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에콰도르 치과용 의료기기 시장동향
  • 상품DB
  • 에콰도르
  • 키토무역관 임가람
  • 2025-10-14
  • 출처 : KOTRA

에콰도르 치과 장비 수입, 2025년 상반기 회복세 전환

중국산 제품 우세 속에 고부가가치 제품 수요 확대

SECA 발효로 관세 철폐 예정, 한국 기업 가격경쟁력 개선 기대

Expo Dental 2025, 한국산 3D 프린터 등 혁신 제품들 현지에서 관심

상품명 및 HS Code


에콰도르 내 치과용 의료기기는 HS 코드 9018.49이며, 하위 품목으로 버, 브러시, 치과 의자 등이 포함된다.

 

HS 코드

품목명

9018

내과용ㆍ외과용ㆍ치과용ㆍ수의과용 기기[신티그래픽(scintigraphic)식 진단기기ㆍ그 밖의 전기식 의료기기와 시력 검사기기를 포함한다]

9018.49

기타 치과용 기기 및 장치

9018.49.10.00

(burr), 디스크, 드릴, 브러시

9018.49.90.10

치과 장비 또는 이 품목에 분류 가능한 기타 치과용 기기가 통합된 치과 의자

9018.49.90.20

받침대(기반)가 있는 치과 장비

9018.49.90.90

기타

 

에콰도르 시장 동향


에콰도르에서 치과 장비는 구강 건강을 유지·증진하기 위한 필수 도구로, 공공·민간 부문 모두에서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현지에서는 구강 건강을 국민 보건의 핵심 요소로 규정하고 있으며, 정부도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이다. 


퉁구라와 경제사회관측소(Observatorio Económico y Social de Tungurahua)가 에콰도르 국세청(SRI) 자료를 기반으로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2020년 의료·치과 재료 제조업(C325, ISIC 국제 표준 산업 분류 코드 중 하나)의 에콰도르 국내 매출은 6251만4700달러에 달했다. 매출이 가장 높은 지역은 최대 상업도시 과야킬이 속한 과야스(Guayas)주, 수도 키토가 위치한 피친차(Pichincha)주, 아수아이(Azuay)주였으며, 특히 과야킬과 키토, 쿠엔카 등 주요 도시에서 성장이 두드러졌다. 과야스는 56%, 피친차는 5.2%, 아수아이는 11.6%의 시장 성장률을 기록했다.


전문 인력 현황의 경우, 국제치과 연맹(FDI)은 2019년 기준 에콰도르 내 치과의사가 인구 1만 명당 3.2명에 불과하다고 발표했다. 이는 OECD 평균(7.5명)에 비해 낮은 수준이나, 에콰도르 대학 인가 기관(CACES, Consejo de Aseguramiento de la Calidad de la Educacion Superior)에 따르면 전국 8개 주(Region)에 분포한 54개 대학 중 15개가 치과대학을 운영하고 있으며, 등록 학생 수는 약 1만 명으로 꾸준히 증가해 2015~2019년 사이 치과의사 수가 11% 늘었다.


하지만 인력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국제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점은 시장 확대 가능성을 보여준다. 특히 파스타사(Pastaza)주는 인구 1만 명당 11.9명의 치과의사를 보유하며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기록했으나, 실제로는 피친차주와 과야스주가 절대적인 전문 인력과 교육 인프라를 집중적으로 보유하고 있다.


한편 시장에서는 단순 진료 장비보다 예방적 기능을 강화한 신기술 장비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조기 진단과 병변 발견을 가능하게 하는 장비 수요가 늘고 있으며, 국제적으로는 미용 목적의 치과 시술이 시장 성장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미국 성형외과의사학회(ASPS)에 따르면, 51~64세 연령대에서 미용 치과 시술이 47% 증가하는 등 고령화와 소비 여력 확대, 구강 건강에 대한 인식 제고가 시장 확대를 견인하고 있다. 에콰도르 시장 역시 이러한 흐름을 반영하고 있다. CAD/CAM 기반의 치과 보철물 제작 장비와 3D 프린터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레이저 치료 장비도 확대되고 있다. 레이저 장비는 충치, 잇몸 질환 및 수술 시 통증 완화와 회복 기간 단축 효과로 각광받고 있다. 동시에 친환경·지속 가능성에 대한 관심도 높아져, 환경에 무해한 재료와 소모품 사용이 새로운 선택 기준으로 자리 잡는 모습이다.


최근 3년 수입 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 동향


2024년 치과용 의료기기 수입액은 824 달러로, 주요 공급국은 중국(54.3%), 미국(10.9%), 브라질(9.2%), 이스라엘(5.8%), 독일(3.6%)이다. 한국은 전체의 0.5% 수준에 머물렀지만, 전년대비 수입액이 66% 증가했다최근 3년간 전체 수입은 감소세를 보였지만, 연도별 상반기 수입액 기준으로만 비교했을 때 2025년에는 회복세가 확인된다. 특히 2024년 상반기 370만 달러 대비 2025년 상반기 476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4.9% 증가를 기록해, 에콰도르 치과 장비 수입 시장이 단순한 회복에 그치지 않고 2025년에는 성장세로 전환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9018.49 기준) >

(단위: US$, %)

순위

국가

수입액

점유율

(2024년)

증감률

('24/'23)

2022

2023

2024

-

전체

10,125,509

8,425,709

8,245,759

100.0

-2.1

1

중국

4,592,183

3,317,714

4,476,261

54.3

34.9

2

미국

1,336,842

855,480

899,170

10.9

5.1

3

브라질

999,090

554,517

755,638

9.2

36.3

4

이스라엘

718,101

369,532

474,809

5.8

28.5

5

독일

460,083

2,066,446

300,001

3.6

-85.5

6

파키스탄

509,578

314,599

240,195

2.9

-23.7

7

일본

149,130

155,419

199,282

2.4

28.2

8

스위스

297,664

116,707

189,345

2.3

62.2

9

덴마크

146,419

122,226

146,445

1.8

19.8

10

폴란드

27,353

64,850

101,289

1.2

56.2

...

15

한국

64,849

26,816

44,514

0.5

66.0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9.23]

 

2024년 기준 HS Code 9018.49의 주요 하위 품목별 수입 비중으로는 기타 치과 장비(HS Code 9018.49.90.90)54.9%로 가장 많았고, 치과용 의자(HS Code 9018.49.90.10) 34.2%, 버·디스크·드릴·브러시(HS Code 9018.49.10.00)9.7%, 거치형 치과용 장비(HS Code 9018.49.90.20)0.2%를 차지했다.

 

경쟁 동향


2024년 기준 Dep Dental Neo-Tec, Citymedical, Videntalmed 등 상위 3개사가 전체 수입액의 약 40%를 차지했다. 한국산 제품은 Dyadent, Neo-Tec 등 일부 업체가 소규모 수입 중이며, 특히 3D 프린터와 밀링 머신, CAD/CAM 장비 등과 같은 기술집약형 첨단 장비 수입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 


에콰도르 치과용 의료기기 시장은 제품 가격대별로 뚜렷한 양극화를 보이고 있다. 치과용 의자는 중국산이 주류를 형성한다. Fengdan 제품이 1500~2000달러, APPLEDENT 2000달러, Runyes 3800달러에 판매되며, 저가 시장을 주도한다. 반면 한국 오스템 임플란트(Osstem Implant) 제품은 8400달러로 중국산 대비 4배 이상 고가지만 품질과 기술력을 앞세워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기타 장비 부문에서는 오스트리아의 W&H 제품이 260~300달러, 독일 Kavo 제품이 650달러로 중가대에 포진해 있다. 중국산 APPLEDENT 제품은 112~245달러로 저가형을 공략하는 한편, 미국 SprintRay 3D 프린터(1만 1270달러)와 중국 Shining 3D(8750달러)는 고가 장비 군에 속한다. 소모품 역시 중국산 APPLEDENT가 개당 2달러로 저가를 형성하는 반면, 스위스 Edenta 제품은 1~12달러로 품질을 내세운 가격대를 유지하고 있다.

 

<에콰도르 내 유통되는 주요 치과용 의료기기 현황>

(단위: US$)

브랜드명

제조국

가격

 

사진

치과용 의자

Fengdan

중국

1,500~2,000

UNIDAD.png

Edge, Osstem Implant

한국

8,400

https://citymedical.ec/wp-content/uploads/2024/12/f05.jpg

 

APPLEDENT

중국

2,000

Unidad Dental AppleDent A001

Runyes

중국

3,800

https://citymedical.ec/wp-content/uploads/2024/12/f04.jpg

기타 치과장비

W&Hm, Kit Alegra W&H

오스트리아

260~300

Kit Alegra W&H

 

Micromotor + Contrangulo Push Botton Appledent

중국

112

 

Micromotor + Contrangulo Push Botton Appledent

Kit Académico Kavo

독일

650

Kit Académico Kavo NS Saca Fresa 505

APPLEDENT, TUPCOLORB2

 

중국

132

https://static.wixstatic.com/media/bd39cb_b140a78dcb594055b879c399cebf5c7f~mv2.png/v1/fill/w_108,h_102,al_c,q_85,usm_0.66_1.00_0.01,enc_avif,quality_auto/bd39cb_b140a78dcb594055b879c399cebf5c7f~mv2.png

BD, Succion Alta Electrica 9a-26D X 2 2500Ml

중국

245

Succion Alta Electrica 9a-26D X 2 2500Ml

SprintRay Pro Desktop 3D

미국

11,270

https://www.prodentec.com.ec/wp-content/uploads/2017/09/SprintRay-Pro-Desktop-3D-iMPRESORA.jpg

Shining 3D, AccuFab-D1

중국

8,750

(burs), 연마 휠(stones/wheels) 등

APPLEDENT, TUPCOLORB2

 

중국

2

https://static.wixstatic.com/media/bd39cb_b140a78dcb594055b879c399cebf5c7f~mv2.png/v1/fill/w_108,h_102,al_c,q_85,usm_0.66_1.00_0.01,enc_avif,quality_auto/bd39cb_b140a78dcb594055b879c399cebf5c7f~mv2.png

Edenta

스위스

1~12

[자료: 각 제품 취급업체 홈페이지]

 

유통구조


유통구조는 제품군에 따라 차이가 뚜렷하다. 치과용 의자, 소독기, 3D 프린터 등 대형 장비는 주로 전문 수입·유통 업체를 통해 공급되며, 공공병원 또한 직접 수입보다는 현지 유통 업체를 통해 조달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버·브러시·연마재 등 소형 소모품은 온라인 플랫폼(Temu, Alibaba, Amazon 등)을 통한 직접 구매도 활발하다. 또한 현지 생산업체가 일부 소모품을 제조·공급하며, 병원과 치과 클리닉이 유통 업체를 통해 정기적으로 제품을 조달하는 구조가 일반적이다.


관세율 및 인증


HS 코드 9018.49.10.00(버, 디스크, 드릴, 브러시), 9018.49.90.20(받침대가 있는 치과 장비), 9018.49.90.90(기타)에 해당하는 제품의 수입 관세는 5%이며, 9018.49.90.10(치과 의자)의 경우 10%이다. 4개 품목 모두 아동 발전 기금으로 0.5%, 부가가치세로 15%가 부과된다. 2026년 상반기로 예상되는 한-에콰도르 SECA 정식 발효 시 상기 언급된 품목 모두 5~10년 내 관세 철폐가 예정돼 있어 가격경쟁력 개선이 기대된다.


<에콰도르 치과용 기기 수입 관세율 정보>

(단위: %)

HS코드

관세

(Ad Valorem)

SECA 발효 시 철폐 일정

부가가치세

(IVA)

아동발전기금

(FODINFA)

9018.49.10.00

5

연간 1% 5년 내 단계적 철폐

15

 

0.5

 

9018.49.90.10

10

연간 2% 5년 내 단계적 철폐

9018.49.90.20

5

연간 0.5% 10년 내 단계적 철폐

9018.49.90.90

5

연간 0.5% 5년 내 단계적 철폐

[자료: 에콰도르 관세청]


에콰도르 식약처(ARCSA)의 위생 등록이 필요하며, 등록 비용은 약 904.34달러이고 유효기간은 5년이다. 등록 소요 기간은 평균 3~4개월 정도이며, 제품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에콰도르 치과기자재 전시회 참관 리뷰


매년 9월 키토에서 개최되는 Expo Dental은 신제품 홍보 및 바이어 네트워킹의 주요 기회가 될 수 있다. 에콰도르 최대 규모의 치과 전문 전시회인 ‘Expo Dental 2025’가 9월 5일부터 7일까지 3일간 키토 메트로폴리탄 컨벤션 센터(CCMQ)에서 개최됐다. 올해 행사에는 약 80개사가 참가했고, 방문객은 4500명에 달했다. 전시 품목은 치과 장비와 소모품, 구강 건강 관련 제품과 함께 전문 컨퍼런스를 아우르며 다채롭게 구성됐다.

 

<Expo Dental 2025 전시회 개요>

행사명

Expo Dental 2025

개최기간

2025.9.5(금)~9.7(일), 11:00~19:00, 3일간

로고이미지

https://expo-dental.com/wp-content/uploads/2024/11/LOGO-OFICIAL-EXPO-DENTAL-2025-300x155.png

장소

Centro de Convenciones Metropolitano de Quito(CCMQ), 에콰도르 키토

개최주기

매년 1(9월경)

주최

CIODEC(Circulo de Odontologos del Ecuador)

참가 규모

80개 전시 기업 및 4,500명 이상의 참관객

전시품목

치과용 기기,장치, 구강 용품 등

웹사이트

https://expo-dental.com/

[자료:  Expo Dental공식 웹사이트]

 

이번 전시회는 치과 장비·소모품 공급업체와 치과 전문의, 클리닉 및 병원을 연결하는 비즈니스 장으로 자리매김했다. 참가업체는 교육·훈련, 유통·소모품, 실험실·의약품, 유니폼, 서비스 및 액세서리, 장비 및 기술 등 6개 분야로 구분됐으며, 대다수가 에콰도르 현지 기업이었다. 이들은 자체 소모품을 생산하거나 중국, 브라질, 스웨덴, 일본, 한국 등지에서 제품을 수입해 유통하고 있다. 치과용 의자는 전시회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제품이었다. 중국산 제품(Appledent, Roson 등)은 MQ Dental, Citymedical, Krobalto 등 현지 유통 업체를 통해 들여와 판매되고 있으며, 일부는 700달러대의 저가 제품도 소개됐다. 이러한 가격 경쟁력은 중국산 제품의 시장 우위를 뒷받침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반면, 한국·일본·유럽산 의자는 5000~8000달러 수준으로 고가이나 품질과 기술력을 앞세워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다.


소모품 분야에서는 버(burs), 나사, 브러시 등 비화학 제품의 경우 가격 경쟁력이 높은 브라질과 중국산이 주류를 형성하고 있으며, 온라인 플랫폼(Temu, Alibaba 등)을 통한 구매도 확대되고 있다. 반면, 레진 등 화학 제품은 일본·한국산 수입이 증가하는 추세다. MQ Medical은 최근 한국산 레진을 수입하기 위해 에콰도르 식약처의 위생 등록 절차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첨단 기술 제품도 관심을 모았다. Dyadent, Neo Tec 등 현지 업체는 한국산 3D 프린터와 밀링머신을 소개했으며, HASS, DGShape, Spiden과 같은 브랜드 제품이 전시됐다. 특히 맞춤형 보철 제작에 활용되는 3D 프린터, AI 기반 스캐너, 레이저 장비 등이 혁신 제품으로 평가받았다.


전시회에 참여한 CAD CAM LATAM의 사무엘 로케(Samuel Roque) 대표는 KOTRA 키토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에콰도르에서는 스캐너와 밀링머신 등 첨단 장비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확대되고 있으며, 한국산 제품은 단순한 가격 경쟁력이 아닌 품질과 기술 혁신 측면에서 높은 신뢰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 기업의 강점으로 안정적인 품질 관리, 철저한 납기 준수, 그리고 기업 간 긴밀한 협업 네트워크를 꼽았다. 다만, 현지 인증기관인 에콰도르 식약처(ARCSA)의 까다로운 위생 등록 절차는 여전히 시장 진입의 주요 애로사항으로 남아있다.


<Expo Dental 2025현장 풍경>

[자료: KOTRA 키토 무역관 촬영]

 

시사점


치과용 의료기기의 경우 중국산 제품이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에콰도르 시장을 장악하고 있으나, 최근 첨단 기술·프리미엄 제품 수요가 점차 확대되고 있어 한국 기업의 진출 여지가 있다. 현지 전문가들은 향후 에콰도르 시장에서 레진 등 치과용 화학 소재와 3D 프린팅, 밀링머신, AI 기반 진단 장비 등 고부가가치 분야가 유망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특히 2026년 상반기로 예상되는 SECA 발효를 계기로 한국산 제품의 경쟁력이 한층 강화될 전망이므로, 우리기업은 조기 진출 전략 수립 및 인증·유통 파트너 확보가 필요하다.

 


자료: Sicex, Human rights watch, 현지 일간지(El Comercio, El Universo, Primicias, El Telegrafo, La Hora), CAD CAM LATAM사 대표 인터뷰 자료, KOTRA 키토 무역관 자료 종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에콰도르 치과용 의료기기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