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나마 의료기기 시장동향
- 상품DB
- 파나마
- 파나마무역관 박준범
- 2025-10-14
- 출처 : KOTRA
-
한국 의료기기 제품은 수입액 기준 9위를 기록하며 최근 3년간 수입규모 지속 성장
파나마 민간병원 및 공공병원에서 고품질 및 첨단 의료 기술 트렌드 추구
파나마 의료기기 규모 및 최근 시장 동향
파나마는 여타 중남미 국가에 비해 고가 의료장비에 대한 수요가 높은 편이다. 그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풀이된다. 파나마의 1인당 GDP는 약 2만 달러에 달해 중남미 최고 수준이며, 미국 은퇴 이민과 중남미 부유층의 이민이 많아 중상류층을 대상으로 하는 민간병원이 다수 운영되고 있기 때문이다.
파나마는 자체 의료기기 생산이 거의 전무한 상태로, 의료기기 산업 규모는 주로 수입 통계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의료기기(HS Code 9018)의 2024년 수입액은 1억3800만 달러로 파나마 전체 수입 품목 중 10위를 차지할 만큼 중요한 산업이다.
파나마 내 종합병원 수는 약 60개이며, 이 중 약 17개 내외가 민간병원, 나머지는 공공병원이다. KOTRA 파나마무역관의 바이어 인터뷰에 따르면 정부 입찰이 의료기기 시장의 약 80%를 차지하며, 나머지 20%는 민간병원에서 유통된다. 파나마 정부는 보건복지부(MINSA) 및 사회보장청(CSS) 주도하는 공개 입찰 절차를 통해 의료기기를 조달하며, 정부는 의료기기 시장에서 최대 수요처로서 연간 수입 규모에 큰 영향을 미친다. 파나마 공공 입찰은 전자 공공 조달 플랫폼 ‘Panama Compra(링크)’를 통해서만 입찰, 계약이 진행된다.
<최근 3년간 파나마 의료기기 시장 규모 및 성장률>
(단위: US$ 천, %)
HS Code
2025년 7월
2024년
2023년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9018
84,015
1.2
138,556
11.5
124,253
14.9
9018.90
44,886
20.2
65,137
17.0
55,669
-6.4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09.23.)]
2024년 1월, 파나마 사회보장청(CSS, Caja de Seguro Social)은 파나마 최대 규모의 첨단의료복합단지인 ‘Ciudad de la Salud’를 완공했다. 이 단지는 51개의 수술실, 소아병원, 고해상도 MRI, CT, 초음파, 암 치료 장비, 특수 의료기기 등을 갖추고 있으며, 고도의 의료 기술을 갖추고 수준 높은 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의료단지는 중미 지역에서 간 이식 전문으로 명성이 높은데 최근에는 메트로닉스의 최신 로봇 수술시스템인인 ‘휴고‘(Hugo™ robotic-assisted surgery (RAS) System)를 도입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이 시스템은 한국에서도 2025년 5월 처음 도입된 최신 기술이다. 이는 파나마 공공 의료시설의 고가 의료장비에 대한 수요를 확인해 주는 사례다. 일본의 기업도 Ciudad de la Salud 공공병원에 내시경 기기를 공급했다.
<파나마 의료복합단지 ‘Ciudad de la Salud’>

[자료: 파나마 사회보장청(CSS) 홈페이지]
국가별 수입 동향
2025년 파나마 기타 의료기기(HS Code 9018.90) 수입 동향을 살펴보면, 미국이 약 8826만 달러로 전체 수입의 20%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 독일, 멕시코 등이 뒤를 잇고 있다. 멕시코는 자체 브랜드보다 다국적 기업의 생산법인으로부터 수입되는 물량이 다수인 것으로 추측된다. 한편 파나마 세관은 파나마 내 보세 구역을 거쳐 파나마로 들어오는 수입품을 따로 집계한다. 따라서 의료기기의 경우 제1위 수입 대상 지역이 파나마 내 가공무역지대로 나타나는 것은 반제품 형태로 들여와 조립해 파나마 내로 들어오는 물량이 반영된 것이다.
기타 의료기기(HS Code 9018.90) 기준, 대한민국은 파나마의 전체 의료기기 수입국 중 20위지만, HS CODE 4단위 기준(9018)으로 보았을 때 2025년 전체 수입국 중 9위에 올라와 있으며, 최근 3년간 점유율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파나마 시장에서 선전하고 있는 대표 브랜드로는 초음파 진단기로 유명한 삼성메디슨(Samsung Medison)이 있다.
<파나마 의료기기 주요 수입국(HS Code 9018.90)>
(단위: US$ 천, %)
순위
국가명
2025년 7월
2024년
2023년
총계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44,886
20.2
65,137
17.0
55,669
-6.4
1
가공무역지대
14,430
78.3
16,881
6.9
15,796
4.6
2
미국
8,826
7.2
14,437
-9.4
15,927
-19.2
3
중국
5,369
141.1
3,955
21.8
3,248
32.1
4
독일
5,269
-50.8
16,034
166.0
6,027
17.7
5
멕시코
1,137
13.7
1,640
1.4
1,617
-39.7
6
홍콩
1,023
1743.0
179
-71.6
630
45.5
7
일본
903
381.4
596
-44.2
1,068
-33.1
8
헝가리
775
2766.6
32
620.9
4
-63.2
9
콜론자유무역지대
638
737.9
253
-46.5
472
-40.3
10
불가리아
624
146.2
696
4.1
668
-1.4
20
대한민국
261
234.9
282
54.7
182
-25.6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09.23.)]
경쟁동향
파나마 의료기기 시장은 미국, 독일, 일본, 프랑스 등 선진국 제품 비중이 높다. 특히 마취기기, 내시경기기와 같은 신뢰도 및 기술력을 요구하는 품목에서 강세를 보인다. 엑스레이(X-ray) 분야에서는 미국의 GE 제품 선호가 높은데 GE 딜러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고가제품인데도 80%를 공공병원에 납품할 정도로 신뢰가 높으며, 유지보수와 부품 조달의 편리한 미국 제품을 선호하고 있다.
2024년부터 공격적으로 영업을 전개하고 있는 독일의 Drager는 중남미 영업은 파나마, 생산은 브라질로 이원화시켜 효과적으로 중남미 시장 공략하고 있으며, 일본 후지필름(Fuji Film)은 전통의 사진 전문 기업답게 세밀하고 선명한 사진을 전면에 내세운 내시경기기로 호평을 받고 있다.
최근 3년간은 중국 제품의 증가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파나마에 인지도가 있는 중국 브랜드로는 Mindray, Comen, Sonoscape, Edan가 있으며, Mindray는 파나마에 진출해 있는 대표적인 중국 브랜드로 대형 장비나 첨단 장비가 아닌 초음파 진단기 같은 범용 장비를 선진국 대비 1/3 가격으로 판매하고 있다고 한다.
멕시코는 인건비, 제조 인프라, 규제 측면에서 다른 국가들보다 경쟁력을 갖추고 있어 다수의 다국적 기업들이 생산 거점으로 활용하고 있다. 파나마 또한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여, 멕시코로부터 의료기기 수입을 하고 있으며, 브랜드로는 Meditonic, Siemens Healthineers 등이 있다.
<주요국 의료기기 브랜드 동향>
브랜드
국가
대표품목
사진
비고
GE
미국
엑스레이
수입 물량의 약 80% 가량 공공병원에 납품
Drager
독일
마취기기

고가 제품 위주로 보급, 브라질 공장으로부터 수입
Mindray
중국
초음파 진단기
선진국 제품 대비
3분의 1 가격으로 판매
Fuji Film
일본
내시경 기기

세밀하고 선명한 사진 촬영 기술로 바이어 선호도 높음
[자료: KOTRA 파나마무역관 정리]
<파나마 의료기기 주요 수입업체>
기업명
특징
대표 브랜드
Reserma S.A.
첨단 의료기기, 헬스케어 IT 솔루션
Canon Medical Systems, IMS-Giotto, Agfa, Barco
Promed S.A.
외과용 의료 기구, 정밀 계측기, 및 소모품
Mettler Toledo, Karl Storz, Echosens
La Casa del Médico
진단 장비, 보조장비(보행기, 휠체어), 호흡 치료 장비, 소모품
Siemens, MDF medical
Fastmedic
의료장비 전반, 임상용 기구, 소모품, 헬스케어 솔루션
Nipro, Fujifilm
Hospimed
고급 의료 장비, 병원 용품, 의료기관 통합 솔류션 서비스
Draguer, Baxter
Biomedical Support Systems
의료기기 전반, 의료용 케이블, 체온계용 부품 및 악세서리 등
Samsung Medison,
Vatech, Fuji film
[자료: KOTRA 파나마무역관 정리]
유통구조
파나마 내 의료기기 수입업체 대부분은 다양한 품목의 의료기기를 취급하고 있으며, 유통업체가 직접 수입한 후 병원 또는 공공기관 입찰에 납품 그리고 재고를 두고 전문 판매점을 운영해 최종 소비자에게 판매되고 있다.
<파나마 의료기기 유통 구조도>

[자료: KOTRA 파나마무역관 정리]
관세율 및 인증
HS CODE 9018.90의 파나마 기본 관세는 10%이나, 한국에서 수출되는 제품에 대해서는 한-중미 FTA 혜택으로 인해 무관세를 적용받는다. 한편 모든 의료기기는 강제인증을 반드시 획득해야 한다. 파나마 보건부(MINSA)에서 인증 발급을 담당하고 있으며 아래의 과정을 통해 인증을 취득할 수 있다. 소요기간은 품목별로 상이하지만 대략 10주에서 20주 내외가 걸린다.
<파나마 의료기기 인증 획득 절차>
서류
주체
비고
제품 보증서
수출기업
- 제품의 안전성과 효능을 입증하고, 사고·리콜 발생 시 보건당국에 보고할 것을 약속하는 보증 문서
카탈로그 및 기술 문헌
수출기업
- 카탈로그 원본, 공증사본, 및 PDF 등 전자문서 형태
필수 국제 인증서
ISO13485, CFS, GMP
수출기업
- 인증시험 별 인증서 원본
- ISO 13485 (의료기기 품질경영시스템)
- CFS (Certificate of Free Sale, 자유판매증명서)
- GMP (Good Manufacturing Practice,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법정대리인(파나마변호사)을 통해 작성된 신청서
바이어
- 통상 바이어가 현지 변호사를 고용
파나마 바이어가 변호사에게
발급한 위임장
바이어
- 의료기기 제품의 기술 표준 등 서술
기업 등기부 등본
바이어
[자료: KOTRA 파나마무역관 정리]
시사점
한국산 의료기기는 과거 선진국 제품과 신흥국 제품 사이의 가성비 전략을 택한 바 있다. 하지만 한국의 위상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첨단 제품에 대한 바이어의 신뢰도도 상승하였다는 점을 고려할 때, 가성비 전략보다는 프리미엄화 전략을 구사하는 것이 적절해 보인다. 다만 중소기업의 경우는 아직 선진국 브랜드 대비 인지도가 부족하기 때문에 과거 레퍼런스를 적절히 활용하고 교육 제공, 스페인어 메뉴얼 구비, 철저한 AS 등 비가격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의료기기 바이어는 쉽게 기존 거래선을 잘 바꾸지 경향이 있어, 이미 다른 국가 기업의 품목을 취급하는 바이어보다 특정 기업 브랜드를 독점하고 있지 않은 바이어를 물색하는 것이 좋다.
파나마 의료기기 시장은 병원 인프라 확장 및 은퇴 및 중상층 이민 증가, 개인 건강에 관한 관심 확대로 인해 중·고가 첨단 의료기기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작지만 알찬 시장으로서 파나마 시장 가치를 주목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자료 : Global Trade Atlas, 파나마 보건부, KOTRA 파나마무역관 자료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파나마 의료기기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쿠바, 제약바이오 국영기업 BioCubaFarma를 통해 해외진출 박차
쿠바 2025-10-14
-
2
에콰도르 치과용 의료기기 시장동향
에콰도르 2025-10-14
-
3
에너지 고효율 제품부터 스마트홈 트렌드까지-홍콩 가전제품 시장 변화는?
홍콩 2025-10-14
-
4
핀란드 화장품 시장동향
핀란드 2025-10-14
-
5
독일 리튬이차전지 양극재(CAM) 시장 동향
독일 2025-10-14
-
6
TWS·웨어러블의 확산이 이끄는 아르헨티나 전자기기 시장
아르헨티나 2025-10-14
-
1
2024년 코스타리카 의료기기 산업 정보
파나마 2024-07-26
-
2
2021년 파나마 이동통신 산업 정보
파나마 2021-12-27
-
3
2021년 파나마 신재생에너지 산업 정보
파나마 2021-12-27
-
4
2021년 파나마 건설 산업 정보
파나마 2021-12-27
-
5
2021년 파나마 자동차 산업 정보
파나마 2021-12-27
-
6
2021년 파나마 산업 개관
파나마 2021-12-24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