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례로 알아보는 중국 AI 의료산업 동향
- 트렌드
 - 중국
 - 항저우무역관
 - 2025-11-03
 - 출처 : KOTRA
 
 - 
				
				
					
				
				
				
				
				
				
				
					
신약개발, 의료영상, 수술로봇,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
데이터 표준화, 지역 불균형, 규제 및 인허가 복잡성 등 과제 상존
중국 AI 의료산업 발전 현황
중국 AI 의료시장은 고령화∙소득수준 상승과 맞물려 지속 성장하고 있다. 조기 진단∙예방, 환자 맞춤형 사후관리 등 의료 수요의 다변화와 의료인력 부족, 지역 간 의료격차 문제는 AI 기술을 보조 진단 및 원격의료 수단으로 활용하게 하는 주요 배경이다.
중국의학장비협회 자료에 따르면, 2024년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9.1% 증가한 1062억 위안으로, 2028년에는 1598억 위안에 이를 전망이다.
<중국 AI 의료산업 시장 규모 추이>
(단위: CNY 억)

[자료: 중국의학장비협회(中国医学装备协会)]
국가위생건강위원회 자료에 따르면, 2025년 8월 기준 중국 기초 의료기관 디지털화 보급률은 78.6%로 전년 대비 14%p 상승했으며, AI 기술의 전체 의료 분야 적용률은 32%를 돌파했다. 중국보고청(中国报告大厅)은 2026년 기초 의료기관의 AI 보조진단 시스템 보급률이 90% 이상에 이를 것으로 전망한다. 대표적인 사례로, iFLYTEK(科大讯飞)의 AI 의료보조 시스템 즈이주리(智医助理)는 전국 697개 현급 지역에서 누적 10억 회 이상의 진단을 지원했다. 기업정보 플랫폼 치차마오(企查猫) 통계에 따르면, 2024년 8월 기준 536개의 AI 의료 기업이 운영 중이며, 광둥성(142개)∙베이징∙장쑤∙저장∙푸졘 등 상위 10개 지역이 AI 의료 시장 점유율의 72%를 차지한다.
중국 의료산업 분야별 AI 기술 활용 사례
중국은 신약개발∙영상진단∙수술로봇∙헬스케어 등 전주기에서 AI 상용화가 진전되고 있으며, 병원-기업-정부 협업 모델이 중국형 의료 AI 확산의 구조적 특징으로 자리 잡고 있다.
1. AI + 신약 개발
AI 기반 신약후보를 탐색하고 최적화하기 위해 IT 플랫폼 기업과 제약사의 협업이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 머신러닝, 딥러닝 등 기술을 활용해 화합물의 구조, 약물 작용기전, 유전자 등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처리한다. 또한, 양자물리학과 AI 기술을 융합하면 분자 예측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으며, 자동화된 실험 피드백을 통해 화합물을 신속하게 선별할 수 있다. 이는 약물개발 성공률을 높이고 실패 리스크를 낮추며, 기업의 투자수익률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선전에 소재한 XtalPi(晶泰控股有限公司)는 AI 및 양자물리학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약물후보물질 탐색 최적화, 고속로봇 실험실 자동화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2025년 AI 기반 신약 후보물질 ‘PEP08’이 임상 1상을 허가받았으며, 올해 8월에는 글로벌 제약사 DoveTree Medicines와 약 60억 달러 규모의 AI∙로봇 기반 신약 개발 협력을 체결하는 등 플랫폼 서비스 모델로서 제약사에 기술 및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2. AI + 헬스케어
AI는 헬스케어 분야에서 건강 보조, 원격 의료, 환자 교육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의료 서비스의 접근성과 품질을 향상시키고 있다. 헬스케어는 병원 운영 최적화(접수, 자원배분, 환자경로 관리), 원격의료, 웨어러블 기기 연계 등 플랫폼형 서비스가 핵심이다. 특히 멀티모달 AI와 의료 LLM(대형언어모델) 기술로 영상, 검사 결과, 문진 데이터를 통합해 진단 및 상담까지 가능한 모델이 부상하고 있다.
Ping An Good Doctor(平安好医生)은 Dr. An 등 AI 의료 플랫폼을 개발해 24시간 온라인 상담, 의료 리포트 해석, 환자-의사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25년 기준 등록 사용자 수는 약 4억 명으로, 헬스케어 플랫폼을 통한 AI 진단 관리 및 제휴 병원과 약국을 연계한 모델이 특징이다.
<중국 AI 헬스케어 서비스 종류 및 활용 현황>
서비스 구분
상업화 내용
기술 과제
건강 모니터링
다양한 웨어러블 기기와 건강 모니터링 플랫폼에 광범위한 응용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 추가 검증 필요, 해석 결과의 전문성과 권위 부족
건강 위험도 평가 및 예측
보험사와 건강관리 기관이 AI를 활용해 건강 위험도 평가 실시
데이터 품질 의존도가 높으며, 희귀병에 대한 예측 능력은 상대적으로 약함
건강 상담∙지도
샤오허ai의사(小荷AI医生), AQ 등 건강 분야 앱에서 기본 상담 서비스 제공
복잡한 건강 문제에 대한 답변 정확성과 전문성 부족
맞춤형 건강 계획
지엔캉요우이(健康有益), 메이녠지엔캉(美年健康) 등 건강관리 플랫폼을 통한 수요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
건강 데이터의 범위와 정확도가 과학적 건강 계획 수립 좌우, 사용자의 실행 이행성 보장 어려움
지능형 심사
보험사가 점진적으로 AI를 활용해 심사
건강 데이터 수집∙이용은 높은 수준의 합법성과 개인정보 보호를 요구하며, 모델 정확성 평가에 추가 검증 필요
맞춤형 보험 서비스
핑안(平安), 중안(众安) 등 일부 보험사가 관련 상품 출시
데이터의 개인정보 보호와 보안 문제가 두드러지며, 관련 리스크에 대한 정확한 평가 능력 필요
[자료: 알리클라우드(阿里云)]
3. AI + 의료영상
폐결절∙뇌출혈∙심혈관 등 다중 적응증에 대한 AI 영상보조 진단 솔루션이 상용화되고 있다. 병원, 커뮤니티 클리닉, 영상 센터, 건강검진 센터 등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으며, 주로 영상 재구성, 뇌 질환 진단, 상해 감정에 사용된다. 화시창조 산업 데이터 센터에 따르면, AI 의료영상 분야의 매출은 2025년 137억6000만 위안까지 늘어날 전망이며, 시장 성장률은 102.4%에 이를 전망이다.
베이징에 소재한 Infervision Tech(依图医疗)는 다중 적응증 영상판독 보조 솔루션을 개발해 CT/X-ray 기반 이상징후 탐지, 수술계획 3D 재구성, 환자 관리에 활용하고 있다. 특히 영상판독 워크플로우에 AI를 삽입해 병원 업무 효율화와 진단 지원을 통해 데이터를 축적하고, 판단∙재판단 성능을 강화하는 등 중국 병원 및 의료기관과 제휴를 통해 자사 모델을 상용화하고 있다. 2024년 8월에는 흉부∙뇌∙심장 관련 AI 솔루션이 CE 및 UKCA 인증을 획득해 글로벌 시장 진출의 기반을 닦았다.
멀티모달 AI 기반 의료영상 기업인 항저우더스바이오(杭州德适生物) 관련 인사는 KOTRA 항저우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당사가 개발한 iMedImage™(의료 영상 범용 대규모 AI모델)은 8000만 건의 데이터로 사전학습을 완료했다”라며, “염색체, CT, MRI 등 19종의 의료영상 모달리티*를 지원한다"라고 밝혔다.
* 의료영상 모달리티: 의료 영상이 어떤 장비나 촬영 방식으로 획득됐는지 구분하는 용어로, 멀티모달 AI는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등 서로 다른 유형의 모달리티를 동시에 처리∙통합해 보다 정교하고 직관적인 분석∙판단을 수행하는 AI 기술을 의미함
4. AI + 수술로봇
수술로봇은 정형외과, 비뇨기과 등에서 수술 및 재활치료를 목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AI 기반 모션 제어 알고리즘이 로봇 팔의 궤적을 자동 보정하고 진동∙편차를 실시간 최소화해 정교하고 안정적인 절제가 가능하다. 또한, 로봇에 탑재된 AI는 수술 패턴을 학습해 다음 수술의 경로∙속도∙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2025년 2월 상하이 푸단대학교 부속 안이비인후과병원(复旦大学附属眼耳鼻喉科医院) 도레이 교수팀이 세계 최초로 중국산 경구 수술 로봇 TORSS(Transoral Robotic Surgery System, 拓思)를 이용해 초기 후두암 미세침습 수술을 성공시켰다. 해당 기술은 푸단대 병원과 보언스(博恩思) 의료로봇회사가 공동 개발했으며, 인∙후두의 좁고 복잡한 구조에 맞게 설계돼 기존 레이저, 플라즈마 수술의 한계를 극복했다. 출혈량 1mL 이하의 초미세 침습을 통해 환자가 다음 날 빠르게 회복하는 등 수술 전 과정에서 정밀도와 효율성이 향상됐다.
<상하이 푸단대 병원-보언스 공동개발 로봇 TORSS를 활용한 수술과정>

[자료: 과학망(科学网)]
중국 AI 의료산업의 제약 요인과 정책 대응
중국 AI 의료산업은 성장 잠재력이 크지만, 상용화 과정에서 다음의 제약 요인에 직면하고 있다.
우선, 의료 데이터의 품질 및 표준화 부족 문제가 있다. 중국 병원마다 전자건강기록(HER)의 구조나 표기 방식이 다르고, 데이터 항목 간 상호 운용성이 낮아 AI 모델이 여러 기관의 데이터에 일반화 적용되기 어렵다.
둘째, 규제 및 인허가 절차의 복잡성이 있다. 중국 NMPA는 AI 기반 의료기기 및 SW에 대해 분류 정의와 임상 평가 가이드라인을 발표했지만, 실제 제품 등록과 승인 과정에 있어 위험도 기준과 임상 데이터 요구 수준 등을 명확하게 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셋째, 윤리∙책임소재∙신뢰성 문제가 존재한다. AI 진단 보조나 의료 LLM(대형언어모델) 등이 의료 현장에 적용되면서 AI가 내린 판단을 설명 및 입증하는 단계가 추가돼야 하며, 진단 오류 발생 시 책임 주체가 불명확하다는 우려가 있다.
넷째, 지불 체계 및 시장 확산의 지역 격차다. 중국은 DRG 및 DIP 지불 제도를 확대해 병원이 AI 의료기술 경제성 평가를 기반으로 예산을 받게함으로써 의료 AI 도입 여건을 개선하고 있으나, 대도시와 지방 간 의료 예산 및 디지털화 수준 차이로 기술 확산이 불균형적이다.
* DRG(질병군 포괄지불제): 환자의 질병군별로 의료비를 미리 정해놓고 병원에 포괄적으로 지급하는 제도
** DIP(진단∙처치 행위 단위 기반 포괄지불제): 의료행위의 실제 유형(진단∙시술 등)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고, 일정 금액을 책정해 지급하는 제도
이에 따라 중국 정부는 제도적 보완에 적극 나서고 있다. 2019년 AI 의료기기 표준화 기술위원회를 설립하고 인허가 접근성을 개선했으며, 2024년 기준 중국 AI 의료 소프트웨어 100개 제품이 2∙3종 인증을 획득(’21년 대비 80개 증가)했다. 또한, AI 의료기술 혁신펀드도 조성하고 있다. 웨인의료펀드(约印医疗基金)는 2025년 9월 베이징 경제개발구 정부투자산업 유도펀드(北京经开区政府投资产业引导基金) 등 7개의 국유 기관과 협력을 통해 15억 위안 규모의 의료 기술 혁신 펀드를 설립해, 정부 주도 자금 지원체계를 마련했다. 데이터 보호와 윤리규제 강화 측면에서는 2023년 8월 개인정보보호법(PIPL)과 생성형 AI 서비스 관리조치를 통해 의료데이터 활용과 AI 윤리 기준을 명문화했다.
결과적으로 중국은 AI 의료산업의 제도적 신뢰성과 기술검증 체계를 정비하면서, 데이터∙인허가∙윤리 문제를 병행 해결하는 단계로 진입하고 있다.
<AI 의료 관련 중국 정부 정책>
시기
발표기관
정책명
주요내용
2016.10.
국무원
건강중국 2030 계획
(健康中国 2030 规划)
- 의료건강 분야를 중장기 전략으로, 건강을 국가전략 핵심을 설정하고 의료서비스 용량 확대, 건강산업 규모 확대, 질병예방을 주요 과제로 설정
- 원격의료, AI 기반 진단 등 디지털 헬스 인프라 확대 장려, 농촌 지방 의료 격차 해소를 위한 원격 AI 진단 지원 추진
2021.9.
과학기술부
신세대 인공지능 윤리 규범
(新一代人工智能伦理规范)
- 인공지능의 연구개발, 사용, 관리 등 전 주기에서의 윤리적 기준을 설정해 인간의 가치관, 이익과 윤리 도덕적 기준에 부합하도록 보장
2023.8.
과학기술부 등 7개 부서
생성형 인공지능 서비스 관리 잠정 방법
(生成式人工智能服务管理暂行办法)
- 생성형 AI에 특정된 체계적인 규제 정비
- 국가안보 훼손 등 행정법규 금지 콘텐츠 생성 불가, 훈련 데이터 선택에 있어 민족∙신앙∙국가 등 차별 방지를 위한 조치 의무 명시, 생성형 AI 서비스 제공자의 데이터∙기본 모델 출처의 합법성 확인 의무 등
2025.7.
NMPA
첨단 의료기기 혁신 발전을 지원하는 전주기 규제 최적화 조치
(优化全生命周期监管支持高端医疗器械创新发展有关举措)
- 혁신적인 특별 심사 절차를 통해 인허가 등록 절차 간소화
- 기술 표준과 평가 체계 최적화 등을 통해 AI 의료기기의 연구개발과 인허가를 지원하고 첨단 의료기기의 혁신 발전 추진
2025.8.
국무원
AI+ 행동 심층 실행에 대한 의견
(关于深入实施人工智能+行动的意见)
- 국유 자본이 인공지능 분야에 투자하는 것을 평가하고 관리하는 제도 완비
- 인공지능 분야에 금융과 재정 지원을 강화해 자본을 늘리고, 투자 위험을 나누는 제도와 투자금을 회수하는 제도를 마련해 재정 자금과 정부 구매 등 정책에 활용
[자료: 중국정부망(中国政府网)]
시사점
중국 의료 분야에서 AI 기술의 도입은 병리학∙영상의학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2024년까지 200개 이상의 의료 AI 대형 모델이 개발됐으며, 자연어 처리∙머신비전 등 다양한 기술 분야를 아우르고 있다. 이는 의료서비스의 질과 효율성을 높이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고 있다.
하지만 고속 성장의 이면에는 데이터∙전문 인력∙규제 측면의 한계가 공존한다. 특히 데이터 전처리에 개발 기간의 60% 이상이 소요되고, 전문 인력 부족으로 현장 적용이 어렵다. 이러한 과제는 한국 기업이 기술 협력과 현지화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AI 기술의 의료 현장 적용에는 병원-정부-현지 기업 간 협업 모델 설계가 필수적이다. 한국 기업은 데이터 엔지니어링, 모델 학습 및 응용 연계 분야에 강점을 지니고 있다. 실제 올해 초 우리 기술이 현지 병원 및 기업과 협업해 현지 임상 데이터를 자사 AI 학습에 적용하는 사례가 있었던 만큼, 해당 분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자료: 이어우(亿欧), 알리클라우드(阿里云), 중국의학장비협회(中国医学装备协会), 터우바오연구원(头豹研究烷), 과학망(科学网), Infervision(依图医疗) 웹사이트 및 KOTRA 항저우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사례로 알아보는 중국 AI 의료산업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15억 위안 시장의 재편, 중국 골프웨어는 MZ세대 라이프스타일로 진화 중
							
						중국 2025-11-03
 - 
						
							2
						
						
							중국 Z세대는 왜 ‘라부부’에 열광하는가? 감정으로 소비하는 중국 시장
							
						중국 2025-11-03
 - 
						
							3
						
						
							AI·스마트시티에 집중…GITEX 2025에서 본 UAE의 미래 기술 전략
							
						아랍에미리트 2025-11-03
 - 
						
							4
						
						
							중국 스위치(Switch) 시장 동향
							
						중국 2025-11-03
 - 
						
							5
						
						
							이집트 공기조절기 부품 시장 동향
							
						이집트 2025-11-03
 - 
						
							6
						
						
							지속가능한 먹거리로의 전환, 베트남 식품산업의 친환경 흐름
							
						베트남 2025-11-03
 
- 
						
							1
						
						
							2025 중국 치과산업 정보
							
						중국 2025-09-10
 - 
						
							2
						
						
							2025년 중국 실버산업 정보
							
						중국 2025-07-22
 - 
						
							3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4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5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6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