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이집트 공기조절기 부품 시장 동향
  • 상품DB
  • 이집트
  • 카이로무역관 문숙미
  • 2025-11-03
  • 출처 : KOTRA

이집트 공기조절기 시장, 수입 의존도 높은 시장

이집트 가전 및 차량용 에어컨은 현지 조립 생산용 부품 수입이 대세

도시 개발 프로젝트 등으로 상업용 HVAC 시장 수요 지속 확대 예상

HS 코드 및 상품명


상품명

HS CODE

공기조절기 부품

841590


이집트 공기조절기 부품 시장 규모


<상업용 HVAC 장치>


[자료: Pixa Bay]

 

HS 코드 841590는 공기조절기의 부품으로 분류되며, 여기에는 모터 구동 팬과 온도 및 습도 조절 기능의 부품 등으로 구성된다. 이집트에는 시장 규모를 파악할 수 있는 공개된 자료가 없으나, 핵심 품목을 제조하는 현지 기업이 없어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2024년 연간 수입 규모는 약 9680만 달러 수준이며, 20241분기 이후 외환위기가 해소되면서 수입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EGICAT(VRF 시스템 등 기계 공급 및 설치 시공업체)의 구매 총괄자 A 씨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HS 841590(공기조절기 부품) 관련 제품의 현지 생산 기업은 없는 상황이며, 부품은 대체로 아래의 6개 영역으로 구분된다고 설명했다. 세부 품목별 시장 규모 및 비중과 관련된 공개 정보는 없으나, 공기조절기 부품의 주요 사용처는 가정용 에어컨, 차량용 에어컨, 주거용 건물, 상업용 HVAC 시스템 등이다. 수입 비중은 가전 분야, 자동차 분야, 빌딩 HAVC 순일 것으로 추정된다고 A 씨는 전했다.

 

<HS코드 8451290 부품 분류>

No.

종류

특징

주요 제조국

1

압축기

고부가가치 핵심 부품

일본/한국/미국

2

열교환기/콘덴서/증발기

공조 성능의 핵심, 대형/소형 다양

이탈리아/독일/중국/한국

3

팽창밸브/솔레노이드/밸브/라틴밸브

냉매 제어 부품

일본/이탈리아/중국

4

/모터/블로워

소형부터 산업용까지 전 범위

중국/한국/독일

5

전자제어보드

인버터형 스마트 HVAC용 핵심부품

한국/일본/미국

6

센서/온도제어기/스마트제어모듈

IoT 연동형 HVAC 수요 확대 중

독일/미국/일본

[자료: 카이로무역관 정리]

 

시장 동향

 

이집트는 가전, 자동차 등 제조업 분야의 자국 생산을 강조하며 수입 에어컨에는 60%, 자동차에는 배기량에 따라 40%~135% 상당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에 글로벌 제조사들이 직접 진출하거나, 파트너사를 통해 현지에서 조립생산하며 관련 부품을 수입하고 있다. OEM 제품에 사용되는 부품은 기존 제품의 공급망을 유지하며, 자사의 에어컨 부품을 수입하는 게 일반적이다.

 

가정용 에어컨의 경우, 현지 판매되는 에어컨의 약 92%를 현지에서 조립생산하고 있다. 글로벌 브랜드는 LG를 비롯해 샤프, 하이얼, Carrier 등이 진출했고, 그 외 Fresh El Araby 등의 현지 기업도 자체 브랜드의 에어컨을 생산하고 있. LG 2024 Raya Electric을 통해 에어컨을 위탁 생산한다고 발표했다. 이집트 소비자는 외환위기 이후 저렴한 제품을 선호하는 한편, 정부의 에너지 보조금 축소로 전기료가 지속 상승하면서 에너지 효율성이 높은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자동차의 경우 많은 글로벌 기업이 현지에서 조립생산하고 있다. 승용차는 한국 현대자동차가 파트너사를 통해 2개 모델(ElrantraAD, Accent RB)을 생산하고 있고, 일본은 닛산(Sunny, Sentra)과 도요타(Fortuner 2개 모델), 미쓰비시(트럭, 버스)가 진출했다. 중국은 체리(Tiggo, Tiggo7, Tiggo8, Tiggo4 Pro, Arrizo5), BYD(F3)가 진출했고, 미국은 JEEP(Grand Cherokee, Grand Cherokee L)가 진출했다. 버스는 도요타(HIACE), 쉐보레(N300 Passenger, GM-NPR Bus), King Long(XMQ 6500E), 미쓰비시(GB Cruiser) 등이 미니버스를 생산하고 있다. 트력의 경우 쉐보레, JMC, 미쓰비시, 스즈끼 등이 주로 픽업트럭을 생산하고 있다. 아직 이집트의 현지 브랜드는 없는 실정이다.

 

빌딩 HVAC의 경우, 주거용 빌딩은 가격이 저렴한 중국 제품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상업용 빌딩(특히 호텔, 병원, 쇼핑몰 등)의 HVAC에는 고효율, 저소음, 친환경(냉매), 스마트 제어 시스템 등이 트렌드로 부상하고 있으며 미국, 유럽, 일본 기업들이 주도하고 있다. 한국은 초기 단계로, LG가 병원 및 쇼핑몰 분야 HVAC 구축에 참여해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이집트 ICT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며 신행정수도 등 스마트 시티의 데이터센터 구축이 예정돼 있다. 아직까지는 초기 단계지만, 향후 데이터센터 냉각시스템 수요가 예상된다.

 

<이집트의 공기조절기 부품 주요 사용처>

No.

구분

대표 모델

사용처 및 핵심 부품

1

가정용 에어컨 

(Residential Air Conditioners)

벽걸이형(Split type), 스탠드형, 창문형(Window type), 포터블형(Portable AC)

가장 일반적인 사용처로, 압축기·응축기·증발기·팬모터·온도조절기 등 거의 모든 공기조절기 부품(HS 코드 841590) 포함

2

자동차용 에어컨 시스템 (Automotive Air Conditioning)

승용차, 버스, 트럭, 중장비 등

차량 내 냉난방 시스템에도 동일 원리가 적용되며, 콤프레서, 콘덴서, 에바포레이터, 팽창밸브, 팬모터 등이 공기조절기 부품(HS 코드 841590)에 포함될 수 있음

3

상업용 HVAC 시스템 

(Commercial HVAC Systems)

중앙 공조기(Central Air Handling Units), 패키지형 에어컨(Packaged Units), 냉수식 칠러(Chiller), FCU(Fan Coil Unit)

대형 빌딩, 호텔, 병원, 쇼핑몰, 공항 등에 사용되며공기조절기 부품(HS 코드 841590) 중 열교환기, , 센서, 밸브류, 제어보드 등이 핵심 부품

4

산업용 냉각 장비 

(Industrial Cooling / Process Cooling Systems)

산업용 냉각기(Industrial Chillers), 컴프레서형 냉각탑전자/기계 설비 냉각 장치

공장, 발전소, 석유화학 플랜트 등에서 열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며, 압축기·열교환기·팽창밸브 등이 다량 포함됨

5

특수 환경 제어 장비 

(Specialized Climate Control Equipment)

서버룸용 냉각기(Server Room Air Conditioner), 실험실용 항온항습기 (Temperature & Humidity Chamber), 냉장 창고 냉각 시스템(Cold Storage Units)

높은 정밀도나 연속 운전이 필요한 장비에서 정밀 온습도 조절기, 센서, 고효율 열교환기 등이 사용됨

[자료: KOTRA 카이로무역관 정리]


수입 동향


GTA에 의하면, 2023년에는 외화 부족 사태로 수입을 규제하면서 수입41.1% 감소한 약 6050만 달러를 기록했다. 2024년에는 IMF의 금융지원으로 외환 상황이 개선되면서 수입액이 59.9% 증가한 9680만 달러를 기록했다. 2025년 상반기에도 전년 상반기 대비 15.6% 상승한 5420만 달러를 기록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수입국별로 살펴보면, 중국은 1위로 2024년 전년 대비 60.6% 성장한 5560만 달러로 기록했고, 2025년 상반기에는 전년 동기 대비 11.4% 증가한 3210만 달러를 기록했다. 점유율은 2022년 47.6%에서 2023년 50%를 넘긴 후, 2025년 상반기 59.3%를 기록했다. 다른 수입 품목처럼 외환위기로 이집트 파운드의 가치가 하락하면서, 저렴한 중국산 수입품이 빠르게 시장을 점유해 가고 있다.


2위는 한국으로 2022년 1520만 달러를 수입해 시장의 14.6%를 점유했으나, 2023년에는 수입액이 전년 대비 59.7% 감소했다. 2024년 수입액은 전년 대비 30.4% 증가했으나, 점유율은 8.2%로 하락했다. 최근 한국, , , 등의 수입 점유율은  자리를 어주는 양상이다. EGICAT의 구매 총괄자에 따르면, 이집트의 화폐 가치 하락으로 저렴한 공급업체가 우선시된 점, 신용장(LC) 개설 지연으로 고가 제품 수입에 어려움이 생긴 점이 한국산 제품 수입이 줄어든 주요 원인이다.


그러나 2025년 상반기 대한국 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141.7% 증가한 1070만 달러를 기록했고, 2022년 점유율(14.8%)을 넘어서 19.7%를 차지했다. 이런 성장을 이끈 요인은 이집트 내 한국 HVAC 브랜드(예: 삼성, LG)의 확장이다. 특히 고품질 부품을 선호하는 상업용 및 주거용 프로젝트에서 한국산이 유럽 경쟁업체 대비 가격 경쟁력을 가지면서 공급망이 안정된 것이 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더불어 최근 HVAC 프로젝트(쇼핑몰, 신도시)에 한국기업이 참여하고 있어 이 추세면 2025년 말 한국산 수입은 2022년 수준과 유사하거나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3위 터키의 2023년 수입은 전년 대비 92.8% 감소해 20만 달러 기록한 후, 2024년 큰 폭으로 반등하며 390만 달러를 기록했다. 2025년 상반기에는 전년 동기 대비 409.0% 상승해 36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점유율은 6.7%다.


2025년 상반기 기준 4~7위는 체코, 태국, 사우디, UAE로 각각 약 100만 달러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체코는 유럽 기업들의 생산기지이며, 태국은 일본 기업의 생산기지 역할을 하고 있다. 더불어 UAE, 사우디는 중계무역을 통해 수입된 것으로 보인다. 8~10위 미국, 벨기에, 독일은 2024년 약 200~300만 달러를 수출했으나, 2025년 6월 기준 100만 달러 이하로 미미한 수준이다. 전반적으로 개도국에서의 수입이 증가하고 있으며, 한국을 제외한 진국서의 수입은 대체로 감소했다.

 

<최근 이집트의 공기조절기 부품(HSCODE 841590) 국가별 수입 동향>
(단위: US$ 백만, %)

No.

국가

수입액

성장률

('25 상반기/'24 상반기)

점유율

('25 기준)

2022

2023

2024

2025(1~6월)

전 세계

102.7

60.5

96.8

54.2

15.6

100.0

1

중국

48.9

34.6

55.6

32.1

11.4

59.3

2

한국

15.2

6.1

8.0

10.7

141.7

19.7

3

터키

2.8

0.2

3.9

3.6

409.0

6.7

4

체코

9.2

1.4

5.1

1.5

25.8

2.8

5

태국

8.3

3.7

6.3

1.4

48.7

2.6

6

사우디

1.7

0.7

4.0

0.8

69.8

1.5

7

UAE

0.9

1.2

3.5

0.6

53.8

1.2

8

미국

11.0

7.4

3.1

0.6

72.6

1.0

9

벨기에

0.3

0.3

1.9

0.5

3.7

1.0

10

독일

0.7

1.0

1.9

0.5

44.0

0.9

[자료: GTA, 2025.10.8.]

 

경쟁 동향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정용 에어컨 및 차량용 에어컨은 글로벌 제조사가 기존에 형성된 공급망을 통해 수입하는 품목으로 거래선이 정해져 있기에 거래선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다. 실제 시장에서 경쟁은 주거용, 상업용, 산업용 HVAC에서 일어나고 있다.

 

EGICAT의 구매 총괄자에 따르면, 주거용 건물의 HVAC는 가격 민감도가 높아 중국 및 터키 부품을 선호한다. 호텔, 병원 등 상업용 혹은 산업용 HVAC는 성능과 사후 서비스를 중시해 유럽, 미국, 일본 브랜드가 주도하고 있다. 국가별로는 한국(LG, 삼성) 및 일본 기업들(Daikin, 미쓰비시, Hitachi)이 VRF/벽걸이형 시스템 부품을 공급하고 있다. 유럽기업(Danfoss, BITZER, ebmpapst)은 압축기, 제어 장치, 팬의 주요 공급자지만, 공급량은 변동성이 있다. 미국기업(Copeland, Carrier, Tarnse )들도 프리미엄 HVAC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우수하다고 인식되고 있다.

 

<이집트의 상업용 HVAC 분야 대표 글로벌 기업 현황>

구분

Bitzer(독일)

Danfoss(덴마크)

Daikin(일본)

Carrier(미국)

제품 범위

압축기 중심

(냉동, 냉장)

제어·밸브·센서 

완제품 HVAC 시스템 

(VRV, Chiller )

완제품 HVAC 시스템

(Chiller, AHU, Split)

현지 조립생산

없음

없음

(태국에서 부품 수입)

없음 (, 카이로에 서비스·트레이닝 허브 구축)

Miraco-Carrier로 합작 투자, 현지 공장 운영

시장 타깃

산업 냉동, 식품 저장

스마트 빌딩, 제어 시스템

프리미엄 빌딩 / 상업시설

전체(주거, 상업, 산업시설)

에너지효율 술력

고효율 압축기 

(BITZER Ecoline)

가변속 모터 제어 시스템

(Variable speed drives, VSD) 

R-32 냉매, 인버터 VRV

스마트 컨트롤(Smart control), 

고성능 냉각 시스템(Aqua Force Chiller)

이집트 내 평가

전문성이 인정되나, 

니치마켓에 한정

기술력 높음 (하이엔드)

브랜드 인지도 & 기술력 최고

시장 지배력 가장 큼 

(현지화 성공)

[자료각 기업 홈페이지 및 바이어 인터뷰]

 

1990년 이집트에 단독 진출한 LG는 TV, 세탁기를 생산해 제3국에 수출해 왔다. 최근에는 Raya Electric을 통해 에어컨을 위탁 생산하고 있으며, 상업용 빌딩 HVAC 분야 진출에도 적극적이다. 2019년에는 이집트의 대학 및 소속 병원에, 2023년에는 Arabella 쇼핑센터에 HVAC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구축하며 인지도를 확대하고 있다.

 

<LG Egypt의 상업용 HVAC 분야 참여 현황>

프로젝트

역할

선호 이유

Galala University

& Galala Hospital

28동의 대학 건물 및 부속 병원 등에 LG의 다용도 VRF 스템과 공조 장치 공급·설치

병원 수술실 등은 칠러와 VRF 혼합 사용

고품질 VRF 및 멀티 스플릿 시스템에 강점

내구성이 뛰어난 컴프레서, 인버터, 컨트롤러 부품으로 높은 가치

에너지 효율성과 인버터 기술 선도, MEPS/Kigali 냉매 규정 준수

이집트 내 서비스 네트워크를 통한 보증 및 정품 부품 제공

Arabella Plaza, New Cairo

• 복합용도 건물LG VRF 시스템 납품

복합용도(상업몰+호텔+행정빌딩) 대형 쇼핑 센터에 LG Multi V VRF 시스템 적용

186대 실외기, 700대 실내기, BMS 통합 제어 시스템 등 대규모 공급

[자료: LG Egypt 웹사이트 및 현지 언론 자료 종합]

 

유통 채널 구조

 

공기조절기 부품은 에어컨, 자동차 등의 OEM 제조사가 해외 제조사로부터 직수입하고 있으며, 이외 A/S 부품 등은 현지 OEM 업체 혹은 유통업체가 수입해 유통하고 있다. 반면 HVAC의 패키지형 장치, 냉각기, 서비스 부품 등은 이 분야의 전문 기업을 통해 수입 및 유통되고 있다.

 

<이집트 공기조절기 부품 유통 채널>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GVML000064089780.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90pixel, 세로 209pixel

[자료: KOTRA 카이로무역관 정리]

 

관세


이집트는 수입품에 대해 20%의 관세를 적용하고 있다. , 이집트와 FTA를 체결한 국가에 대해서는 관세를 전액 혹은 일부를 면제하고 있으며, 관세 면제 대상국은 EFTA, EU, 터키, 영국이다. 메르코수르 회원국에는 87.5%를 감면하고 있다. 내수 판매용 수입품에는 부가세 14%가 부과되며 일부 제품에는 테이블세 8%가 부과된다. 

 

<이집트의 HS코드 841590의 세부 품목에 대한 수입 관세>

(단위: %)

HS 코드

품목 설명

관세율

기타 세금

8415909020

자동차 에어컨 연결 부품

20

부가세 14% 

8415909050

창문형·벽걸이형 에어컨 부품

20

8415909090

기타 에어컨 부품

20

8415909010

기타 에어컨 실내외 유닛

(HS 코드 8415.90.10.00 제외)

20

테이블세 8

+ 부가세 14%

8415901000

스플릿 시스템 에어컨 실내외 유닛

40

[자료: 관세청, 2025.10.8.]

 

필수 인증


수입 공기조절기 부품은 이집트표준품질청(EOS, Egyptian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and Quality) 산하의 시험소에서 실시하는 의무 규격 시험을 통과해야 하며, 아래 표에 명시된 표준에 적합한 부품인지를 평가받는다. 이집트 정부는 HVAC(난방·환기·공조) 및 냉동 시스템에 대한 규제를 강화해, 글로벌 에너지 효율 및 환경 기준을 요구하고 있다. 정부는 최소 에너지 성능 기준(MEPS, Minimum Energy Performance Standards) 및 계절별 에너지 효율 비율(SEER, Seasonal Energy Efficiency Ratio)을 시행한다. 이를 통해 모든 에어컨 및 냉각 장비(특히 압축기, 밸브, 제어 시스템 등 부품을 포함한 전체 설비)가 국가 에너지 효율 행동 계획(NEEAP, National Energy Efficiency Action Plan)의 목표인 전력 소비 감소에 필요한 성능 기준을 갖출 수 있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또한, 정부는 2023년 키갈리 수정의정서(Kigali Amendment)를 비준한 이후, R32 등 친환경 냉매로 전환을 시작하며, 고지구온난화지수(GWP)가 높은 냉매의 단계적 감축을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비준 이후 수입되는 제품은 R32 냉매 사용이 필수적이다.

 

<이집트 수입 공기조절기 부품에 대한 필수 인증>

표준 번호

세부 내용

ES 3795/2023:

에너지 효율 라벨링

에어컨 완제품에 대해 적용되는 것으로, 부품에는 직접 적용되지는 않으나, 완제품이 에어컨 효율 라벨링 조건 충족에 부합한 부품인지 테스트 시행

ES 7285/2019:

전기 안전

전기 부품(모터, 제어 보드 등) 검사/시험 시 IEC/이집트 안전 표준(: 가전제품에 대한 ES/IEC 603351)에 따라 적합성 평가

[자료: 이집트 표준품질기구(EOS)]

 

기타 검사


장관령 제991/2015(후속 조치인 제43/2016, 96/2022)에 따라 특정 제품에 대해서는 수출 전까지 이집트 수출입 관리청(General Organization of Import And Export Control, GOEIC)에 생산공장/기술/상표를 등록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에어컨 등 완제품은 등록이 의무나, 부품은 용도에 따라 등록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 실례로 자동차 부품은 통관 전 기술 등록을 마쳐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 GOEIC 등록 대상 여부는 해당 링크(https://www.goeic.gov.eg/upload/online/2024/07/documents/files/en/1628.pdf)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전망과 시사점

 

이집트의 공기조절기 부품(HS 841590)은 지속 성장이 예상된다. 이집트 정부 발표에 따르면, 20251월 이집트의 가구는 2650만 세대다. Statista에 따르면, 이집트 가구당 에어컨 보급은 0.03대 수준이다. 소득 수준 향상에 따라 에어컨 수요가 지속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자동차 분야 역시 Jet Tour 및 많은 전기차 기업들이 현지 제조 계획을 발표하고 준비 중이기에 향후 OEM 제조를 통한 시장 성장이 예상된다. 상업용 HVAC 분야에서는 라스엘 헤크마 도시개발 등이 계획돼 있고, 신행정도시와 스마트 도시 등에 데이터 센터가 구축되면 해당 분야에서 또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단기적으로는 정부의 에너지 효율 및 냉매 정책 변화(키갈리 협약/MEPS)에 따라 인버터 장치 설치 및 R32 호환 제품으로의 업그레이드 수요도 예상된다


이집트 공기조절기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가전제품 교체 주기, 고온 기후, 정부의 정책을 모니터링해야 한다. 병원, 호텔, 쇼핑몰 등 대형 프로젝트에 진출하려면 기술력은 물론, 제품의 빠른 공급과 신속한 A/S, 접근성, 신뢰할 수 있는 보증 기간 등이 중요하다. 따라서 이 분야에 대한 전략 수립과 경쟁력 확보가 요구된다.

 


자료: GTA, 이집트표준품질기구(EOS), Nafeza(관세정보검색), AMIC 보고서, 공기조절기 부품 관련 기업 홈페이지, 현지 언론(AhramOnline, Daily News), 바이어 인터뷰, KOTRA 카이로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이집트 공기조절기 부품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