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2025년 싱가포르 프랜차이징 및 라이선싱 전시회 (Franchising & Licensing Asia 2025) 현장방문기
  • 현장·인터뷰
  • 싱가포르
  • 싱가포르무역관 김현민
  • 2025-10-13
  • 출처 : KOTRA

아시아 최대 프랜차이즈 라이선스 비즈니스 플랫폼

KOTRA 단독 홍보관 성공리 운영

2025년 9월 18일부터 20일까지 싱가포르 마리나베이샌즈 (Marina Bay Sands, Expo & Convention Centre)전시장에서 개최된 Franchise & License Asia 2025 (FLAsia) 전시회는 아시아를 대표하는 프랜차이즈 및 라이선스 전문 전시회로, 글로벌 브랜드와 투자자, 마스터 프랜차이즈 파트너가 한 자리에 모여 비즈니스 기회를 발굴하는 장이었다. 특히 F&B, 리테일, 교육, 헬스&웰니스, 서비스 업종 등 다양한 분야의 프랜차이즈 브랜드가 참가하여 최신 시장 트렌드와 협업 기회를 한자리에서 확인해 볼 수 있었다.

 

<2025년 싱가포르 프랜차이징 및 라이센싱 전시회 (FLAsia 2025) 개요>

전시회명

 

전시 분야

 

문화콘텐츠&미디어, 식품&음료 및 기타 프랜차이징 전반

개최 기간

 

2025. 09. 18(목) ~ 09. 20(토) (3일간)

개최 장소

 

Marina Bay Sands Expo & Convention Centre, Hall A&B

개최 주기

 

매년

개최 연혁

 

2006년 최초개최, 2025년 20회 개최

참가업체 수

 

250여개 브랜드, 106개사

참관객 수

 

50여개국, 4500여명

주최

 

Constellar Exhibitions Pte.Ltd. & Franchising & Licensing Association

홈페이지


https://www.franchiselicenseasia.com/

[자료: FLAsia 2025 공식사이트]


전시회 개요

 

FLAsia 전시회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프랜차이즈 및 라이선스 전문 전시회로, 매년 싱가포르에서 개최되며, 글로벌 브랜드·투자자·파트너를 연결하는 아시아 대표 비즈니스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해 왔다. 올해 전시회에는 106개사, 250개 이상의 브랜드가 참가했으며, 2개의 국가관 (한국, 싱가포르) 및 호주, 인도, 일본, 말레이시아, 뉴질랜드, 러시아, 스리랑카, 대만, 태국, 영국, 미국, 베트남 등 다수의 국가가 참여했다. 행사 기간 동안 4500명 이상의 참관객이 전시장에 방문해 네트워킹과 상담을 진행했고, 지식 플랫폼(FLAsia Knowledge Arena)에는 500여 명의 업계 관계자가 참석해 30여 명의 글로벌 전문가로부터 기술, 회복탄력성, 브랜드 성장, 프랜차이즈 및 라이선스의 미래에 관한 인사이트를 공유받았다.

 

올해 전시회의 가장 큰 특징은 참가 기업의 60%가 첫 참가였다는 점이다. 이들은 신선한 콘셉트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선보이며 현장 분위기를 한층 활기 있게 만들었다. 특히 올해는 브랜드 라이선싱이 주요 화제로 떠오르며, 독창적인 IP를 기반으로 한 파트너십과 협업 사례가 큰 주목을 받았다.

 

<전시회 전경>


[자료: KOTRA 싱가포르무역관 직접 촬영]

 

“아시아 프랜차이즈, 라이선스 산업 성장 지원” 위한 싱가포르 정부의 전략 제시


이번 전시회와 함께 개최된 FLAsia 2025 개막식에서는 Gan Siow Huang 싱가포르 외교부 및 무역산업부 국무장관(Minister of State for Foreign Affairs and Trade & Industry)이 개막 연설을 통해 프랜차이즈와 라이선스 산업이 아시아 전역에서 중소기업 성장과 혁신적 비즈니스 모델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특히, 지식재산(IP) 보호와 상업화를 통해 새로운 성장 기회를 창출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싱가포르가 프랜차이즈·라이선스 허브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지원과 제도적 기반을 강화할 것임을 밝혔다.


개막식에서는 FLAsia Awards 2025 시상식이 함께 진행돼, 혁신성, 회복탄력성, 지속 가능한 성장 전략을 구현하고 있는 여러 기업이 조명됐으며, 이를 축하하기 위해 KC Group, Anyime Fitness, Mount Faber Leisure Group 등 다수의 기업이 FLAsia Awards 2025에 수상을 했다.


<Gan Siow Huang싱가포르 외교부 및 무역산업부 국무장관 개막식 연설>

[자료: FLAsia 공식 홈페이지 제공] 

 

Gan Siow Huang은 개막식 무대에서 싱가포르 중소기업협회(ASME)와 FLA Singapore간의 MOU 체결 또한 증인으로서 참석했으며, 이를 통해 더 많은 기업이 프랜차이즈 모델을 통해 해외 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평가된다. 또한 최근 개최된 IP Week 기간 중, 싱가포르 지식재산청(IPOS)과 FLA Singapore간의 MOU 체결을 언급하며 이를 통해 더욱 강화된 지식재산권 보호와 함께 FLA의 네트워크를 활용해 기업들이 해외 시장에서의 확장 기회를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을 보였다.

 

< Gan Siow Huang싱가포르 외교부 및 무역산업부 국무장관, ASME와 FLA Singapore 간의 MOU 증인 참석 >

[자료: FLAsia 공식 홈페이지 제공] 

 

프랜차이즈 업계,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확장성 있는 비즈니스 모델과 혁신적 실행 방안에 대한 컨퍼런스 개최


FLAsia 2025에서는 글로벌 프랜차이즈 및 라이선스 기업들이 모여 표제와 같은 컨퍼런스 세션을 통해 위기 상황에서도 지속 가능한 성장을 달성할 수 있는 전략을 논의했다. 본 세션은 크게 두 가지 축을 중심으로 진행됐으며, 1) 확장 가능한 비즈니스 포맷 구축 전략과 2) 혁신적 운영 모델을 통한 지속 성장 방안이라는 주제를 다뤘다.


패널 연사들은 프랜차이즈 산업이 경기 변동성과 소비자 트렌드 변화 속에서도 어떻게 사업을 안정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특히, 디지털 전환을 통한 운영 자동화, 데이터 기반 고객 관리, ESG 경영을 접목한 프랜차이즈 모델 사례가 소개되었다. 예를 들어, 일부 글로벌 브랜드는 표준화된 매뉴얼과 모듈형 매장 설계를 통해 해외 시장 진출 시 초기 투자 비용을 절감하고 빠른 확장을 가능케 했으며, 또 다른 브랜드는 AI 기반 수요 예측과 공급망 최적화를 도입하여 위기 상황에서도 효율적 운영을 유지하는 방안을 강조했다.

또한 아시아 지역 프랜차이즈 기업들은 “탄력적인 성장”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단순히 매출 확대를 넘어 소비자와의 장기적 신뢰 구축과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통한 지속 가능성을 핵심 전략으로 제시했다. 패널들은 이러한 접근이 향후 프랜차이즈 산업이 단순한 사업 확장에서 벗어나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글로벌 성장 모델로 진화하는 데 기여할 것임을 강조했다.


본 세션에는 Ryan’s Grocery의 Wendy Foo 대표이사, KC Group의 Brian Ng 이사 등이 패널로 참석해 실무적 통찰을 제공했다. 이들은 프랜차이즈 업계가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기 위해 1) 유연한 사업 포맷, 2) 혁신적 기술 도입, 3) 지속 가능한 파트너십 구축이 필수적이라는 방향성을 제시했다.


<컨퍼런스 전경> 

[자료: KOTRA 싱가포르무역관 직접 촬영] 


한국관 개요

 

올해 한국관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AT)와 농림축산식품부 (MAFRA)가 주관해 마련됐으며, 총 6개의 국내기업이 부스에 참가했다. 총 72sqm 면적으로 부스를 구성했으며, 전시품목으로는 한식 프랜차이즈 (바베큐및 간편식 중심), 프랜차이즈 개발 및 브랜드 운영, 한중식 면 요리 프랜차이즈 사업, 프라이드 등 다양한 프랜차이즈가 소개됐다. 현장에서는 현지 바이어뿐 아니라 해외 바이어들의 눈길도 끌었다.


<한국관 전경>

  

[자료: KOTRA 싱가포르무역관 직접 촬영]

 

KOTRA 홍보부스 개요

 

본 전시회에는 KOTRA 주관의 별도 한국관이 운영되지는 않았지만 KOTRA 싱가포르 무역관 자체적으로 프랜차이즈 서비스 기업 3곳, 현지수출에 관심을 가지는 5개 기업을 대상으로 각 기업들의 품목 전시 및 홍보를 위한 KOTRA 홍보부스를 운영하였다.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은 부스였지만 현장에서는 많은 바이어들의 이목을 끌었다. 특히 현지의 대형 커피 체인 브랜드인 H사에서도 현장 방문하여 홍보관에 전시되어 있는 1개의 기업에 큰 관심을 보이기도 하였으며, 항상 한국 브랜드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현지에서는 볼 수 없는 참신한 제품을 개발하고 생산하는게 한국 브랜드의 큰 장점인 것 같다는 의견과 함께 테스트 오더에 대한 미팅을 요청 하는 등 좋은 성과를 이뤘다. 또 다른 홍보관 방문 바이어 D사의 담당자에 의하면 소비재, 특히 F&B의 경우 트렌드가 빠르게 변화하며 최근에는 K콘텐츠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의견과 함께 더 많은 해외바이어들이 한국 브랜드에 관심을 보일 것이다라는 의견을 밝혔다. 이후 홍보관에 전시 된 제품에도 관심을 가지며 적극성을 보였다.


또한 서비스 3개 기업은 참관단으로 현장을 방문했으며, KOTRA 싱가포르무역관은 이들을 위해 사전에 기업 정보를 바탕으로 현지 바이어 미팅을 주선하고 다양한 지원을 제공했다. 이를 통해 전시회 기간 동안 부스에서는 단순 홍보를 넘어 실제 비즈니스 협의와 테스트 오더 논의로 이어지는 등 더욱 활발하고 유의미한 상담이 이뤄질 수 있었다.

 

<KOTRA 홍보부스 전경>

[자료: KOTRA 싱가포르무역관 직접 촬영]

 

시사점 및 전망


이번 전시회는 프랜차이즈와 라이선스 산업이 단순한 소매·외식업 중심에서 벗어나, 지식재산(IP) 기반 브랜드 확장, 디지털 전환, ESG·회복탄력성 중심의 지속 가능한 성장 산업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음을 잘 보여주었다. 특히, FLAsia Awards 2025를 통해 지역 대표 브랜드들의 혁신성과 성장이 조명됐으며, 글로벌 기업 및 신규 진입 브랜드들이 함께 참여해 시장 다변화와 산업 고도화를 뚜렷하게 드러냈다. 또한 싱가포르 정부는 Gan Siow Huang 국무장관 연설을 통해 프랜차이즈·라이선스 산업을 아시아 중소기업 성장의 핵심 축으로 삼겠다는 정책 방향을 제시했고, IPOS–FLA MOU 체결을 통해 지식재산 보호·상업화 기반을 강화하며 제도적 토대를 마련했다.


싱가포르를 중심으로 한 동남아 지역은 한류 콘텐츠 확산 등에 힘입어 F&B, 뷰티·헬스케어, 교육, 라이프스타일 분야 프랜차이즈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국내 기업들은 차별화된 브랜드 스토리텔링, 디지털 운영 효율화, IP 기반 라이선스 전략을 강화하고, FLAsia와 같은 국제 전시회에 적극 참가하여 글로벌 파트너 및 투자자를 발굴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KOTRA 및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맞춤형 바이어 발굴, 현지 시장 진출 전략 지원, 그리고 IP 보호·활용 관련 제도적 자문을 함께 제공받는 것이 해외 진출의 주요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전시회인 FLAsia 2026은 2026년 9월 싱가포르에서 개최될 예정이며, 브랜드 라이선싱 확대, 지속가능 경영, 디지털 혁신 기반의 프랜차이즈 모델이 주요 논의 주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 FLAsia 공식 웹사이트, PR Newsire 공식 웹사이트, MTI 공식 웹사이트, MFA 공식 웹사이트, KOTRA 싱가포르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5년 싱가포르 프랜차이징 및 라이선싱 전시회 (Franchising & Licensing Asia 2025) 현장방문기)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