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제6회 LIFESTYLE WeeK OSAKA 참관기
- 현장·인터뷰
- 일본
- 오사카무역관 하마다유지
- 2025-10-17
- 출처 : KOTRA
-
생활잡화, 프리미엄 기프트, 문구 등 일본 국내외 우수상품 출품
한국 기업 11개사를 포함해 일본 국내외 기업 216개사 참가
크라우드펀딩으로 성공한 중소 기업들도 다수 참가
전시회 스케치
<전시회 개요>
전시회 명

제6회 LIFESTYLE WeeK OSAKA
개 최 장 소
INTEX Osaka (일본 오사카시)
개 최 기 간
2025.9.24.(목)~26.(금) (3일간)
홈 페 이 지
https://www.lifestyle-expo.jp/hub/ja-jp.html
개최 주기
연 3회 (도쿄: 7월, 10월, 오사카: 9월)
주 최
RX JAPAN
개최규모
참가기업 수: 216개사, 참관객 수: 1만6140명
주 요 품 목
선물·생활 잡화, 취미 활동 용품, 패션 잡화, 미용·건강 용품,
식기·주방 잡화, 친환경 용품, 식품 기프트, 인바운드용 상품
구성 전시회
제 1회 Japan Crafts & Souvenirs Expo
제 1회 Lifestyle Sourcing Expo Osaka
제 1회 STYLE x DESIGN Packaging Expo제 2회 Oshikatsu Expo
제 4회 Good Foods Expo제 6회 Health & Beauty Goods Expo
제 6회 GIFTEX OSAKA-Gifts & Interior Expo
연동 전시회
COSME WEEK, Marketing Week
[자료: 전시회 홈페이지]
<전시회 전경>

[자료: KOTRA 오사카무역관]
2025년 9월 24일(수)부터 3일간, 인텍스 오사카 전시장에서 제6회 LIFE STYLE WEEK OSAKA가 개최됐다. 올해로 여섯 번째를 맞이한 이번 전시회에는 한국 11개사를 포함해 총 216개 기관 및 기업이 참가했으며, 1만6140명의 참관객이 방문했다.
이번 전시회는 헬스&뷰티 굿즈 엑스포 등 6개 분야로 구성됐다. 올해는 아시아 OEM 공장 엑스포(Lifestyle Sourcing Expo Osaka)와 설레는 디자인 패키지 엑스포(STYLE x DESIGN Packaging Expo)가 신설됐다.
LIFE STYLE WEEK OSAKA는 선물, 문구, 가정용품, 패션 등 라이프스타일 소비재를 중심으로 한 B2B 전시회로 서일본 지역의 제조업체, 유통업체, 소매업체들이 대거 참가한다. 또한 화장품 및 미용용품 전문 전시회인 COSME WEEK와 동시 개최돼 드럭스토어와 편집숍 바이어들의 방문을 유도하고 있다. 이와 함께 세계 각국의 식품과 음료가 함께 소개돼 고급 선물을 찾는 서일본 지역 바이어들에게 신상품 발굴의 좋은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전시회를 통해 엿본 트렌드
야노경제연구소의 조사에 따르면, 2022년도 크라우드펀딩 전체 시장 규모는 약 1910억 엔으로 추정된다. 이번 전시회에서도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성공을 거두고 판로 확대를 위해 참가한 기업이 다수 눈에 띄었다. 신제품 홍보나 수입 제품의 인지도 제고를 위해 크라우드펀딩을 적극 활용하는 중소기업이 많다는 인상을 받았다.
헬스케어 제품을 한국에서 수입하는 R사 역시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성공한 신생 기업이다. 담당자에 따르면 드럭스토어나 대형 잡화 체인점 납품을 목표로 이번 전시회에 참가했다고 한다. 신생 기업이나 유통망이 제한적인 중소기업에 크라우드펀딩은 점차 효과적인 비즈니스 수단으로 자리 잡는 듯하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공업 부품 등 B2B 중심의 사업을 전개해 온 제조기업들이 자사 기술력을 바탕으로 자체 제품을 개발해 B2C 시장에 진출하려는 사례도 관찰됐다. 참가 기업 중에는 크라우드펀딩 경험이 있는 곳도 많았으며, 이들이 선보인 소비재 제품에는 대량 생산품에서는 느낄 수 없는 제조업체 특유의 장인정신과 개성이 담겨 있었다.
<참가기업 (B2B 제조 기업)>
제품 이미지
개요

ㅇ 기업명: FMC
ㅇ URL: www.fmc-osaka.com
ㅇ 기업 소개
- 정밀 가공 부품 제조 회사. 2024년부터 주방 잡화 등의 자사 브랜드(Tsunagari Factory) 개발에 착수
ㅇ 전시 내용
- 항공기나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인 두랄루민으로 제작된 술잔이다. 컬러 알루마이트로 처리해 내식성이 높을 뿐 아니라, 색감이 아름답고 질감이 고급스럽다. 열전도율이 높아 차가운 술을 따르면 그 냉기가 잔 전체로 빠르게 퍼지며, 입에 닿을 때 한층 더 시원하고 상쾌한 느낌을 준다. 전통적인 술잔 디자인에 현대적인 소재와 기술을 결합한 제품이다.

ㅇ 기업명: ASENSE
ㅇ URL: www.toolmarq.com
ㅇ 기업 소개
- 카메라 및 스마트폰 분야에서 축적한 정밀 가공 및 표면 처리 기술을 응용해 금속·수지 제품의 기획 및 제조. 자사 브랜드명은 'TOOLMARQ'.
ㅇ 전시 내용
- 알루미늄 절삭 플랜터 ‘TOOLMARQ 데스크탑 플랜터’ 출품. 가벼우면서도 내구성이 뛰어난 알루미늄 사용. 독자적 기술로 아름다운 질감을 오래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

ㅇ 기업명: 야마오카금형제작소
ㅇ URL: yamaoka-metal-mold.com
ㅇ 기업 소개
- 1923년 창업 이래 안경용 금형을 중심으로 제조해 온 기업. 2024년 11월부터는 안경테와 액세서리 트레이 제조를 시작.
ㅇ 전시 내용
- 도자기 같은 질감과 무게감이 느껴지는 액세서리 트레이. 최대 75%의 해수 미네랄 성분을 함유한 복합 수지를 사용하는 등 지속 가능한 제품.

ㅇ 기업명: Bainan
ㅇ URL: bainan.jp
ㅇ 기업 소개
- 정밀 판금, 기계 부품 제조, 강재 도매 판매를 하는 기업. 레이저 가공부터 용접까지 자체 일괄생산.
ㅇ 전시 내용
- 간접 조명과 비축 박스 기능을 겸비한 방재 아이템. 보존성이 높은 식료품이나 방재 시 필요한 일용품을 보관할 수 있는 제품.
[자료: 기업 홍보 자료, KOTRA 오사카 무역관]
기업 인터뷰
KOTRA 오사카무역관은 참가기업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했다.
<참가기업 R 사(건강기구)>
Q1. 참가 계기는 무엇인가요?
A1. 당사는 한국에서 건강 기구 등을 수입 판매하는 신생 기업으로, 크라우드펀딩에서 성공해 판로 확대를 위해 참가했다. 대형 유통사나 드럭스토어 등의 소매점 판매망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
Q2. 크라우드펀딩에 성공한 비결은 무엇인가요?
A2. 일본에 아직 없는 제품을 찾아내고 그 특징을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 소비자가 무엇을 원하는지, 당사 제품이 어떻게 문제를 해결해 주는지 명확히 전달해야 한다.
가격도 중요한 요소다. 이 가격이라면 사도 된다고 생각할 만한 가격을 설정하려면 일본 시장에 유사 제품이 없는지, 없다면 소비자에게 어느 정도 가격이라면 살 마음이 생길지 조사해야 한다.
<크라우드펀딩 운영사 M 사>
Q1.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구매하는 소비자들은 새로운 것을 좋아하는 성향이 있어 일반 소비자들과 구매 동기가 다르다고 느끼는 판매 기업들도 있습니다. 예전에 크라우드펀딩에서 목표를 크게 초과해 500만 엔 이상의 지원을 받은 한국 기업 담당자로부터는 펀딩엔 성공했지만, 구매자를 찾지 못했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도 있습니다. 크라우드펀딩이 판매 기업의 홍보 수단으로는 매우 효과적이라고 생각하지만, 다음 단계로 이어가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지 조언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A1. 크라우드펀딩은 테스트 마케팅의 장으로, 소비자 반응을 확인하는 매우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설령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더라도, 즉 소비자 반응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더라도 그 원인을 분석하고 다음 단계로 이어가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취사용 뚝배기를 제작하는 한 회사의 사례가 있다. 이 회사는 처음에 2인용(밥그릇 4공기 분량) 제품을 크라우드펀딩에 출품했으나, 약 50만 엔의 지원금만을 얻는 데 그쳤다. 이후 구매자 분석을 통해 소비자들이 더 작은 용량을 선호한다는 점을 파악하고, 0.7~1인용 취사용 뚝배기로 제품을 개선한 뒤 다시 출품하자 3385명으로부터 약 5500만 엔의 지원을 받는 데 성공했다. 후속 제품까지 포함하면 누적 매출이 1억 엔을 넘는 히트 상품으로 성장했다.
취사용 뚝배기는 전기밥솥보다 밥이 더 맛있다는 긍정적인 이미지를 인식하는 사람이 많다. 이 제품은 일본 요리점 등에서 사용하는 취사용 뚝배기를 가정에서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됐으나, ‘취사가 어렵다’라거나 ‘보관이 불편하다’라는 선입견도 존재했다. 그래서 해당 제품의 펀딩 성공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수납이 쉽고 다기능이며 취사가 간편하다는 점 외에도 소비자가 알고 싶어 하는 정보를 분석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전달한 점이 주효했다.
<제품 이미지>

[자료: 기업 인터뷰, 기업 홍보 자료]
시사점
라이프스타일 위크(Life Style Week)는 생활 잡화 종합 전시회로, 매년 도쿄와 오사카에서 각각 세 차례 개최된다. 일반적으로 소비 인구와 구매력 등 시장 규모를 고려하면, 지방 도시인 오사카보다 수도권인 도쿄가 훨씬 크다는 점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그렇다면 왜 많은 기업이 굳이 오사카 전시회에 참가하고, 또 바이어들이 참관하는 것일까? 부스 비용만 해도 70만 엔이 넘는 점을 고려하면, 바이어가 더 많이 모이는 도쿄 전시회에 참가하는 편이 더 합리적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참가 기업 F사의 담당자는 KOTRA 오사카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바이어와 깊이 있게 이야기를 나누기에는 오사카 전시회가 더 효과적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도쿄 전시회에도 참가한 적이 있지만 방문객 수는 많아도 인상 깊은 상담은 적었다. 전시회 이후 이메일을 보내도 회신이 거의 없었다. 판매 실적이 없으면 대화가 진전되기 어렵다. 반면 오사카 전시회는 바이어와 실제로 이야기를 나누고 반응을 살피기에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KOTRA 오사카무역관에서는 바이어의 입장도 들어봤다. 수입 바이어 A사 상품부 담당자는 “도쿄 전시회에는 다양한 제품을 보기 위해 이틀 동안 방문한다. 하루로는 전시 규모가 커서 모든 부스를 볼 수 없고, 상담 시간도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반면 오사카 전시회에 갈 때는 상담할 기업을 어느 정도 사전에 정해 목적을 가지고 방문하는 경우가 많다. 규모는 작지만 우수한 제품을 만드는 기업, 실적은 적어도 성실히 대화하는 기업이 많다는 점에서 바이어 입장에서도 오사카 전시회는 의미가 있다. 또한 현장에서 OEM 가능성 등 구체적인 논의를 하면서 제조업체로부터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는 경우도 있다. 전시회마다 특징이 다르기 때문에 단정할 수는 없지만, 도쿄와 오사카 전시회 모두 각자의 장점이 있다고 본다”라고 말했다.
결국 전시회 참가 목적에 따라 많은 명함을 얻는 것이 중요한지, 아니면 적은 기회라도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누는 것이 중요한지는 달라질 것이다. 크라우드펀딩에서 성공을 거둔 뒤 자신감을 얻어 전시회에 참가하는 기업도 많다.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구매자의 연령, 지역, 성별 등의 데이터를 파악할 수 있어, 전시회에서 어떤 방식으로 제품을 어필할지 사전에 전략을 세울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적극적으로 시장 정보를 수집하고 바이어와의 대화를 통해 인사이트를 얻는 자세가 성공의 지름길이 된다. 그런 의미에서, 바이어와 충분한 시간을 들여 심도 있는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오사카 전시회는 기업에 매우 긍정적인 기회가 될 것이다.
자료: 전시회 및 기업 홈페이지, 야노경제연구소, 기업 홍보 자료, KOTRA 오사카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일본 제6회 LIFESTYLE WeeK OSAKA 참관기)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캄보디아 스타트업과 벤처캐피털 산업 투자동향
캄보디아 2025-10-16
-
2
필리핀 AgriLink, FoodLink, AquaLink 2025 전시회 참관기
필리핀 2025-10-16
-
3
일본 제6회 COSME WeeK OSAKA 참관기
일본 2025-10-17
-
4
AI 기술이 한 자리에, ‘중국 국제 소비전자 박람회’ 참관기
중국 2025-10-13
-
5
인도 프린터 시장 동향
인도 2025-10-17
-
6
TWS·웨어러블의 확산이 이끄는 아르헨티나 전자기기 시장
아르헨티나 2025-10-14
-
1
2025년 일본 조선업 정보
일본 2025-10-16
-
2
2025년 일본 농산물 산업 정보
일본 2025-07-03
-
3
2024년 일본 에너지산업 정보
일본 2024-11-19
-
4
2024 일본 리튬이온 전지 산업 정보
일본 2024-11-18
-
5
2021년 일본 석유산업 정보
일본 2022-01-20
-
6
2021년 일본 의료기기 산업 정보
일본 2022-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