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적극적인 투자유치 의지가 보이는 가나 투자법 개정안
- 투자진출
- 가나
- 아크라무역관 황홍구
- 2025-10-21
- 출처 : KOTRA
-
2025년 상반기 투자실적 전년 대비 382% 증가
투자법 개정으로 최소투자금액 요건 등 폐지 전망
2024년 가나 외국인 투자 유치
가나 투자진흥센터(GIPC: Ghana Investment Promotion Centre)는 가나 투자 환경 개선 등 외국인 투자 유치 전반을 관할하며 외국인이 가나에 기업 투자시 등록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가나 외국인 투자 유치는 2017년부터 2024년까지 지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2024년 투자유치액은 6억1761만 달러로 2023년 6억4958만 달러에 비해 5% 감소했다. 이는 2020년 26억5097만 달러의 23% 수준이다. 2024년 투자 유치 건수는 140건으로 2020년 297건 대비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으나, 2023년 122건 대비 11.5% 증가했다. 등록된 140개 프로젝트 중 107개는 100% 외국인 소유였으며 이는 전체 프로젝트의 76.4%를 차지한다. 가나와 외국인 간의 합작 투자 프로젝트는 33개로 전체 프로젝트의 23.6%를 차지한다.
<2024년 가나 외국인 투자유치 현황>

[자료: GIPC(Ghana Investment Promotion Centre)]
<2020~2024년 가나 외국인 투자유치 현황>
(단위: US$ 백만, 건)
연도
총 투자유치액
외국인 투자유치액
가나 내국인 투자액
프로젝트 수
예상 일자리 창출건
2020
2,796.49
2,650.97
145.52
279
27,110
2021
1,491.32
1,298.66
192.66
271
15,775
2022
1,588.96
1,353.41
235.55
211
15,296
2023
663.18
649.59
13.60
122
13,523
2024
651.72
617.61
34.11
140
15,328
[자료: GIPC(Ghana Investment Promotion Centre), KOTRA 아크라 무역관]
2024년 투자 건수 기준 제조업 분야가 총 66건의 프로젝트로 가장 많은 프로젝트를 유치했으며, 서비스업 40건, 상업 15건, 수출업 9건, 관광업 4건, 농업 3건, 건설업 2건, 연락사무소가 1건이었다. 금액 면에서는 서비스업이 2억8156만 달러로 가장 많았으며, 제조업 2억2062만 달러, 연락사무소 7630만 달러였다.
<2024년 가나 외국인 투자유치 업종별 현황>
(단위: 건)

[자료: GIPC(Ghana Investment Promotion Centre)]
<가나 외국인 투자유치 업종별 현황(2024년)>
(단위: US$ 백만)

[자료: GIPC(Ghana Investment Promotion Centre)]
<2020~2024년 가나 업종별 외국인 투자유치 추이>
(단위: US$ 백만)
연도
서비스
제조업
수출무역
상업
건설업
광업
오일가스
농업
연락사무소
2020
656.2
1,270.5
16.8
15.4
43.7
424.3
222.6
1
0.5
2021
689.9
131.4
67.7
69.5
55.5
0
265.9
17.4
1.3
2022
577.4
347.1
36.2
183.2
15.6
0
176.5
17.5
0
2023
223.5
276.0
41.9
70.24
36.7
0
0
0.7
0.5
2024
281.6
220.6
9.9
25.6
0.7
0
0
1.6
76.3
[자료: GIPC(Ghana Investment Promotion Centre), KOTRA 아크라 무역관]
2024년 투자 현황
1. 지역별 투자 현황
2024년 등록된 140건의 프로젝트는 가나 전체 16개 도 단위 행정구역 중 8개 도에 분포하고 있으며, 그 중 115건이 수도가 위치한 그레이터 아크라(Greater Accra)에 있다. 나머지 프로젝트는 아샨티(Ashanti), 동부(Eastern), 중부(Central), 서부(Western), 북부(Northern), 서부북부(Western North), 어퍼이스트(Upper East) 지역에 분포돼 있다.
<2024년 가나 외국인 투자유치 지역별 분포>
(단위: 건수)

[자료: GIPC(Ghana Investment Promotion Centre)]
2. 국별 투자 현황
2024년 투자 건수로는 중국이 49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금액으로는 네덜란드가 2억6553만 달러로 가장 많았다.
<2024년 가나 외국인 투자유치 국가별 현황>
(단위: 건)

[자료: GIPC(Ghana Investment Promotion Centre)]
<2024년 가나 외국인 투자유치 국가별 현황>
(단위: US$ 백만)

[자료: GIPC(Ghana Investment Promotion Centre)]
<2024년 가나 외국인 투자유치 주요 프로젝트>
(단위: US$ 백만)
기업명
투자국
업종
투자액
Atlantic Terminal Services Limited
네덜란드-가나 합작
해상 물류
276.93
Glassic Fibreclass Innovation
이집트
유리 생산
96.01
Makiber S. A.
스페인
의료, 교육업
76.30
Hari Agro Industries Ghana Ltd
미국
농식품 가공
17
Focus Technology Limited Company
중국
전기제품 제조
16.80
World Shoe Limited
미국
신발 제조
11.23
Fisheries Ghana Limited
UAE
수산물 수출입
11
Top Glory Foods Ltd
싱가포르
토마토 가공
9.35
Abinga Agro Limited
인도
캐슈넛 가공
5.72
Sunda Purecare Limited Company
중국
소비재 제조
4.45
Nationwide Traffic Management
네덜란드
도로 관리
3.58
Elecer New Energy Technology
중국
전기오토바이
3
[자료: GIPC(Ghana Investment Promotion Centre), KOTRA 아크라 무역관 정리]
2025년 상반기 외국인 투자 유치
6월말 기준, 가나 투자진흥센터(GIPC)는 76개 프로젝트를 등록했으며, 총 외국인 직접투자(FDI) 규모는 8억6296만 달러로 추산된다. 이는 2024년 상반기 1억7907만 달러 대비 381.9% 증가한 수치다. 건수로는 제조업이 32개 프로젝트로 가장 많은 FDI를 유치했으며, 금액 면에서는 일반 무역 부문이 6억2292만 달러로 가장 많은 FDI를 유치했다. 2025년 상반기에 등록된 76개 프로젝트는 4707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별로는 중국이 22건의 프로젝트를 수행하여 가장 많은 건수를 투자했고, 인도 14건, 나이지리아 8건, UAE와 영국 각각 4건, 미국 3건으로 그 뒤를 이었다. 라이베리아, 모리셔스, 싱가포르, 터키는 상반기에 각각 2건의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2025년 가나 외국인 투자유치 현황>

[자료: GIPC(Ghana Investment Promotion Centre)]
2025년 주요 외국인 투자 유치 사례
1. AI 기반 농업에 1억 달러 투자 유치
가나는 일본의 AI 기반 농업 솔루션 공급 기업인 드가스(Degas Ltd.)로부터 1억 달러의 투자 약정을 확보했다. 2025년 8월말 마하마 가나 대통령은 일본 방문 시, 드가스 CEO인 도가 마키우라(Doga Makiura)와의 회담 후 일본 요코하마에서 투자건을 발표했으며, 이를 통해 가나는 4년간 AI 기반 농업 기술을 적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2. 파스타 생산, 사료 생산 등에 2억 달러 투자 유치
2025년 8월 마하마 가나 대통령이 싱가포르 방문 시, 식품 및 농업 기업인 올람 그룹(Olam Group)으로부터 2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여러 프로젝트에 자금을 투자할 전망이며, 2026년 오픈 예정인 파스타 생산 공장이 대표적이다. 해당 투자에는 가금류 및 양식업용 사료 가공 시설 개발 지원도 포함될 예정이며 6년에 걸쳐 진행된다.
가나 투자유치법(GIPC법) 개정안
2025년 1월 가나 신정부 출범 후, 정부는 24시간 경제, Big Push(인프라 개발), Mahama Care(의료 서비스 인프라 개발 및 서비스 확대) 등 굵직한 정책을 발표해 경제 회복 및 일자리 창출에 힘을 쏟고 있다. 이를 위해 외국인 투자 유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2013년 제정된 투자진흥법(Ghana Investment Promotion ACT, 2013, 이하 GIPC법) 개정 작업을 진행 중이다. 법안은 행정부 검토까지 종료됐으며, 의회 통과만 남겨둔 상태다. 기존법과 다른 가장 큰 변화는 외국인 투자시 최소 자본금 요건 완화와 특정 업종에 대한 외국인 참여 제한 해제다.
1. 외국인 투자 최소자본 제한 완화
기존 투자법에서는 외국인 투자 시 최소 자본 요건을 규정하고 있다. 외국인 투자자는 현금 또는 자본재, 그리고 지분 투자의 형태로 다음 금액을 투자해야 한다.
(a) 합작 투자(가나인이 최소 10% 지분을 소유하는 경우)의 경우 미화 20만 달러
(b) 외국인 지분 100% 소유 기업의 경우 미화 50만 달러
(c) 무역 기업의 경우 미화 100만 달러
개정안은 외국인 투자를 장려하기 위해 최소 자본 요건을 주변국과 비슷한 수준으로 맞추는 것을 목표로 하며, 외국인 투자자의 최소 자본 요건을 폐지하는 안을 제시했다. 최소 자본 요건이 폐지될 시, 외국인 개인과 기업은 대부분 가나 시장에 대한 초기 투자 또는 진입 규모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 단, 무역업의 경우, 최소 자본금은 50만 달러로 조정될 전망이다. 또한 무역업 투자 시 직원의 75%를 숙련된 가나인으로 채용해야 한다.
2. 투자금에 따른 거주 자격 보장 인원 구체화
<가나 신구 투자유치법 투자금액별 거주 자격 보장 인원 비교표>
기존 투자법 (2013)
개정안 (2025)
금액 구간
거주 자격 보장 인원
금액 구간
거주 자격 보장 인원
50만 달러 ~ 250만 달러
1명
50만 달러 ~ 500만 달러
2명
250만 달러 ~ 500만 달러
2명
500만 달러 ~ 1000만 달러
4명
500만 달러 ~ 700만 달러
3명
1000만 달러 ~ 3000만 달러
6명
700만 달러 이상
4명
3000만 달러 ~ 6000만 달러
8명
6000만 달러 ~ 1억 달러
10명
1억 달러 이상
12명
[자료: Ghana Investment Promotion ACT]
개정안은 기존 투자법보다 투자금액 구간을 확대하고 그에 따른 거주 자격 보장 인원도 확대했다.
투자법에 따라 납입자본금을 보유하고, 직접 고용 인력의 90% 이상을 숙련된 가나인으로 직접 고용한 경우, 외국인 투자기업은 본국에서 파견하고자 하는 직원 수를 이민국에 신청하여 할당받을 수 있다. 가나 이민국은 외국인 투자기업에 상기 투자금액에 따라 거주자격을 보장하는 인원을 할당해야 한다. 단, 가나 이민국이 파견직원 수를 할당하더라도 파견 직원이 입국 허가를 받기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할 충분한 이유가 있는 경우 비자 발급을 거부할 수 있다.
3. 외국인 투자 금지 업종 완화
<가나 외국인 투자 제한 업종>
시장에서의 상품 판매 또는 서비스 제공, 소규모 무역 또는 노점에서의 상품 행상 또는 판매
25대 미만의 차량을 보유한 기업에서 택시 또는 렌터카 영업
미용실 또는 이발소 운영
연습장 및 기타 기본 문구류 생산
완제 의약품 소매 판매
Sachet Water(비닐봉지 물) 생산, 공급 및 소매 판매
통신 서비스 가입자가 사용할 수 있는 충전 스크래치 카드 인쇄업
도박 및 복권 사업
[자료: Ghana Investment Promotion ACT]
현재 가나 투자유치법(GIPC법)은 노점상 등 8개 업종에 대해 외국인 투자를 제한하고 있다. 개정안에서는 상기 8개 업종 중 △충전카드 인쇄업, △도박 및 복권 사업을 외국인 기업도 영위할 수 있도록 업종 제한을 다소 완화할 예정이다.
4. External Company 등록 요건에 대한 명확화
현행 투자유치법(GIPC법)에 따라 외국인은 기업 설립 후 사업 시작 전에 투자진흥센터(GIPC)에 등록해야 한다. 그러나 기존 투자유치법은 '기업'에 대한 정의가 불명확해 External Company*가 투자진흥센터(GIPC)에 등록해야 하는지 여부에 대한 의문이 지속 제기돼 왔으며, External Company의 등록 요건도 불분명했다. 지분이나 주식이 없기 때문에 최소 자본 요건을 충족할 수도 없었다. 개정안에서는 이런 부분을 바로잡기 위해 External Company를 ‘기업’의 범주에 포함하는 것으로 변경(2019년 회사법, 법률 992와 동일한 기준 적용 예정)하고, External Company 설립 시 투자진흥센터(GIPC)에 등록해야 함을 명시했다.
* External Company: 프로젝트 수행을 위해 일정한 기간 운영하는 사무소와 유사한 개념
5. 기술이전계약(TTA) 범위 개정
가나 기업은 투자유치법(GIPC법)에 따라 모든 기술이전계약(Technology Transfer Agreements, 이하 TTA)을 등록해야 한다. 기존에는 상표, 서비스마크의 양도, 판매 및 라이선스 계약이 기술 이전의 일부가 아닌 경우 TTA에서 면제되었다. 그러나 개정안에서는 TTA로 인정되는 계약의 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다. 이 법안이 시행되면, 외국 상표 및 서비스마크와 같은 산업재산권의 양도, 판매 또는 라이선스 계약(기간 18개월 이상)을 체결하는 가나 기업은 해당 계약건을 TTA로 등록해야 한다.
투자유치법(GIPC법) 개정안에서는 기존 TTA 정의 또한 명확성을 위해 간소화됐다. 기술 이전 계약의 유효기간을 기존 10년에서 5년으로 변경할 예정이다. 갱신 시 연장기한도 5년으로 변경된다. 새로운 규정 이행을 강제화하기 위해 개정안은 미등록 TTA와 관련해 발생한 수수료 및 비용을 세무 목적상 공제 가능한 비용으로 처리할 수 없도록 규정할 예정이다.
시사점
조만간 의회 통과가 예상되는 가나 투자진흥법 개정안은 기존의 가나 투자진흥센터(Ghana Investment Promotion Centre) 명칭을 가나 투자진흥당국(Ghana Investment Promotion Authority)으로 변경할 예정이다. 진흥, 촉진, 규제를 아우를 수 있도록 센터의 역할을 확대하고, 현대적인 투자 관행을 반영해 센터의 기능을 개선할 계획이다.
아프리카 대륙 자유무역지대(AfCFTA) 투자 의정서의 서명국으로서, 가나 정부는 새로운 법안을 의정서의 주요 조항들과 연계해 투자자 보호 및 촉진에 대해 AfCFTA 기준을 충족하는 법적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또한 개정안은 지속가능개발목표(SDGs)와 같은 지속가능성 및 개발 목표를 지원하는 투자를 더욱 우선시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인권, 노동, 기업의 사회적 책임, 기후 및 환경과 같은 분야에서 투자자 의무를 추가하고 있다. 과거에는 지역 개발보다 외국인 직접 투자를 우선시했지만, 개정안에서는 교육, 역량 강화, 가나 법률 준수를 통해 투자자와 지역 사회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투자를 추구한다고 볼 수 있다.
현행 투자유치법(GIPC법)의 주요 쟁점 중 하나는 최소 자본 요건으로, 업종이나 실제 자본 필요성과 관계없이 100% 외국인 소유 기업, 합작 투자 기업, 그리고 무역 기업에 기준이 되는 금액을 적용해 왔다. 이러한 일괄적인 접근 방식은 특히 대규모 창업 자본이 필요하지 않은 서비스 및 기술 분야 기업에 장벽으로 작용했다. 가나 정부는 광범위한 협의를 거쳐, 합작 투자 기업과 100% 외국인 소유 기업에 대한 자본 요건을 폐지하고 무역 기업에만 기존 자본 요건을 완화해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이를 통해 정부는 기술 및 서비스 분야의 투자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금번 개정안은 단순히 외국인 투자라고 해서 우대하지는 않고 가나 경제에 지속 가능한 성장이 가능한 투자를 강조한 점이 특징이다. 정부는 내외국인을 가리지 않고 투자 활성화를 통해 현지 고용 창출, 부가가치 창출, 지역 경제 활성화 등 선순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정부가 최소 자본금 폐지 등 의욕적으로 투자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으나 우리 기업은 가나 진출 시 여러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 현지 제조업 부재로 인한 각종 물자 부족 및 이에 대한 높은 수입 의존도, 높은 물가, 부가가치세를 포함한 각종 세금 계산 시 20%를 초과하는 세율, 까다로운 비자 발급 과정, 세금 관련 규제당국의 불투명한 집행, IMF 구제금융 프로그램이 2026년까지 진행되는 점 등은 가나 진출 시 한 번 더 생각해야 할 사항이다.
자료: Ghana Investment Promotion Centre, KOTRA 아크라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적극적인 투자유치 의지가 보이는 가나 투자법 개정안)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급변하는 안보 환경과 방산 혁신, 북미 최대 육군 전시회 2025 AUSA 참관기
미국 2025-10-21
-
2
미국, 할인 의약품 직구 프로그램 'TrumpRx' 웹사이트 추진 발표
미국 2025-10-21
-
3
세대와 계층간 양극화 심화된 미 경제
미국 2025-10-21
-
4
크로아티아, EU의 전략적 투자 거점으로 부상
크로아티아 2025-10-20
-
5
2025년 크로아티아 소비자 트렌드: 유로화 도입이 온라인·선택적 소비 확대 주도
크로아티아 2025-10-20
-
6
2025년 튀르키예 섬유 및 의류산업 정보
튀르키예 2025-10-21
-
1
2025년 가나 전력산업 정보
가나 2025-07-23
-
2
2024년 가나 의료산업 정보
가나 2024-09-23
-
3
2024년 가나 식품산업 정보
가나 2024-08-27
-
4
2021 가나 광물산업 정보
가나 2021-12-07
-
5
2021년 가나 농수산업 정보
가나 2021-10-18
-
6
2021 가나 건설산업 정보
가나 2021-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