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미국 라면 시장 동향
  • 상품DB
  • 미국
  • 뉴욕무역관 정진수
  • 2025-10-14
  • 출처 : KOTRA

K-컬처 타고 날아오른 K-라면

수입 급증과 유통 다변화, 한국 브랜드의 시장 장악력 확대

상품명 HS Code

 

라면의 HS Code는 1902.30이다. 라면은 파스타류[조리 여부나 육류 등 다른 원료로 속을 채웠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스파게티, 마카로니, 누들, 라자니아(lasagne), 뇨키(gnocchi), 라비올리(ravioli), 카넬로니(cannelloni) 등을 포함]와 쿠스쿠스(couscous)(조리 여부와 관계없음)로 규정된 1902호에 속하며, 그 중에서도 기타 면류(Other pasta)에 해당하는 하위 분류인 1902.30에 해당한다.

 

시장규모 동향

 

글로벌 리서치 기관 포춘 비즈니스 인사이트(Fortune Business Insights)에 따르면, 2024년 미국 라면 시장 규모는 12억4334만 달러로 전년 대비 3.22% 성장하였다. 라면은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특유의 편의성 덕분에 소비자들로부터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으며, 특히 K-POP과 K-드라마의 인기에 힘입어 한국 라면의 시장 저변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미국 라면 시장은 2032년까지 연평균 5.97% 성장하여 19억7974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라면 시장은 인도와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 국가 출신 이민자의 증가에 힘입어 성장해 왔다. 아시아계 이민자가 늘어나면서 각국의 다양한 맛을 담은 라면이 미국 시장에 소개되었고, 소셜미디어의 발달과 미국 소비자들의 아시아 지역 방문 경험 확산도 시장 확대에 기여하였다. 바쁜 일정을 소화하는 MZ세대 소비자들이 간편하게 식사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라면 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며, 동시에 건강을 중시하는 트렌드에 맞추어 글루텐프리 라면, 쌀라면, 통밀라면 등 새로운 카테고리도 주목받고 있다.

 

K-POP의 글로벌 인기에 힘입어 한국 라면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방탄소년단(BTS) 멤버 정국은 팬들과의 라이브 방송에서 불닭볶음면을 즐기는 모습을 자주 보여주었으며, 블랙핑크 로제는 가방에 불닭볶음면 소스를 휴대한다고 언급하며 애정을 드러냈다. 불닭볶음면은 최근 2025년 글로벌 뮤직 페스티벌인 코첼라 밸리 뮤직 앤드 아츠 페스티벌(Coachella Valley Music & Arts Festival)의 공식 파트너로 참여하여 현장에 브랜드 부스를 운영하고, 제품 시식 공간과 인터랙티브 체험존을 마련해 큰 주목을 받았다.

 

<코첼라 페스티벌 불닭 체험존>

의류, 사람, 야외, 핑크이(가) 표시된 사진  AI가 생성한 콘텐츠는 부정확할 수 있습니다.

[자료: 삼양 유투브 채널 갈무리]

 

K-콘텐츠 역시 한국 라면의 글로벌 인지도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 넷플릭스에서 1위를 기록한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K-POP Demon Hunters)’에 등장한 세 주인공이 한국 컵라면을 먹는 장면이 공개되면서, 미국 내 컵라면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졌다. 극 중 농심 신라면을 연상시키는 패키지 디자인이 노출되자, 농심은 넷플릭스와 협업해 신라면 포장지에 케이팝 데몬 헌터스 캐릭터를 적용한 신라면과 새우깡을 출시하였으며, 조만간 미국 시장에도 선보일 예정이다.

 

<컵라면을 먹고 있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 3인의 주인공>

[자료: 농심]

 

<미국 시장에 출시 예정인 케이팝 데몬 헌터스 버전의 신라면>

[자료: 농심]

 

최근 3 수입 동향 대한국 수입규모

 

2024 미국의 라면(HS Code 1902.30) 수입액은 54384 달러로, 전년 대비 28.6% 증가했다. 국가별로 한국이 23843 달러, 점유율 44.1% 1위를 차지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50.8% 성장한 수치다. 한국은 2014 이후 줄곧 수입 1 자리를 지키고 있다. 2위는 이탈리아로 6691 달러, 점유율 12.4% 기록했으며 전년대비 5.2% 성장했다. 3위는 중국으로 수입액 4629 달러, 점유율 8.6% 차지했다

 

<최근 3년간 라면(HS Code 1902.30) 수입 동향>

순위

('24년 기준)

국가/지역

금액(US$천)

점유율(%)

증감률(%)

'24/'23

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전체

370,894

420,372

540,384

100.00

100.00

100.00

28.55

1

대한민국

120,209

158,112

238,428

32.41

37.61

44.12

50.80

2

이탈리아

63,286

63,581

66,914

17.06

15.13

12.38

5.24

3

중국

53,448

41,345

46,288

14.41

9.84

8.57

11.96

4

대만

18,357

28,337

38,078

4.95

6.74

7.05

34.37

5

캐나다

25,048

27,864

35,276

6.75

6.63

6.53

26.60

6

태국

22,161

26,951

30,419

5.98

6.41

5.63

12.87

7

일본

19,212

18,890

21,908

5.18

4.49

4.05

15.98

8

멕시코

3,177

11,114

14,936

0.86

2.64

2.76

34.40

9

베트남

11,358

9,372

9,587

3.06

2.23

1.77

2.30

10

인도네시아

4,541

4,583

5,940

1.22

1.09

1.10

29.63

[자료: Global Trade Atlas(2025.9.25 기준)]

 

경쟁동향

 

미국 라면 시장은 현재 한국과 일본 기업이 주도하고 있다. 주요 업체로는 한국의 농심(Nongshim Holdings), 삼양(Samyang Foods), 일본의 니신(Nissin Foods Holdings), 마루찬(Maruchan USA) 등이 있다.

 

농심은 신라면, 너구리, 보울 누들(Bowl Noodles) 등을 출시하였으며, 2005년 미국 캘리포니아에 생산시설을 설립해 용기면, 봉지면, 스프 제품을 현지 생산하고 있다. 한국 라면 기업 중 최초로 미국 최대 유통사인 월마트(Walmart)에 입점했으며, 타겟(Target), 코스트코(Costco) 등 주요 대형 유통망에서도 판매되고 있다. 특히 2019년 영화 기생충에 짜빠구리(짜파게티와 너구리를 혼합 조리한 라면)가 등장하면서 다양한 제품군이 미국 소비자들 사이에서 주목을 받았다.

 

삼양은 불닭볶음면의 글로벌 인기를 기반으로 미국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불닭볶음면은 MZ세대 사이에서 ‘불닭볶음면 먹기 챌린지’가 유행하면서 자연스럽게 입소문을 탔다. 한 소비자는 “아찔할 정도로 매운맛을 체험하는 챌린지였지만, 어느 정도 먹다 보면 그 맛에 중독되어 계속 찾게 되는 매력이 있다”고 평가했다. 현재 불닭볶음면은 미국 내 주요 유통사와 아시안 마트를 통해 판매되고 있으며, 치즈를 가미한 카르보나라, 하바네로 라임, 국물(stew), 토마토 등 다양한 제품군으로 라인업을 확장하여 소비자 선택 폭을 넓히고 있다.

 

라면의 원조국인 일본 역시 미국 시장에서 높은 판매 실적을 기록하고 있다. 니신(Nissin)은 최초로 미국에 라면을 소개한 기업으로, 컵누들(Cup Noodle), 탑라멘(Top Ramen) 등의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1972년 캘리포니아 가데나(Gardena)에 공장을 설립한 이후 탑라멘을 시작으로 다양한 제품군을 미국 시장에 출시하고 있다.

 

마루찬(Maruchan)은 1977년 미국에 진출해 생산 거점을 마련하였으며, 현재까지 판매 물량의 대부분을 현지에서 생산하고 있다. 대표 제품으로는 마루찬 라면 치킨맛(Maruchan Ramen Chicken Flavor), 마루찬 골드 스파이시 미소(Maruchan Gold Spicy Miso) 등이 있다.

 

<미국 주요 라면 제조사와 브랜드>

제품명

신라면

불닭볶음면

마루찬 라면

컵누들

탑라면

이미지

텍스트, 스낵, 인스턴트 식품, 음식이(가) 표시된 사진  AI가 생성한 콘텐츠는 부정확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음식, 스낵, 인스턴트 식품이(가) 표시된 사진  AI가 생성한 콘텐츠는 부정확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음식, 스낵, 인스턴트 식품이(가) 표시된 사진  AI가 생성한 콘텐츠는 부정확할 수 있습니다.

제조사

(국가)

농심

(한국)

삼양

(한국)

마루찬

(일본)

니신

(일본)

니신

(일본)

가격

(USD)

1.1

1.34

0.5

1.96

0.58

: 가격은 아마존 판매가 기준

[자료: 농심, 삼양, 니신, 마루찬 홈페이지]

 

유통구조

 

미국 내 라면의 유통 구조는 제조 및 수입 후 아시아 전문 유통망, 대형 리테일, 온라인 채널을 통해 소비자에게 전달된다. 과거에는 한인 및 아시안계를 제품을 판매하는 에스닉 슈퍼마켓 H마트(H Mart), 99랜치(99 Ranch Market) 등을 중심으로 판매가 이뤄졌으나, 최근 K-콘텐츠와 한류 확산으로 MZ세대 수요가 급증하면서 월마트, 코스트코, 타겟, 크로거 등 대형 유통망으로 유통 채널이 확대됐다. 특히 팬데믹을 기점으로 온라인 판매가 빠르게 성장해 아마존, 세이위(Say Weee) 등 전자상거래 플렛폼에서도 다양한 라면이 판매되고 있다.

 

관세율, 수입규제, 인증

 

라면의 일반 관세율은 6.4%이지만, 한국산 제품은 한-미 FTA 적용으로 무관세가 적용된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가 '25년 8월 7일부터 도입한 상호관세 15%가 별도로 부과되고 있다.

 

미국 내에서 유통되는 식품은 식품의약국(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의 규제를 받는다. 라면을 수출하기 위해서는 생산시설 등록, 통관 시 사전통보(Prior Notice), 라벨링 규정 등을 준수해야 한다. 또한 식품안전현대화법(FSMA, Food Safety Modernization Act)에 따라 미국 내 수입업자는 해당 제품의 안전성을 검증할 의무가 있다. 아울러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칠면조 등 육류 및 가금류 원료가 사용된 경우에는 별도로 미국 농무부(USD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의 규제를 받게 된다.

 

전망 시사점

 

미국 라면 시장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과거 단순히 한 끼를 때우는 저렴한 간편식으로 인식되던 라면이 최근에는 건강과 맛을 동시에 추구하는 프리미엄 식품으로 확장되고 있다. 특히 저지방, 저나트륨, 무첨가물 등 건강 요소를 강조한 제품들이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제 라면은 단순히 빠르게 끼니를 해결하는 식품을 넘어 ‘간편하면서도 건강하게 즐길 수 있는 요리’라는 새로운 가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여기에 온라인 쇼핑의 보편화, SNS를 통한 다양한 챌린지, 라면을 활용한 창의적 레시피 유행 등이 더해지며 미국 소비자들에게 강하게 어필하고 있다.

 

K-컬처의 확산은 한국 라면에 대한 관심과 수요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K-POP 스타들은 팬들과의 소통 과정에서 라면을 즐기는 모습을 자연스럽게 보여주며 브랜드 친밀도를 높이고 있으며, K-드라마와 영화 속 라면 장면 노출도 인지도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앞으로는 미국 소비자 취향에 맞춘 다양한 맛과 프리미엄 제품 개발, 현지에 친숙한 캐릭터를 활용한 마케팅 전략을 통해 한국 라면이 미국 시장에서 성장 기회를 더욱 넓혀갈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 Forbes, Fortune, Business Insights, Global Trade Atlas, US Food, 농심, 삼양, Nissin, Maruchan, KOTRA 뉴욕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미국 라면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