키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과도기에 튀르키예는 기술섬유 및 지속가능 섬유로의 전환을 본격화하고 있으며, 정부의 디지털 및 친환경 전환 정책과 맞물려 산업 구조 재편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국제 협력의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고 있으며, 한국 기업들로서는 고급 섬유소재, 기술 직물, EU 환경규제에 부합하는 친환경 화학소재, 자동화 및 AI 기반 생산기술 분야에서 유망한 진출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다. 이처럼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기술 기반 및 지속가능성을 중시하는 솔루션을 보유한 기업들이 튀르키예 산업과의 협력에서 가장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산업이 고부가가치 생산 중심으로 재편되는 과정에서 이러한 파트너십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될 전망이다.

 

 

자료Euromonitor, Statista, Global Trade Atlas, MUSIAD, ekonomim, DW, Birgun, Ministry of Trade, AA, ITKIB, Textilegence, UNDP, Is Bank, Istanbul Chamber of Industry, Narter&Partners, KOTRA 이스탄불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5년 튀르키예 섬유 및 의류산업 정보)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