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체코 소비자를 사로잡은 K-뷰티, 현지 유통사가 제안하는 진출 전략은?
- 트렌드
- 체코
- 프라하무역관 정지연
- 2025-10-14
- 출처 : KOTRA
-
K-뷰티, 주요 화장품 카테고리로 부상...주요 유통 채널 판매 확대
국내외 마케팅 활동, 핵심 스토리텔링, 적절한 유통사 선정 전략이 효과적
체코 화장품 시장 성장 속 K-뷰티의 확산이 한층 뚜렷해지고 있다. 체코 화장품 시장이 지속 성장하는 가운데 젊은 소비자층을 중심으로 한 트렌드 확산과 대형 유통망의 K-뷰티 판매 확대가 맞물리며, 시장 내 입지도 점차 강화되고 있다. 이러한 진출 기회 확대 속에서 현지 바이어 및 유통사를 통해 알아본 체코 K-뷰티 수요 동향 및 진출 전략을 짚어보고자 한다.
체코 화장품 시장, 소비 트렌드 변화 속 성장세 지속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Euromonitor)에 따르면, 체코 화장품 시장 규모는 2024년 약 1407억 코루나(약 67억81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5.4% 증가했으며, 최근 3년간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성장 배경에는 셀프케어(Self-care) 및 웰빙 트렌드 확산, 소셜미디어를 통한 뷰티 트렌드 전파, 다양한 기능성 제품 확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기초 화장품 시장에서는 페이셜 케어 제품군이 주요 성장 분야로, 보습제와 안티에이징 제품을 중심으로 수요가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특히, K-뷰티의 스킨케어 루틴을 통한 일상적 피부 관리와 투명하고 광채 나는 피부(Glass Skin) 트렌드가 주목받으면서 한국 화장품의 인기가 증가하는 추세다. 아울러 천연 및 비건 성분, 지속 가능 포장재 선호 트렌드도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색조화장품 시장은 소셜미디어와 인플루언서의 영향으로 Z세대를 중심으로 신규 브랜드와 신제품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프리미엄 제품 소비 또한 점차 젊은 소비자층으로 확산하고 있다. 특히 아이∙립 메이크업과 같은 포인트 메이크업 카테고리가 뚜렷한 성장세를 보였다. 한편 선케어 시장도 자외선 차단 필요성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확대되며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인다. 이 중 아동용 고(高)지수 자외선 차단 제품이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체코 화장품 시장규모 현황>
(단위: CZK 백만, %)
구분
2022
2023
2024
’24/’23
증감률
기초화장품(스킨케어) 소계
7,316
7,963
8,322
4.5
- 페이셜 케어
5,357
5,910
6,213
5.1
- 바디 케어
1,224
1,272
1,301
2.2
- 핸드 케어
445
468
486
3.8
- 기타 세트 및 소품
292
313
322
2.8
메이크업 소계
4,419
4,887
5,222
6.8
- 아이 메이크업
1,499
1,677
1,823
8.7
- 페이셜 메이크업
1,079
1,196
1,277
6.8
- 립 메이크업
1,151
1,298
1,394
7.4
- 네일 제품
652
676
686
1.5
- 기타 세트 및 소품
39
41
42
2.4
선케어 제품
451
499
532
6.5
합계
12,186
13,350
14,075
5.4
* 주: 1 CZK=67.16 KRW (2025.9월 우리은행 월평균 환율 기준)
[자료: Euromonitor]
주요 유통망 K-뷰티 앞세우며 판매 확대, K-뷰티 입지 강화
체코에서 K-뷰티는 이제 단순한 트렌드를 넘어 주류 화장품 카테고리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주요 대형 유통망은 소비자 수요에 대응해 별도 ‘K-뷰티’ 섹션을 운영하며, 혁신적 제형, 고품질, 다단계 스킨케어 루틴, SPF 기본 함유, 한국 전통 성분(인삼, 쌀, 녹차, 달팽이 점액) 등 한국 화장품의 차별적 강점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사용법 안내와 기획전 등을 통해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뷰티 전문 유통 채널에서는 K-뷰티가 스킨케어 부문을 선도하고 있다. 체코 대표 온라인 뷰티 전문 유통사인 A사 담당자는 KOTRA 프라하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스킨케어 카테고리 내 K-뷰티 점유율이 가장 높으며, 2024년 K-뷰티 매출이 전년 대비 80%, 최근 3년간은 약 7배로 성장해 큰 증가세를 보였다고 밝혔다.
그 외에도 드럭스토어, 약국 체인, 종합 온라인몰 등 주요 유통 채널에서도 한국 화장품 판매가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드럭스토어 Rossmann의 체코 구매 담당자는 무역관과의 인터뷰를 통해 자사 기초 화장품 매출에서 K-뷰티가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밝혔으며, 기존 마스크팩과 기초 화장품 중심에서 색조와 헤어케어로 제품군을 확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체코 전역에 폭넓은 오프라인 네트워크를 보유한 약국 체인 Dr.Max와 BENU도 다양한 한국 화장품 브랜드를 판매 중이다. 아울러 체코 최대 종합 온라인몰 Alza는 50여 개 이상의 한국 브랜드와 1200여 종의 제품을 판매하며, K-뷰티 카테고리를 강화하고 있다.
<체코 주요 유통채널의 한국 화장품 유통 현황>
구분
유통기업
특징
K-뷰티 유통 현황
뷰티
전문점
Notino
- ’04년 설립된 중동부 유럽 대표 온라인 뷰티 유통사, 유럽 28개국 진출 및 26개 오프라인 매장 운영
- 약 8만여 SKU, 1500여 개 브랜드 등 광범위한 뷰티 제품을 취급, 디지털 마케팅, 옴니채널 전략이 강점
* ’24년 매출액 18억6000만 달러
- 80여개 K-뷰티 브랜드, 약 1900여개 제품 판매
- 스킨케어 카테고리에서 K-뷰티 판매 비중이 가장 높음
- K-뷰티 기획전, K-뷰티 박스, 브랜드 행사 등 진행
Douglas
- 독일 기반 글로벌 뷰티 체인, 체코 내 주요 상권(쇼핑몰·도심)에 약 21개 매장 운영
- 프리미엄 및 독점 브랜드 중심, 높은 브랜드 인지도 및 체험형 매장 운영
- 20여개 K-뷰티 브랜드, 약 300여개 제품 판매
- 조선미녀, Erborian, Belif, COSRX 등
드럭
스토어
Rossmann
- 독일의 드럭스토어 유통체인, 체코 내 220여개 매장 운영
- 폭넓은 오프라인 네트워크와 대중적 접근성이 강점
- 40여개 K-뷰티 브랜드, 380여개 제품 판매
- 기초∙색조 화장품, 헤어케어 등 다양한 카테고리에서 K-뷰티 제품 판매
- 프로모션 및 매장 내 홍보 활동 등을 통해 K-뷰티 비중 확대 중
DM
- 독일의 드럭스토어 유통체인, 체코 내 250여개 매장 운영
- 폭넓은 오프라인 네트워크, 로열티 프로그램 등이 강점
- 14개 K-뷰티 브랜드, 90여개 제품 판매
- 주로 마크스팩, 스킨케어 위주 판매
약국
체인
Dr.Max
- 체코 최대 약국 체인(시장 점유율 약 40%), 약 530개 약국 지점 운영, 폭넓은 오프라인 네트워크 및 활발한 온라인 판매 강점
- 자체 브랜드·프리미엄 코스메틱 전문 매장(Bjut by Dr. Max)도 운영
* ’24년 매출액 14억4000만 달러
- 20여개 K-뷰티 브랜드, 440여개 제품 판매
- Mizon, 조선미녀, Erborian, Medi-Peel 등
BENU
- 독일 Phoenix Group 산하의 다국적 약국 체인, 체코 내 약 420개 약국 운영
- 폭넓은 오프라인 네트워크 및 활발한 온라인 판매 강점
* ’24년 매출액 6억 달러
- 11개 K-뷰티 브랜드, 80여개 제품 판매
- COSRX, VT Cosmetics, Holika Holika, 조선미녀 등
종합
쇼핑몰
Alza
- 체코 최대 종합 온라인 리테일러, 전자제품 외 화장품 등 생황용품 카테고리도 확대 중
- 빠른 배송(새벽배송 포함), 무인 픽업박스 등을 통한 물류∙배송 서비스에 강점
- 50여개 K-뷰티 브랜드, 1200여개 이상 제품 판매
- 최근 K-뷰티 전용 카테고리 강화 및 유통 제품 확대
- 조선미녀, Anua, COSRX, TIRTIR, SKIN1004, VT Cosmetics 등
[자료: 각 기업 웹사이트, Merk, seznamzpravy.cz]
對 한국 화장품 수입도 가파른 증가세 보여
체코의 대한국 화장품 수입도 K-뷰티 인기에 힘입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022~2024년 기간 체코의 對한국 화장품(HS코드 3304 기준) 수입 규모는 약 2배 확대돼, 2024년 기준 2791만 달러를 기록했다. 2025년 7월까지의 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96.6% 증가해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기초 화장품 외에도 립·아이 메이크업 등 색조 화장품 수입도 빠르게 늘고 있다. 또한, 주변 유럽 국가를 통해 수입되는 물량까지 포함하면, 체코의 2024년 한국 화장품 수입액(원산지 기준 체코 통계청의 화장품 수입 자료 기준)은 약 4600만 달러로 6위 수입국에 해당한다.
<체코의 對한국 화장품(HS코드 3304 기준) 수입 현황>
(단위: US$ 천, %)
HS코드
품목
2022
2023
2024
2025
1~7월
’25/’24
증감률
330499
기타 기초∙색조화장품
(선케어 제품 포함)
11,183
16,404
24,591
24,258
100.7
330410
립 메이크업
1,067
1,130
2,137
1,895
72.7
330420
아이 메이크업
997
791
773
753
71.2
330491
파우더, 페이셜 메이크업
50
445
337
238
49.8
330430
매니큐어 및 페디큐어용 제품
85
98
73
8
-74.1
수입 합계
13,382
18,869
27,910
27,151
96.6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9.29.)]
현지 바이어가 주목한 K-뷰티 수요 트렌드
KOTRA 프라하 무역관은 최근 2년 간 체코에서 뷰티 행사(상담회, 사절단, 전시회, 간담회)을 통해 체코 시장 내 K-뷰티에 대한 수요와 반응을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파악된 수요 동향, 그리고 현지 유통사에서 제시한 K-뷰티 브랜드의 효과적인 체코 진출 전략을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① K-뷰티 포트폴리오 다각화·확장으로 수요 확대
기존 한국 화장품을 취급해 온 바이어들은 K-뷰티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며 제품군을 넓히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스킨케어에 집중해 왔던 체코 바이어들은 최근 색조, 바디, 헤어 제품군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실제로 뷰티 유통사 A사의 K-뷰티 매출에서 스킨케어가 70% 이상을 차지하나, 색조 화장품은 전년 대비 70% 이상, 헤어케어 제품 매출은 150% 늘며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였다. 체코 대형 헤어 전문 온라인몰 B사는 헤어케어 중심에서 스킨케어로 사업을 확장하며, K-뷰티 카테고리 신설을 추진 중이다.
상담회에서는 입욕젤, 바디 스크럽 등 스파 제품에 대한 수요도 확인돼 바디 카테고리의 성장 가능성도 보였다. 아울러 화장품 외 식품, 뷰티기기 등 소비재를 취급하는 바이어들도 한국 화장품을 유통하고자 하는 상담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다.
② 직접 거래 선호 증가
체코 내에서 한국 화장품의 인기가 확산하고 시장 저변이 확대되면서 과거보다 벤더를 거치지 않고 한국 기업과 직접 거래를 희망하는 바이어가 늘고 있다. 일부 바이어들은 브랜드나 기업별로 특정 제품군은 벤더를 통해, 다른 제품군은 직접 거래하는 방식을 병행하고 있다. 또한, OEM을 통한 현지 재브랜딩에 관심을 보이며, 자체 브랜드로 한국 화장품을 도입하려는 사례도 확인된다.
③ 인기 기능성 화장품 수요 지속, 신성분 관심도 증가
안티에이징, 리프팅, 피부 재생 등 기존 인기 기능성 제품에 대한 수요는 유지되고 있다. 동시에 비건, 지속가능성, 클린 콘셉트 제품에 대한 관심도 이어지고 있다. 여기에 PDRN* 등 새로운 성분이나 주름 리무버 등 현지 시장에 아직 도입되지 않은 기능성 제품 등에 대한 문의도 확인되고 있다.
* 주: PDRN: 연어 생식세포에서 추출한 DNA 조각으로 피부 조직의 재생과 회복을 돕는 성분
④ 현지 마케팅 역량 및 타 유럽시장 연계 유통망 활용
체코의 주요 유통사와 바이어들은 현지 소셜 미디어 인플루언서 등과의 협업, K-뷰티 기획전, 오프라인 행사, 기프트 박스 등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통해 체코 내 한국 화장품 인지도를 높이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 기업도 현지 바이어의 마케팅 역량을 적극 활용해 협업할 경우 시장 내 입지 확대에 더욱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바이어들이 체코뿐만 아니라 폴란드, 슬로바키아 등 인근 국가에도 유통망을 갖추고 있어, 주변국으로의 진출로 이어질 수 있는 점도 전략적으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체코 유통사가 전하는 K-뷰티 진출 전략
① 브랜드 레퍼런스 구축 및 소비자 접점 확대
최근 유럽 소비자들은 뷰티 제품과 트렌드에 대한 정보 습득력이 높으며, K-뷰티를 '트렌드 리더'로 인식하고 있다. 일례로 한국 올리브영을 알고 있는 소비자가 많으며, 올리브영에서 접한 브랜드와 제품을 현지 플랫폼에서도 찾는 사례가 많다. 따라서 활발한 한국 내 마케팅 활동과 브랜드 노출은 유럽 진출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유럽 시장에서 소규모 유통망이나 마이크로 인플루언서를 통한 마케팅이라도 의미가 있으며, 소비자가 검색 시 제품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시장 내 존재감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불어 볼로냐 코스모프로프(Cosmoprof)와 같은 국제 전시회에 참가해 유럽 대형 유통사와 접점을 넓히고 브랜드를 알리는 전략도 필요하다.
② 가격 전략 및 스토리텔링 중요
유럽 시장은 국가별 소비 성향과 가격 민감도가 다르므로, 맞춤형 가격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동시에 브랜드 고유의 스토리텔링이 중요하다. 유럽 뷰티 시장은 수백 개의 신규 브랜드가 꾸준히 등장하는 역동적인 시장으로, 성공 브랜드들은 핵심 성분과 솔루션을 명확히 제시하며 차별성을 확보한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모든 제품이 고르게 성공하기를 기대하기보다는, 2~3개의 시그니처 제품을 중심으로 브랜드 스토리를 구축해 이를 바탕으로 현지 마케팅을 전개하는 방식이 효과적이다.
③ 유통채널의 전략적 선정
마지막으로 유통채널은 타깃 소비자층과 강점 제품군이 각기 다르므로 전략적 선택이 필요하다. 체코에서는 뷰티 전문점(Notino, Douglas), 드럭스토어(DM, Rossmann), 온라인 약국(Dr.Max, BENU), 종합 온라인 쇼핑몰(Alza, Allegro) 등이 서로 다른 고객층과 포지셔닝을 보유하고 있다. 예를 들어 드럭스토어는 화장품이 전체 취급 상품 중 일부 품목으로, 더 대중적인 제품이 유통되는 반면 뷰티 전문점은 화장품 및 뷰티 제품에 특화돼 뷰티 트렌트에 더 관심이 많은 고객층이 주요 타깃이 될 수 있다. 기업 전략에 따라 단일 채널에 집중하거나 독점 계약 전략을 활용할 수 있고, 멀티채널 접근으로 시장 저변을 확대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시사점
체코 시장에서 K-뷰티는 혁신적이고 고품질 제품으로 트렌드를 선도하며 현지 시장 내에서의 확산세가 뚜렷해지고 있다. 주요 유통사들은 스킨케어를 넘어 색조, 헤어, 바디 제품 등으로 포트폴리오를 넓히고 있으며, 직접 거래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 기업은 현지 유통사의 마케팅 역량과 네트워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시그니처 제품 중심의 브랜드 전략을 강화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체코를 통해 인근 유럽으로 브랜드가 확산할 기회가 될 수 있어, 기업들은 인접국까지 연계할 수 있는 유통사를 선정하고 진출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자료: Euromonitor, Global Trade Atlas, 체코통계청(CZSO), Merk, Seznamzpravy.cz, Notino, KOTRA 프라하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체코 소비자를 사로잡은 K-뷰티, 현지 유통사가 제안하는 진출 전략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질주하는 K-뷰티! 폴란드 화장품 시장의 게임 체인저
폴란드 2025-10-14
-
2
인도네시아, 이제는 K-뷰티가 아닌 K-에스테틱?
인도네시아 2025-10-14
-
3
베트남 식문화 속에 자리 잡은 K-푸드
베트남 2025-10-14
-
4
핀란드 화장품 시장동향
핀란드 2025-10-14
-
5
두피도 피부처럼 관리! 미국 '스키니피케이션 트렌드', K-뷰티의 새로운 기회
미국 2025-10-14
-
6
독일 메모리반도체 시장동향
독일 2025-10-14
-
1
2025년 체코 방위산업 정보
체코 2025-08-28
-
2
2024년 체코 전력산업 정보
체코 2024-08-07
-
3
2021년 체코 자동차 산업 정보
체코 2021-12-22
-
4
2021년 체코 의료기기 산업 정보
체코 2021-12-20
-
5
2021년 체코 에너지 산업 정보
체코 2021-12-20
-
6
2021년 체코 의약품 산업 정보
체코 2021-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