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캐나다 고무 컨베이어 벨트 시장동향
  • 상품DB
  • 캐나다
  • 토론토무역관 유혜리
  • 2025-10-15
  • 출처 : KOTRA

2025년 시장 규모 8억 3,440만 달러, 성숙기 진입에도 친환경·고내구성 제품 수요 확대

한국산 점유율 0.5% 수준, FTA 무관세와 기술 차별화를 통한 틈새시장 공략 필요

HS Code 개요


HS Code 4010.19는 고무를 주재료로 한 컨베이어 벨트 중 특정 산업용(평벨트 등) 제품군을 포괄한다. 이 제품들은 광업, 제조업, 물류, 건설 현장 등에서 원자재·부품·완제품의 운송을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되며, 내구성·안전성·환경 적합성이 시장 경쟁력의 핵심 요소로 작용한다.

 

시장 규모 및 동향

 

캐나다의 고무 컨베이어 벨트 산업은 광업, 자동차, 물류, 건설, 에너지 등 핵심 산업의 생산 현장에서 필수적인 부품으로 자리 잡아왔다. 광산 현장, 물류창고, 제조업 생산라인 등에서는 교체 주기가 짧아 반복적인 수요가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2025년 시장 규모는 약 83,440만 캐나다 달러로 추정되며, 최근 5년간(2020~2025) 연평균 3.8% 성장했다. 팬데믹 시기에는 원자재 가격 급등과 물류비 상승으로 수익성 악화가 있었으나, 공급망 다변화와 자동화 설비 투자, 특수 사양 제품 개발이 뒷받침되면서 시장은 안정세를 유지할 수 있었다.

 

2025~2030년 전망은 연평균 -0.2%의 소폭 감소세로, 산업이 성숙기에 들어섰음을 시사한다. 다만 캐나다 내 전기차 보급 확대, 에너지 전환 프로젝트, 광물 개발, 물류 자동화 등 구조적 변화가 새로운 수요를 창출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고내구성·친환경 제품이나 고효율 신소재 벨트에 대한 수요는 오히려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범용 제품은 경쟁 심화로 성장세가 둔화되지만, 기술력과 차별화된 서비스를 앞세운 고부가가치 제품은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캐나다 고무 컨베이어 벨트 연도별 시장 규모>

(단위: C$100)

: 2025~2029년은 전망치

[자료: IBIS]

 

수입 동향 및 주요 수입국

 

2024년 캐나다의 고무 컨베이어 벨트(HS Code 4010.19) 수입액은 2302만 캐나다 달러로, 전년(2254만 캐나다 달러) 대비 2.1% 증가했다. 이는 광업·물류·제조업 부문의 교체 수요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국가별로는 미국이 1011만 캐나다 달러(43.9%)로 최대 수입국이다. 미국산 제품은 지리적 접근성, 규제 정합성, 품질 신뢰도를 기반으로 OEM 및 애프터마켓 전반에 공급되고 있다. 스페인은 245만 캐나다 달러(10.6%)2, 중국은 243만 캐나다 달러(10.6%)3위를 기록했다. 스페인은 특정 프로젝트 납품을 기반으로 최근 성장세가 두드러졌고, 중국은 가격 경쟁력을 무기로 범용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독일(193만 캐나다 달러, 8.4%)과 인도(190만 캐나다 달러, 8.3%)는 광산·에너지 프로젝트용 고내구성 벨트 분야에서 강세를 보였다. 네덜란드(3.8%), 이탈리아(3.4%), 남아공(2.1%), 영국(1.3%), 대만(1.3%)도 상위 10위권에 포함되어 시장 다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한국은 2024년 기준 11만 캐나다 달러(0.5%)로 아직 점유율이 미미하지만, 2020년 대비 점진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수출 물량의 변동성이 큰 만큼,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와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의 전략이 요구된다.

 

<캐나다 고무 컨베이어 벨트 연도별 수입 규모(HS Code 4010.19 기준)>

(단위: C$ , %)

순위

국가

2022

2023

2024

수입 비중

('24)

증감

('24/'23 )

1

미국

13,799

11,873

10,112

43.9

-14.8

2

스페인

7

36

2,450

10.6

6705.6

3

중국

2,611

2,574

2,431

10.6

-5.6

4

독일

1,536

2,827

1,930

8.4

-31.7

5

인도

1,718

1,524

1,904

8.3

24.9

6

네덜란드

842

840

884

3.8

5.2

7

이탈리아

628

1,309

778

3.4

-40.6

8

남아공

-

1,297

486

2.1

-62.5

9

영국

96

98

289

1.3

194.9

10

대만

344

106

285

1.3

168.9

17

한국

210

2

110

0.5

5400

전 세계

23,097

22,543

23,021

100

2.1

[자료: 캐나다 통계청]

 

전반적으로 캐나다의 수입 구조는 미국 중심의 안정적 공급, 중국·인도의 가격 경쟁 제품, 독일·스페인 등 유럽산 고품질 제품이 혼재하는 구도를 보인다. 한국 기업의 경우 범용 저가 시장보다는 고내구성·친환경 및 특수 사양 제품에 초점을 맞추고, OEM 납품이나 프로젝트 기반 파트너십을 통한 틈새시장 공략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경쟁 동향

 

캐나다 시장에는 약 60여 개 기업이 활동 중이나, 개별 기업의 점유율은 모두 5% 미만으로 특정 상위 기업의 독주 체제는 존재하지 않는다.

 

경쟁 구도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첫째, 미국·중국산 등 수입산 저가 제품이 범용 시장을 장악하고 있으며, 둘째, 캐나다 현지 기업은 특수 사양·맞춤형 제품을 통해 광산·혹한지·에너지 전환 프로젝트 등 고난도 환경 수요를 충족하고 있다. 현지 기업들은 유지보수·현장 서비스 제공으로 고객 충성도를 높이고 있으며, 재활용 원료와 친환경 제품 개발로 차별화를 시도한다.

 

상위 기업이 없는 대신, 다수의 소규모 제조업체들이 지역·산업별 특화 제품을 공급하며 시장을 유지하고 있다. 이들은 OEM 공급과 애프터마켓 교체 수요 모두에 대응하며, 최근에는 자동화·디지털 관리 시스템을 도입해 생산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대형 프로젝트 입찰에서 친환경 인증 및 특수 규격 충족 능력을 강조하며 경쟁력을 강화하는 추세이다.

 

유통구조

 

컨베이어 벨트의 유통구조는 크게 OEM 직납, 애프터마켓, 대리점·도매상으로 구분된다. OEM 납품은 장기 공급계약을 통해 안정적 수요를 창출하며, 애프터마켓은 혹독한 기후와 광산 환경에서 교체 주기가 짧아 매출 비중이 크다. 대리점·도매상은 중소 수요처와 농업·건설 분야를 중심으로 시장을 형성한다.

 

최근에는 전자상거래 플랫폼 성장으로 온라인 유통 비중이 확대되고 있다. 이는 중소 바이어의 구매 접근성을 높이고, 가격 투명성을 강화해 경쟁 심화를 불러오고 있다. 한국 기업은 온라인 유통망과 현지 대리점 네트워크를 병행 활용해 시장 진입 기회를 확대하는 것이 중요하다.

 

안전기준 및 인증

 

캐나다는 고무 제품에 대해 엄격한 환경·안전 기준을 적용한다. 컨베이어 벨트 역시 시장 진입을 위해 관련 규제를 충족해야 한다. 캐나다 환경보호법(CEPA, Canadian Environmental Protection Act)은 유해 화학물질 사용과 배출을 제한하며, 휘발성 유기화합물·프탈레이트·중금속 등 특정 성분은 금지 또는 엄격히 관리된다. 2022년 개정된 특정 독성 물질 금지 규정(Prohibition of Certain Toxic Substances Regulations)에서는 일부 난연제와 첨가제 사용을 전면 금지했으며, 2024년 제정된 화학·플라스틱·고무 산업 행동강령*(Code of Practice)은 제품 전 생애주기의 재활용·환경 관리까지 고려할 것을 의무화했다.

* 정식 명칭은 Code of Practice for the Environmentally Sound Management of Chemical Substances in the Chemicals, Plastics and Rubber Sectors이며, 이하 Code of Practice라 한다.

 

안전 인증은 캐나다표준협회(CSA) 규격 준수가 필수이다. 광산용 컨베이어 벨트는 CSA M422(화재 확산·정전기 방지 성능 기준), 일반 기계설비용은 CSA Z432(기계 방호 기준)를 따라야 한다. CSA M422는 벨트 소재와 구조의 난연성·정전기 방지 성능을 시험하며, CSA Z432는 기계 설비 전체의 안전성을 평가한다. 따라서 제품의 적용 산업과 사용 환경에 맞는 인증을 선별적으로 취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CSA M422 vs CSA Z432 비교표>

구분

CSA M422:14

(컨베이어 벨트 화재·정전기 성능 기준)

CSA Z432:16

(기계 설비 방호 기준)

적용 대상

지하 광산·터널 등 폭발 위험 또는 일반

작업 환경에서 사용되는 새 컨베이어 벨트

컨베이어 벨트 포함 모든 기계 설비

(신규·개조·재배치 기계)

주요 목적

화재 확산 방지 및 정전기 위험 최소화

작업자 안전 확보, 기계 접촉·사고 예방

시험 항목

- 화염 시험 (Flame test)

- 화염 확산 시험 (Flame propagation)

- 드럼 마찰 시험 (Drum friction test)

- 전기 저항 시험 (Electrical resistance)

- 위험 요소 식별 및 평가 (Risk assessment)

- 기계적·비기계적 위험 분석

- 보호 덮개·안전 장치 설계 기준

- 인터록 장치 및 비상정지 시스템 적용

벨트 유형

A1, A2, B1-A, B1-B, B2, C 등으로 세분화하여 각각의 시험 요건 규정

특정 유형 구분 없음. 모든 기계·설비에 일반적으로 적용

인증 방식

시험 성적서 확보 및 적합성 평가

설계·제조 단계에서 표준 준수, 현장 설치 후 안전 점검 및 검증

관련 산업

광업, 지하 건설, 중장비 자재 운송

제조업 전반, 물류, 건설, 자동화 설비, 생산라인

특징

- 벨트 소재와 구조 중심의 안전성 검증

- 난연·정전기 방지 성능이 핵심

- 설비 전체의 시스템적 안전 확보 강조

공식 링크

https://www.csagroup.org/store/product/2422898/

https://www.csagroup.org/store/product/Z432-16/

[자료: CSA]

 

시험 성적서는 캐나다 내 인증기관이나 캐나다 표준 위원회(SCC, Standards Council of Canada) 승인 국제 시험기관에서 발급받아야 하며, 원재료 성분표,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Material Safety Data Sheet), 친환경 인증 문서 등을 바이어와 당국에 제출해야 한다. 모든 자료는 영어·불어 병기가 필수이고, 근거 없는 친환경 표시는 엄격히 제한된다.

 

캐나다 표준 위원회가 승인한 시험기관 중에는 International Testing Laboratory Inc., LabTest Certification Inc., QAI Laboratories 등이 있다. 승인된 시험기관의 전체 리스트*는 아래 캐나다 표준 위원회 웹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하다.

* 인증 시험기관 리스트:

https://scc-ccn.ca/search/site?fulltext=en%20accreditation%20programs%20laboratories%20directory

 

관세율 및 수입 규제

 

-캐나다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HS Code 4010.19에 해당하는 한국산 고무 컨베이어 벨트는 무관세(0%) 혜택이 적용된다. 202510월 기준, 해당 품목에는 반덤핑, 상계관세, 세이프가드 등 별도의 수입 규제 조치가 없다.

 

시사점

 

캐나다 고무 컨베이어 벨트 시장은 성숙기에 접어들며 전체 성장세는 정체가 예상되지만, 광업·에너지·물류 자동화와 같은 기반 산업의 특수 수요는 여전히 유효하다. 특히 친환경·고내구성 제품, 그리고 프로젝트 맞춤형 솔루션은 지속적으로 수요가 확대될 전망이다. 한국 기업이 단순 범용 제품으로는 경쟁이 어렵지만, CSA 규격 충족과 친환경 인증 확보를 통해 기술 차별화를 강화한다면 충분히 시장에서 입지를 넓힐 수 있다.

 

또한 캐나다의 유통구조는 OEM 직납과 애프터마켓, 대리점, 온라인 플랫폼이 복합적으로 작동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에 따라 한국 기업은 무관세 혜택을 활용해 가격 경쟁력을 높이고, 현지 파트너사와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OEM 공급망에 접근하는 한편, 온라인 유통망을 통해 중소 바이어를 직접 공략하는 이중 전략을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시장 접근은 캐나다 산업 전환 흐름에 부합하면서 틈새시장 선점에도 유효한 해법이 될 수 있다.

 


자료: 캐나다 통계청, CSA, IBIS World, 토론토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캐나다 고무 컨베이어 벨트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