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김식품 시장동향
- 상품DB
- 미국
- 애틀랜타무역관 이수진
- 2025-10-14
- 출처 : KOTRA
-
김식품 시장을 주도하는 미국
지속가능성 및 웰빙 트렌드에 맞춰 성장하는 미국 김식품 시장
상품명 및 HS Code
<상품명 및 HS Code>
HS Code
상품명
1221.21
김식품
[자료: KOTRA 애틀랜타무역관 종합]
시장동향
미국의 김 식품 시장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며 글로벌 김 식품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건강한 간식에 대한 인식 증가, 높은 가처분 소득, 많은 젊은 인구 등의 요인으로 성장 잠재력 역시 높다. 해조류는 장 건강, 체중 관리, 면역력 강화에 도움이 되는 지속 가능한 건강한 재료로 주목받고 있다. 식물성 및 지속 가능한 식품에 대한 소비자 수요의 증가 역시 김 식품의 소비 확대를 이끌고 있다. 약 750만 명의 미국인이 자연 그대로 조리된 깨끗한 식물성 식단을 선호하고 있으며, 최근 몇 년간 비건 인구는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해조류 스낵의 경우, 첨가물이 없어 글루텐 프리, 비건 등의 트렌드와 맞물리면서 건강한 간식으로 각광받고 있다.
주재국 수입 동향 및 대한 수입 규모
2024년 미국의 김 식품(HS code 1212.21 기준) 수입액은 7423만 달러이다. 이중 한국산 김 식품 수입액은 3408만 달러로, 45.9%의 수입 점유율을 차지하며 여타 수입국들과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한국산 김 식품 수입은 규모 및 점유율 측면에서 꾸준하게 상승하고 있다. 한국 제품이 인기가 있는 이유는 한국 문화에 대한 친숙도가 급상승하면서 음식까지 자연스럽게 관심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한국 브랜드들이 미국 소비자의 입맛에 맞춘 다양한 퓨전 제품들을 개발하며 현지화에 성공한 점은 시장 확대의 큰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한국 제품은 중국산·동남아산 대비 청정 원산지 이미지와 균일한 품질 덕분에 미국 유통망(Whole Foods, Trader Joe’s 등)에서도 프리미엄으로 취급되고 있다.
<HS Code 1212.21 미국 주요 수입 동향>
(단위: US$천, %)
순위
국가
2022 수입액
2023 수입액
2024 수입액
점유율
('24)
증감률('24/'23)
1
한국
24,636
3,0957
34,082
45.9
10.1
2
중국
8,469
7,366
7,630
10.3
3.6
3
캐나다
5,314
5,953
6,472
8.7
8.7
4
필리핀
10,470
4,328
6,301
8.5
45.6
5
일본
6,763
7,689
5,891
7.9
-23.4
6
영국
2,172
2,202
3,376
4.6
56.3
7
아이스랜드
2,940
3,585
3,075
4.1
-14.2
8
인도
3,854
2,326
2,602
3.5
11.9
9
칠레
1,323
991
1,256
1.7
26.8
10
세인트루시아
654
975
671
0.9
-31.1
전 세계 총합
69,988
68,100
74,227
[자료: GTA, 2025.10.10.]
경쟁 동향
미국 김 식품 시장의 주요 기업은 Gimme, Ocean’s Halo, SeaSnax, Taokaenoi 등 다양한 경쟁업체들이 있다. 특히, Whole Foods 및 Amazon과 같은 온오프라인 유통업체들도 자체 PB상품을 출시하면서 경쟁사로 등장하고 있다. 김 식품이 웰빙 및 지속가능성 트렌드와 맞물려 인기를 끌고 있는 만큼 기업들은 이러한 트렌드에 맞춘 상품을 출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Ocean’s Halo 같은 경우, 유기농 원재료, 플라스틱 용기가 없는 포장, 첨가물 및 보존제 프리 등 지속가능성을 강조하며 큰 인기를 끌고 있다.
<Ocean's Halo의 제품소개>

[자료: Ocean's Halo 홈페이지]
유통 구조
미국에서 김 식품은 슈퍼마켓, 온라인 리테일러, 전문 식품 유통업체 등 다양한 유통망을 통해 판매되고 있어 소비자들은 손쉽게 구매할 수 있다. 아시안 식품점은 김 식품의 초기 유통채널로, 현재도 김 식품 시장의 핵심 유통망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전문 그로서리인 Whole Foods 및 Trader Joe’s에서도 Non-GMO 혹은 유기농 김 식품 등을 판매하고 있다. 또한 Amazon과 같은 온라인 유통 역시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김 식품 시장의 대표 업체인 Gimme, SeaSnax 등은 자사 웹사이트를 통해 직접 판매도 진행하고 있다.
관세율 및 인증
미국 조화 관세표 및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의하면, HS Code 12122100에 대한 수입에 대해서 관세는 부과되지 않는다. 다만, 곡물/전분류가 포함되거나 튀김 등의 가공이 된 상품은 상품 분류가 달라져(2008.99) 6%의 관세가 부과되니 주의가 필요하다.
미국 시장 진입 시 필수적으로 취득해야 하는 제품 인증은 없다. 다만, 미국 대형 유통망에 입점하기 위해서 FSSC 22000 혹은 HACCP 등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으니 준비가 필요하다.
시사점
미국 김 식품 시장은 건강·비건·지속가능성 트렌드와 맞물리며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한국산 김의 품질과 브랜드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시장 점유율 또한 꾸준히 상승하고 있으며, 프리미엄 제품군으로 확실히 자리 잡고 있다. 현지 시장에서는 단순히 ‘건강 간식’ 이미지를 넘어, 친환경·클린 라벨 포장재 등 지속 가능한 제품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는 추세다. 이에 따라 수출 기업은 유기농 인증(USDA Organic), 비건·Non-GMO 인증, 친환경 패키징 적용 등을 통해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자료: Market.us, Grand View Reasearch, Global Trade Atlas, HTSUS, Imarcgroup, KOTRA 애틀랜타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미국 김식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도심과 자연을 잇는 하이브리드 라이프의 캐나다 아웃도어 트렌드
캐나다 2025-10-14
-
2
[기고] 캄보디아 농업에서 한국 기업의 컨소시엄 전략 – 계약재배와 협력 모델
캄보디아 2025-10-14
-
3
베트남 폴리에틸렌 시장동향
베트남 2025-10-14
-
4
독일 리튬이차전지 양극재(CAM) 시장 동향
독일 2025-10-14
-
5
미국 라면 시장 동향
미국 2025-10-14
-
6
파나마 의료기기 시장동향
파나마 2025-10-14
-
1
2025년 미국 화장품 산업정보
미국 2025-07-01
-
2
2025년 미국 조선업 정보
미국 2025-05-08
-
3
2024년 미국 반도체 제조 산업 정보
미국 2024-12-18
-
4
2024년 미국 의류 산업 정보
미국 2024-11-08
-
5
2024년 미국 가전산업 정보
미국 2024-10-14
-
6
2024년 미국 리튬 배터리 산업 정보
미국 2024-09-04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