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집트 섬유 반응성 염료 시장 동향
- 상품DB
 - 이집트
 - 카이로무역관 문숙미
 - 2025-11-03
 - 출처 : KOTRA
 
 - 
				
				
					
				
				
				
				
				
				
				
					
전통적인 섬유 제조 강국으로, 최근 섬유 및 의료봉제 분야에 외국기업 투자 진출 확대 중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이후 이집트 미국 수출 기지로 주목 받아
미국 수출용 고급 의류 봉제기업 대상 반응성 염료 시장 확대 기회
상품명 및 HS CODE : (상품명) 반응성 염료, (HS CODE) 320416
<염색 처리된 섬유>

[자료원: Pixabay]
이집트 염료 시장 동향
이집트에는 염료를 수입하거나 원료 및 중간 화합물(예: 원료 중간재, 1차 염료 화합물)을 수입해 혼합하거나, 희석해 유통하고 있으며 염료 원료 자체를 생산하는 기업은 거의 없다. 이에 따라 현지 염료 시장은 수입 규모로 추정해 볼 수 있다. IHS Markit에 따르면, 2024년 섬유 염료(HS CODE 3204)의 총 수입액은 1억2390만 달러 규모로 전년 대비 5.3% 증가했고, 2025년 상반기에는 전년 동기 대비 12.2% 증가한 6530만 달러를 기록했다. 세부적으로는 반응성 염료(HS CODE 320416)의 2024년 수입액이 전년 대비 27.2% 증가해 전체 염료 수입의 21.2%를 점유했고, 2025년 상반기에는 1520만 달러를 수입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2% 증가했고 점유율도 23.3%로 확대됐다. 반응성 염료는 2024년 이후 분산 염료(HS CODE 320411)의 점유율을 넘어서며 이집트 최다 수입 염료가 되었다. 분산 염료의 점유율은 2022년 24.6%에서 2025년 상반기 18.0%로 감소했다.
<이집트 섬유 염료 수입 규모>
(단위: 백만 달러, %. %)
품목/HSCODE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1~6월)
수입액
성장률
비중
수입액
성장률
비중
수입액
성장률
비중
수입액
성장률
비중
염료/3204
143.0
-0.9
100
117.7
-17.7
100
123.9
5.3
100
65.3
12.2
100
분산 염료(320411)
* 폴리에스터(아웃도어, 스포츠웨어 소재) 섬유에 사용
35.2
33.2
24.6
26.7
-24.2
22.7
25.6
-4.2
20.6
11.7
-17.2
18.0
산성 염료(320412)
* 나일론과 울, 견 섬유 등에 사용
7.2
11.2
5.0
4.5
-36.8
3.9
7.7
69.2
6.2
3.3
42.6
5.1
반응성 염료(320416)
* 면, 마, 레이온 등 천연섬유에 사용
24.7
-6.7
17.3
20.7
-16.1
17.6
26.3
27.2
21.2
15.2
13.2
23.3
기타
75.9
-10.6
53.1
65.8
-13.4
55.9
64.4
-2.1
51.9
35.0
-45.6
53.6
[자료: IHS Markit, 2025.10.8]
엘 스웨디 인더스트리얼 디벨롭먼트(Elsewedy Industrial Development)의 섬유산업 보고서(‘25.5월)에 따르면, 이집트는 아프리카 최대 면화 및 섬유‧의류 제조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있는 유일한 국가로, 면류의 사용 비중이 높다. 천연섬유 중 75%가 면이며, 수출 의류 중 약 40%가 면 소재다. 이에 반응성 염료의 수출 확대는 면류 사용 비중이 높은 이집트 시장의 특성을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 대미 수출용 아웃도어 웨어 및 스포츠 웨어 제조를 위한 폴리에스터 섬유 사용도 꾸준할 것으로 보이는 바, 분산 염료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도 예상된다.
국가별 수입 동향
반응성 염료 수입국은 인도가 1위로 2024년 전년 대비 3.1% 상승한 1105만 달러 수준이며, 2025년 상반기에는 전년 동기 대비 35.8% 상승한 671만 달러를 수입해 시장의 44.1%를 차지했다. 2위는 한국으로 2022년, 2023년 수입 증감률이 각각 -11.4%, -26.7%로 감소했으나 2024년 40.6% 증가하며 1069만 달러를 기록했다. 2025년 상반기에는 612만 달러를 수출하며 전년 상반기 대비 3.7% 감소했으나, 점유율은 40.2%로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3위 수입국은 중국으로 최근 수입 증가율과 점유율 확대가 눈에 띈다. 2022년 성장률이 감소하면서 점유율이 7.4%에서 2023년 4.1%까지 하락했다가 2024년 수입이 전년 대비 165.4% 급등한 224만 달러를 기록했다. 2025년 상반기에도 전년 동기 대비 74.5% 상승하며 시장의 9.1%를 차지했다. 2022~2023년 성장률이 평균 대비 낮았던 것과 대조적이다. 최근 이집트의 대중국 수입 증가는 중국 섬유‧의류 제조 기업들의 이집트로의 생산기지 이전이 활발해지면서 관련 염료 수입이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집트의 반응성 염료(HS CODE 320416) 수입 동향>
(단위: 천 달러, %, %)No.
국가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1~6월
수입액
성장률
비중
수입액
성장률
비중
수입액
성장률
비중
수입액
성장률
비중
전세계
24,666
△6.7
100.0
20,703
△16.1
100.0
26,328
27.2
100.0
15,215.0
13.2
100.0
1
인도
10,429
△0.1
42.3
10,713
2.7
51.7
11,045
3.1
42.0
6,708.0
35.8
44.1
2
한국
10,120
△11.4
41.0
7,418
△26.7
35.8
10,687
44.1
40.6
6,115.0
△3.7
40.2
3
중국
1,826
△19.9
7.4
842
△53.9
4.1
2,235
165.4
8.5
1,382.0
74.5
9.1
4
터키
1,147
13.5
4.7
1,080
△5.8
5.2
1,071
△0.8
4.1
342.0
△43.3
2.2
5
태국
151
-
0.6
342
126.5
1.7
273
△20.2
1.0
174.0
16.0
1.1
6
스위스
38
△52.5
0.2
0
△100.0
0.0
162
-
0.6
129.0
1.6
0.8
7
이탈리아
425
507.1
1.7
14
△96.7
0.1
192
1271.4
0.7
127.0
477.3
0.8
8
사우디
134
41.1
0.5
24
△82.1
0.1
39
62.5
0.1
109.0
186.8
0.7
9
대만
0
△100.0
0.0
5
-
0.0
79
1480.0
0.3
60.0
△7.7
0.4
10
일본
21
△82.5
0.1
4
△81.0
0.0
64
1500.0
0.2
39.0
44.4
0.3
[자료: IHS Markit, 2025.10.6]
유통 채널 구조
1. 수입업체/현지 대리점: 이집트는 섬유 염료의 대부분을 인도, 한국, 중국, 터키로부터 수입한다. 이 업체들은 해외 제조업체와 직접 계약을 맺고, 특정 염료 브랜드에 대한 독점 유통권을 보유하며, 카이로, 알렉산드리아, 텐스오브라마단(10th of Ramadan) 지역에 재고 관리를 위한 창고 시설을 운영한다.
2. 유통업체/도매상: 수입업체들은 대량 선적 물량을 현지 유통업체에 판매하는 경우가 많다. 유통업체는 대량 물량을 지역 염색공장과 중소 섬유 공장에 소량으로 공급하며 소규모 공방에 신용거래를 제공하기도 한다.
3. 섬유 화학 공급업체(블렌딩/컴파운딩 업체): 일부 현지 수입업자들은 단순한 염료 판매뿐 아니라 염료 사용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즉, 수입 염료를 보조제나 화학제품과 혼합·희석하거나 배합하여 현지 염색 공정에 맞게 제조하는 작업을 돕는다. 이들은 염료별로 이집트산 면·폴리에스터 직물 사용에 적합한지를 파악하고, 특정 염료 제조에 기술을 지원하기도 한다.
4. 대형 섬유 공장에 직접 판매: 일부 마할라 알쿠브라(Mahalla El-Kubra), 카프르 엘다와르(Kafr El-Dawar), 보르그 엘 아랍(Borg El Arab) 지역의 대형 통합 섬유업체들은 염료를 직수입한다. 이런 경우 국영 대기업이나 수출 비중이 높은 민간 방직공장들은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해외 제조업체와 직접 장기 계약을 체결하기도 한다.
5. 최종 사용자: 이집트 시장에서 최종 염료 사용자는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대규모 섬유 및 의류 공장(면, 폴리에스터, 혼방, 가정용 섬유, 데님 등)과 친환경 규격에 적합한 염료 구입을 희망하는 수출 기업으로 특히 미국, EU 등 선진시장에 수출하는 기업들은 유럽 및 한국 염료를 선호한다. 둘째는 중소기업 및 소규모 공장으로 내수 공급을 주로 하며, 이들은 친환경 인증보다는 저렴한 가격의 염료를 더 선호한다.
<이집트 섬유 염료 유통 경로 구조>

[자료: KOTRA 카이로 무역관 정리]
유통기업
이집트 섬유 염료 구매자를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면, 대표적으로 아래의 기업들이 있다.
<이집트 섬유 염료 구매자 목록 및 특성>
기업명
기업 특징
기업 유형
Al Arafa for Investment & Consultancies
(Arafa Group)
www.arafaholding.com
• 이집트 대표 섬유·의류 제조사로 국내 도소매는 물론 수출도 활발하게 진행하며, 수직계열화된 비즈니스 모델 구축
• 고급·캐주얼 의류와 관련 70여 개국에 네트워크 보유
• Concrete(이집트), Baird Group(영국) 등 브랜드 보유
• Pal Zileri(이탈리아 럭셔리 브랜드) 지분 보유
* 부동산·관광 등 타 분야 투자도 활발
• 섬유 및 의류 수출 대기업
• 미국 및 EU 수출
• 친환경·고품질 염료 수요
→ 한국/유럽산 선호
Dice Sport & Casual Wear
www.dice.eg
• 이집트 대표 의류기업으로 국내 입지가 탄탄하며 수출도 진행
• 글로벌 기준을 충족하는 염료를 대규모로 꾸준히 구입
Misr Spinning and Weaving Company
(El Mahalla El Kubra)
www.misrmehalla.com
• 중동·아프리카의 최대 종합 섬유 기업으로 면사, 원단, 의류 생산
• 글로벌 공급업체와 수입업체 통해 염료 대량 구매
Delta Spinning Weaving
www.deltatex.com
• 1960년대 설립한 기업으로, 면사(yarns), 직물(fabrics), 홈 텍스타일 제품(테이블보, 침구, 수건), 봉제 의류 등 생산
• 미국 및 유럽으로 제품 대량 수출
Hesni Textiles
www.hesnitextiles.com
• 1898년 설립된 이집트의 섬유기업으로 El-Hesn Textiles로도 알려져 있음. 방적, 편직, 제직, 염색, 프린팅, 가공, 재단 및 봉제에 이르는 수직 통합형 섬유 생산 시스템을 갖추고 있음.
• 연간 생산능력은 직물 4500만 미터, 편직 원단 8000톤, 방적사 1300톤 규모 수준이며 생산량 중 상당 부분은 유럽 및 미국으로 수출 중
• 직물 및 편직 원단에 대한 현대적 생산 서비스를 유지하고 있으며, 품질, 디자인, 지속 가능성을 중시함
Alexandria Spinning & Weaving Co.
(Alex Spinning, SPINALEX)
www.spinalex.com
• 알렉산드리아 기반의 EGX 상장기업으로 면사 및 혼방사를 전문으로 생산
• 마감 공정에 수입 염료 및 화학제품을 사용하고 있음
• 내수 및 수출 시장 공급 기업으로 이집트 섬유 가치사슬 내 중요한 중견 업체임
• 중견 제조업체 및 염색공장 운영 기업
• 내수·수출 병행
• 품질과 비용간
균형있는 염료 수요
→ 한국산 일부, 인도/중국산 선호
Egyptian International Textile Company
(EITEX, Liontex)
www.liontex.com.eg
• 2009년 포트사이드에서 설립한 이집트의 주요 섬유 생산기업
• 광범위한 원단 공급 및 직물 생산 전문 기업
El Nasr Clothing & Textiles (Kabo)
www.kabo.com.eg
• 이집트 전통적인 섬유 생산기업으로 의류와 원단 생산
• 대중적인 내수시장과 수출시장 공략 병행
• 중간 규모 염료 소비, 비용·품질 균형적 조달 전략
Al Rowed Chemicals
www.alrowadchemicals
• 카이로에 설립한 25년 이상의 업력을 가진 기업으로 다양한 염료(반응성, 분산, 산성 염료) 수입·유통
• 반응성 염료 시장 점유율 30% 이상을 차지하며 이집트 대형 염색 공장의 90% 이상에 공급
• 염료 전문 대형 수입 유통기업
→ 수요층 다양
Master-Chem
www.masterchem-eg.com
• 섬유 보조제 및 염료 판매·마케팅·기술 서비스 전문기업
• DyStar 염료 이집트 공식 유통업체이자, 독일 ‘Zschimmer & Schwarz Mohsdorf GmbH & Co KG’사의 섬유 보조제 독점 대리점, 이탈리아 ‘Durst Phototechnik AG’의 디지털 날염기계 독점 에이전트임
[자료: 바이어 인터뷰 및 KOTRA 카이로 무역관 정리]
경쟁 동향
염료 구매자들은 경제적, 기술적, 규제적 요인 등을 고려하여 염료를 구입한다. 텍스타일 기업의 CEO인 M씨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염료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아래의 7가지 항목이다.
1. 가격 및 비용 경쟁력: 가격에 민감한 중소 규모 염색공장에 중요한 요소는 가격이다. 인도와 중국의 저비용 염료는 매력적인 구매처다. 구매자들은 종종 kg당 가격, 효율성(필요한 컬러를 얻는 데 필요한 염료량)을 중시한다. 또한 현지 유통업체의 신용 조건 등을 비교하며 구매를 결정한다. 많은 중소기업은 선불 결제가 어려운 경우가 많아 사후 결제 또는 소량 구매를 선호한다. 인도 및 중국 수출자들은 대리점을 통한 유연한 지급 조건을 제공하며 시장 경쟁력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2. 품질 및 성능: 면과 홈 텍스타일을 취급하는 대규모 섬유 수출업체는 색의 견뢰도(세탁, 빛, 마찰, 땀에 대한 저항성), 색상의 일관성(대규모 주문에서 동일한 색상 유지), 이집트산 면 및 폴리에스터 원단과의 호환성 등을 중시한다. 이런 기능이 낮으면 재염색 비용이 발생하므로 구매자들은 이를 꼼꼼히 살핀다.
3. 환경 규제 준수 및 인증: 수출 제조사는 국제 기준 충족 여부를 매우 중시한다. 특히 중요한 인증은 ‘REACH’, ‘Oeko-Tex Standard 100’, ‘ZDHC’이다. 한국 염료는 높은 환경 규제를 준수하고 있어 선호되며, 최근에는 일부 인도 및 중국 공급업체도 해당 인증을 획득하고 있다.
4. 가용성 및 공급 신뢰성: 구매자들은 신속한 공급을 위해 현지에 재고를 보유한 공급업체를 선호한다. 이집트의 많은 중소형 섬유 제조사들은 대규모 재고를 유지할 여력이 없으므로 필요할 때마다 주문한 후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는 공급처인지를 고려한다. 특히 이집트의 빈번한 수입통관 지연은 생산 중단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알렉산드리아, 카이로 등 섬유 집적지에 물류창고를 둔 유통업체를 선호한다.
5. 기술 지원 및 애프터서비스: 구매자(특히 중소기업)는 다양한 원단에 적합한 염료 배합 가이드를 제공하는 공급업체를 찾는다. 염료 배합 과정에서 현장 기술 지원을 제공하고 운영자에게 최적의 염료 사용법을 교육할 수 있는 공급업체는 폐기물 감소 및 품질 향상에 도움이 된다. 한국과 유럽 공급업체가 이 부문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프리미엄 시장에서의 경쟁 우위를 갖추고 있다.
6. 브랜드 평판 및 신뢰: 잘 확립된 국제 브랜드는 염료 색깔의 일관성 및 염료 배합 실패 위험이 낮아 신뢰를 얻는다. 현지 공방은 브랜드 선택 시 입소문과 과거 경험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7. 적용 분야별 요구: 구매자들은 섬유 분야에 따라 염료를 선택한다. 면 직물(이집트 강세 분야)에는 반응성 염료, VAT 염료를 사용하고, 폴리에스터 및 혼합직물에는 분산 염료를, 패션/기능성 원단에는 자외선 차단 및 고광도 특수 염료를 사용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염료를 생산 및 공급하는 업체를 선호한다.
이집트 구매자들은 기업 규모와 시장 초점에 따라 가격, 품질, 규제 준수, 교육 및 기술 지원 서비스 등을 모두 균형있게 평가하여 구매한다. 가격에 민감한 중소기업은 주로 인도와 중국 염료를 선택하는 반면, 수출 비중이 높은 공장들은 높은 품질과 국제적 인증을 보유한 한국 또는 유럽산 염료를 선호한다고 요약할 수 있다.
이집트 시장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글로벌 염료 브랜드는 DyStar, Archroma, Huntsman 등과 Atul, Kiri, Sudarshan, Meghmani 등 인도의 대형 제조업체들이 있다. 현지 유통업체로는 Master-Chem/Masterchem-EG, Al-Rowad Chemicals, 그리고 Bodo Moeller Chemie(카이로)와 같은 독점 유통기업과 대리점이 있다. 아래는 대표적인 기업들이다.
<이집트에서 판매 중인 글로벌 염료 제조사 및 선호 이유>
순번
브랜드(국가)
선호 이유
1
Archroma
(스위스)
• Archroma 염료는 높은 성능, 우수한 환경 규제 준수, 비용 효율성을 동시에 갖추고 있어 이집트 방적 및 염색 공장에 최상위 솔루션으로 인식되고 있음.
• 이집트의 대규모 면직물 중심 섬유 산업은 물 부족, 높은 에너지 비용, 친환경 생산에 대한 요구 증가 등의 과제를 안고 있는데, Archroma의 AVITERA SE 및 EarthColors와 같은 지속 가능 염색 기술은 물·에너지·화학 사용량을 감소시키면서도 우수한 견뢰도와 색상 일관성을 제공함.
• 친환경 규격인 ZDHC, bluesign, GOTS 등 글로벌 규격을 충족하여 이집트 섬유 제품이 특히 유럽 시장에서 수출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일조하고 있으며, 폐기물 및 재생 원료 사용을 강화하는 지속 가능한 경영을 추진하고 있음.
2
DyStar
(싱가포르)
• DyStar는 독일의 Hoechst AG와 Bayer AG의 섬유 염료 사업부의 합자 기업으로 싱가포르에 본사를 두고, 생산은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독일 등에서 진행함.
• 일관된 색상, 높은 견뢰도, 안정적 성능을 갖춘 프리미엄 염료 생산 기업임.
• 반응성, 분산성, 바트, 황화, 직접 염료 및 보조제를 포함한 폭넓은 제품군을 제공하여 대규모 방적·직조 업체들에 전 품목을 공급하고 있음.
• 유럽·미국 등으로 수출하는 이집트 방적·직물 업체들이 바이어의 까다로운 테스트를 통과할 수 있는 품질 높은 염료를 제공하고 있음.
* 이집트산 면제품(타월, 홈 텍스타일, 의류) 수출업체들은 DyStar 사용을 유럽 및 미국 바이어와 협상 시 판매 포인트로 활용함.
3
Huntsman
(스위스)
• Huntsman은 미국 기업이었으나 섬유 염료 부문을 스위스 기업 Archroma가 인수함
• Huntsman의 반응성 및 분산 염료는 색 강도, 재현성, 일관된 색상 등에서 프리미엄 제품으로 인식되며, 유럽‧미국에 수출하는 방직업체(특히 면 소재 의류)에 요구되는 엄격한 품질 기준을 충족함.
• 또한 친환경 인증과 강력한 기술 지원을 제공하여 품질과 지속 가능성 측면에서 이집트 기업이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는 브랜드로 인식됨.
• Huntsman은 이집트에서 수십 년간 활동하면서 마할라, 알렉산드리아, 텐스 오브 라마단 시티의 주요 섬유그룹들을 고객으로 두고 있음
4
OH YOUNG
(한국)
• 이집트 섬유산업은 면과 폴리에스터 혼방 직물이 많아 반응성 및 분산 염료가 모두 필요하며, 오영은 두 가지 품목을 모두 생산하고 있음.
• EU·미국 수출에 요구되는 인증과 견뢰도에 신뢰할 만한 품질을 보유하고 있음.
• 우수한 품질, 가격 경쟁력, 국제 인증, 단단한 현지 네트워크를 결합해 이집트 기업들의 신뢰를 확보하고 있음.
* 특히 전국적 네트워크가 강한 파트너사와 독점 계약을 통해 높은 브랜드 인지도를 확보함
5
KISCO
(한국)
• KISCO(경인산업)는 50년 이상의 경험과 선진 R&D 역량을 바탕으로 고품질 친환경 염료와 국제 기준(REACH, bluesign 등)을 충족하는 정밀화학 제품에서 강한 글로벌 명성을 보유함.
• 이집트의 섬유은 물론 화학 산업에서 인지도가 높음.
• 다양한 섬유 및 환경 조건에 맞춘 반응염료, 분산염료, 산성염료 등을 폭넓게 공급하고 있으며, 대규모 생산능력, 높은 신뢰도, 일관된 품질 제공 능력을 갖추고 있어, 최종 고객사의 제품 품질을 향상시키고 불량률을 낮추며 글로벌 시장 경쟁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
• 이집트 파트너사를 통해 안정적인 공급, 기술 지원, 제조업체 대상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지속가능성을 실천하는 경영은 친환경 제조를 중요하게 여기는 이집트 섬유 산업 정책과 부합함.
[자료: 바이어 인터뷰 및 KOTRA 카이로 무역관 정리]
한국산 염료에 대한 바이어 평가
의류 날염 기업인 S사의 CEO M씨에 따르면, 한국산 염료는 높은 품질과 고른 품질로 이집트 시장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한국산 염료는 균일한 착색, 세탁·광·마찰에 대한 높은 견뢰도, 안정적인 색상을 갖춘 것으로 유명하다. 이런 특성은 글로벌 의류 및 가정용 섬유 제조기업들에 매력적인 포인트로 작용한다.
또한, 한국산 섬유 염료는 글로벌 친환경 규정을 준수하는 것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친환경 규정인 REACH(EU), Oeko-Tex, ZDHC 등 국제 기준을 충족한다. 이에 엄격한 환경 기준 요구하는 미국 및 EU의 프리미엄 섬유 및 수출 의류로도 수요층을 확대하고 있다. 한국산 염료는 반응성 염료 이외에도 기능성 원단, 스포츠 웨어, 디지털 섬유 날염, 고급 패션 섬유 등 고도의 염색 성능이 필요한 프리미엄 제품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관세
이집트 관세청에 따르면, 이집트는 반응성 염료(HS 코드 320416)에 대해 2%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단, FTA 체결국인 EU, EFTA, 터키, 영국에는 관세를 면제하고 있고, 메르코수르(Mercosur) 회원국에는 관세율 87.5% 인하, 아프리카대륙 자유무역협정(AfCFTA) 회원국에는 40~80%(회원국별 상이)를 인하하고 있다.
수입 규정
1. GOEIC(이집트 수출입 관리청) 검사: 이집트에 수출하는 염료는 이집트 품질표준청(Egyptian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and Quality, 이하 EOS)의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수입통관 시 GOEIC이 수입품 중 일부를 무작위 추출하여 EOS의 품질 기준을 준수했는지 검사를 진행한다. 검사에 불합격하면 해당 선박은 반송 혹은 재수출 조치될 수 있다.
2. 중앙 실험실 검사: 염료는 견뢰도(색상 지속성), 중금속 함량, 금지된 아민, 유해 잔류물 여부를 시험한다. 특히 Misr Spinning & Weaving과 같은 대형 수출업체는 새로운 염료 배치를 사용하기 전에 독립적인 실험실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3. 적합성 평가: 이집트는 일부 수입 제품에 대해 인증 검사 기관(예: SGS, Intertek, Bureau Veritas)이 발행한 적합성 인증서(Certificate of Conformity, CoC)를 요구한다. 이는 일부 위험도가 높은 화학물질에 대해 요구된다.
4. 환경 및 안전 규정: 염료는 이집트 환경법 제4/1994호(법률 9/2009호로 개정)를 준수해야 한다. 수입업자와 사용자는 염료 폐기물의 안전한 취급, 저장 및 폐기를 보장해야 한다. 염료 폐수를 배출하는 공장은 이집트 환경청(EEAA)의 모니터링을 받는다.
5. 제품 기준 준수: 염료는 안전성, 독성, 성능에 대한 EOS의 기준을 충족해야 하며 대부분 ISO 또는 유럽 규정과 일치한다. 이 규정들은 수입 금지 품목 혹은 특정 수입 제한 물질을 언급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집트는 위험 화학물질에 대해 EU의 REACH와 유사한 수준의 제한을 적용한다. 발암물질인 아민을 방출하는 아조염료 및 중금속 기반 염료(예: 납, 카드뮴, 크롬 VI) 등은 수입이 금지된다. 최종 소비처가 미국 및 EU인 경우, 수출 기업의 염료는 ‘Oeko-Tex Standard 100’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6. 인증: REACH 인증 혹은 유사한 친환경 기준 준수는 이집트 수출에 의무 조항은 아니나, 미국 및 EU로 수출하는 기업들에 공급하는 경우 사실상 필수 인증이라 할 수 있다.
① Oeko-Tex/ZDHC 인증: 많은 수출 섬유기업(가정용 섬유, 의류, 면섬유 제조사 등)이 요구하는 인증이다.
② ISO 9001/ISO 14001: 품질 및 환경 경영 인증은 제품 및 기업에 대한 신뢰 확보에 필요한 인증이다.
전망 및 시사점
최근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로 중국, 베트남, 방글라데시, 인도, 인도네시아 등 국가들이 최소 20% 이상의 관세를 납부하게 된 반면, 이집트는 약 10%의 관세를 납부하게 되어 섬유‧의류 봉제 기업들이 자국의 높은 상호관세를 우회하여 이집트로 진출하는 사례가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향후 이 기업들의 진출로 대미 수출이 확대되면서 고급형 염료 수요도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동안 한국산 염료는 유럽산 염료와 비교할 때 환경 관련 인증을 취득하면서도 가격 경쟁력이 높다는 평가를 받으며 중고가 수출기업을 중심으로 염료 공급을 확대해 왔다. 이제는 한 단계 도약하여 유럽산 염료가 주도하고 있는 프리미엄급 의류 수출기업으로 고객층을 확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집트 국내에서 점차 강화되는 환경 규제에 맞춰 중소형 고객층에 대한 공급도 높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선진국의 환경 규제 강화에 대응할 수 있는 꾸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하고, 특히 심각한 물 부족 국가인 이집트의 특성에 맞춰 물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염료로 시장을 적극 공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국적인 네트워크를 보유한 전문성 있는 파트너를 통한 현지 물류창고를 운영하며 소형 물량을 주문하는 중소형 고객에도 적기에 제품 공급이 필요하다. 다양한 염료 수요에 맞게 염료 배합 방법 등에 대한 적극적인 교육지원과 기술 지원도 필요하다.
아울러 최근에는 분산 염료 수입이 다소 주춤하지만 향후 대미 수출을 목표로 한 외국 기업들의 이집트 진출이 본격화되면 수출용 고급 스포츠웨어, 아웃도어 웨어 등 폴리에스터의 제조 비중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바, 분산 염료 시장 변화에 대해서도 꾸준히 지켜봐야 할 것이다.
자료: IMARC 이집트 섬유‧의류 시장 보고서, Elsewedy Industrial Development, IHS Markit, 이집트표준품질기구(EOS), 바이어 인터뷰, Arham(현지 언론), KOTRA 카이로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이집트 섬유 반응성 염료 시장 동향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이집트 공기조절기 부품 시장 동향
							
						이집트 2025-11-03
 - 
						
							2
						
						
							홍콩 안마기 시장, 회복세 속 변화하는 트렌드
							
						홍콩 2025-11-03
 - 
						
							3
						
						
							2025년 멕시코 외국인 투자 및 한·중·일 투자 동향
							
						멕시코 2025-11-03
 - 
						
							4
						
						
							사례로 알아보는 중국 AI 의료산업 동향
							
						중국 2025-11-03
 - 
						
							5
						
						
							AI‧로봇부터 XR 게임까지, 2025년 홍콩 추계 전자전시회 참관기
							
						홍콩 2025-11-03
 - 
						
							6
						
						
							창의성과 효율을 동시에, AIGC가 바꾸는 중국 광고의 미래
							
						중국 2025-10-02
 
- 
						
							1
						
						
							2024년 이집트 자동차 산업 정보
							
						이집트 2024-11-04
 - 
						
							2
						
						
							2024년 이집트 가전산업 정보
							
						이집트 2024-10-14
 - 
						
							3
						
						
							2021 이집트 ICT 산업 정보
							
						이집트 2022-01-21
 - 
						
							4
						
						
							2021년 이집트 자동차산업 정보
							
						이집트 2022-01-20
 - 
						
							5
						
						
							이집트 프로젝트 산업 현황
							
						이집트 2022-01-19
 - 
						
							6
						
						
							2021 이집트 철강산업 정보
							
						이집트 2022-01-19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