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트남 정수기 시장 동향
- 상품DB
- 베트남
- 호치민무역관 박지원
- 2025-10-13
- 출처 : KOTRA
-
베트남 정수기 시장, 도시화와 수질 오염에 대한 경각심으로 꾸준한 성장
한국 기업, FTA 활용 및 현지화 제품, A/S 네트워크 구축으로 차별화 전략 필요
상품명 및 HS Code
<상품명 및 HS Code>
HS 코드
품명
8421
원심분리기(원심탈수기를 포함한다), 액체용이나 기체용 여과기나 청정기
8421.21
물의 여과용이나 청정용(정수기)
[자료: KOTRA 호치민무역관 종합]
시장동향
베트남 정수기 시장은 베트남 국민의 생활 수준 향상과 함께 안전한 식수 확보에 대한 수요가 커지면서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1억 명이 넘는 인구 가운데 젊은 세대 비중이 크고 도시화 속도가 빠른 점은 시장 성장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여기에 산업 및 농업 폐수 등으로 인한 수자원 오염으로 공공 수돗물에 대한 신뢰가 낮은 상황은 정수기 보급 확대를 촉진하는 핵심 배경이 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Fortune Business Insights에 따르면, 베트남 정수기 시장 규모는 2023년 4억7390만 달러, 2024년 5억232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향후에도 연평균 약 11% 내외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2032년에는 시장 규모가 약 11억 7,92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베트남 정수기 시장규모 및 전망>
(단위: US$백만)

주1: 2032년의 값은 전망치
[자료: Fortune Business Insights]
베트남 정수기 시장 성장 배경
메콩강이 흐르고 연간 강수량도 풍부한 베트남은 의외로 ‘물 부족 국가’로 분류된다. 국제수자원협회(IWRA)는 1인당 연간 물 사용 가능량이 4000㎥ 이하일 경우 물 부족 국가로 보는데, 베트남은 3840㎥ 수준에 불과하다. 풍부한 수자원을 보유하고도 물 부족 국가가 된 배경에는 기후변화, 상류 댐 건설, 해수면 상승과 함께 심각한 수질 오염이 큰 원인으로 지적된다.
베트남 환경총국(VEA)에 따르면 산업단지의 3곳 중 1곳은 여전히 폐수처리 시설이 없거나 정상적으로 가동되지 않고 있다. 세계은행(World Bank)은 베트남 도시에서 발생하는 생활하수의 70% 이상이 정화되지 않은 채 하천과 강으로 유입된다고 지적한다. 메콩 델타 지역에서는 농약과 화학비료가 빗물과 함께 흘러들어가 질소, 인산염 수치가 기준치를 초과하고 있으며, 수질 오염은 갈수록 심화되는 추세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안전한 식수 확보에 대한 국민적 수요는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베트남 보건 당국에 따르면 콜레라와 장티푸스 등 수인성 감염병이 전체 질병의 약 80%를 차지할 만큼 심각한 상황이다. 결국 산업과 농업 전반에 누적된 수질 오염, 정수 능력에 대한 우려와 경각심이 베트남 가정 내 정수기 시장 성장을 이끄는 주요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베트남의 정수기 수입은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며 2022년 1억3958만 달러에서 2024년 1억5422만 달러로 증가했다. 주요 수입국 중 중국은 2024년 7280만 달러를 기록하며 전체 수입의 47.2%를 차치해 압도적 1위를 유지했다. 이는 가격 경쟁력이 뛰어난 중국산 정수기의 대량 수입이 지속된 결과로 분석된다. 일본은 2463만 달러(비중 16.0%)로 수입국 2위를 차지하며, 고품질 제품 수요를 기반으로 안정적인 점유율을 유지했다.
한국산 정수기는 2022년과 2023년까지 각 2406만 달러와 3536만 달러로 베트남의 수입국 2위를 기록했으나 2024년 기준 1594만 달러로 감소하며 수입국 3위를 기록했다. 이는 중국과 일본산 정수기 대비 가격경쟁력이 떨어지는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베트남의 정수기 시장은 가격 대비 성능을 중시하는 대다수의 소비자층과 프리미엄 제품을 찾는 중산층 이상의 수요가 양분되어 있기에 한국 기업들에게는 가격경쟁력 향상과 제품의 차별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베트남이 정수기 수입국 순위에서 5위를 기록한 것은 내국수출입제도를 활용한 결과로 판단된다. 내국수출입제도는 베트남 내에서 생산 공정을 거치더라도, 수출용 원재료에 대해 내국수출입신고를 통해 면세(보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
<최근 3년간 베트남의 정수기(HS Code 8421.21 기준) 수입동향>
(단위: US$천, %)
순위
지역명
수입액
비중
2024년
증감률
2022
2023
2024
2024
총계
139,584
148,608
154,227
100
3.8
1
중국
51,053
53,651
72,808
47.2
35.7
2
일본
21,381
25,069
24,635
16.0
-1.7
3
한국
24,064
35,360
15,947
10.3
-54.9
4
미국
10,726
4,967
8,061
5.2
62.3
5
베트남
9,307
3,572
7,465
4.8
109.0
6
인도
1,469
693
7,056
4.6
918.2
7
말레이시아
1,561
1,526
3,996
2.6
161.9
8
독일
1,111
5,739
2,551
1.6
-55.5
9
이탈리아
3,248
8,458
2,175
1.4
-74.3
10
대만
3,993
1,270
1,727
1.1
36.0
기타
11,671
8,303
7,806
5.1
-6.0
[자료: IHS Markit Connect Global Trade Atlas, 2025.8.25.]
주요 브랜드
베트남 정수기 시장은 현지 강자와 글로벌 브랜드가 공존하는 구조를 보인다.
캉가루(Kangaroo)와 카로피(Karofi)는 베트남을 대표하는 로컬 브랜드로 직수형, 싱크대 하부 설치형 등 대중적인 제품군을 중심으로 높은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다. 두 기업은 합리적인 가격, 촘촘한 유통망, 현지 소비자 맞춤형 제품 전략을 통해 시장 지배력을 공고히 하고 있다.글로벌 브랜드도 다양하게 진출해 각기 다른 수요층을 공략하고 있다. 샤오미는 가격 경쟁력과 간편성을 앞세운 소형 디자인의 제품으로 젊은 세대를 겨냥하고 있다. 파나소닉은 피처형, 알칼리 이온수기, RO(역삼투압) 필터 일체형 등 고품질, 프리미엄 제품군을 통해 내구성과 안정성을 중시하는 소비층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한국 기업인 코웨이, 서울아쿠아 등은 냉온정수 디스펜서 및 싱크대 하부 설치형 제품을 중심으로 프리미엄 시장에 주력하고 있다. 세련된 디자인과 사용 편의성을 강조하며, 가정뿐 아니라 사무실 등 상업용으로 활용 범위를 넓혀 브랜드 경쟁력을 강화하는 추세다.
<베트남 정수기 주요 기업>
기업명
국가
브랜드 로고
대표상품
캥거루(Kangaroo)
베트남


카로피
(Karofi)
베트남


샤오미(Xiaomi)
중국


파나소닉(Panasonic)
일본


코웨이(Coway)
한국


서울아쿠아(Seoul Aqua)
한국


[자료: 각 기업 홈페이지, KOTRA 호치민 무역관]
유통구조
시장조사기관 Kantar에 따르면, 베트남 정수기는 주로 오프라인 대형 전자제품 매장과 전문 대리점, 일반 소매점을 중심으로 판매된다. 이는 설치, 보증, 필터 교체 등의 사후 서비스가 중요한 제품 특성상 소비자들이 매장에서 상담을 받고 직접 체험하려는 성향이 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형 전자제품 매장은 여전히 정수기 판매의 핵심 유통망으로 자리잡고 있다.
한편, Statista에 따르면 도시 지역일수록 전자제품 전문 매장을 통한 판매 비중이 높다. 도시 소비자들은 브랜드 인지도와 사후 서비스 접근성을 구매 결정의 핵심 요인으로 고려하는 경향이 크기 때문이다. 반면 농촌 지역에서는 대형 전문 매장이 부족해 슈퍼마켓이나 일반 소매점, 로컬 전자제품 매장을 통한 구매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가격 경쟁력과 생활 편의성을 우선시하는 소비 성향과 맞닿아 있으며, 로컬 유통망의 영향력이 강하게 작용하는 배경으로 분석된다.
<베트남 주요 전자제품 판매 매장>


[자료: 각 기업 홈페이지]
관세율
HS Code 8421.21에 해당하는 정수기의 일반 수입세율은 7.5%이다. 그러나 ‘한-아세안 FTA(AKFTA)’나 ‘한-베트남 FTA(VKFTA)’를 활용할 경우, 해당 제품이 FTA 원산지 기준을 충족하면 관세율 0%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때 수출자는 원산지 증명서를 제출해야 하며, 이를 통해 일반세율 대비 관세 부담을 줄일 수 있다.
<HS Code 8421.21류 베트남 수입 관세율>
(단위: %)
HS Code
품목명
일반 수입세율
AK FTA
(한-아세안)
VK FTA
(한-베)
8421
원심분리기(원심탈수기를 포함한다), 액체용이나 기체용 여과기나 청정기
8421.21
물의 여과용이나 청정용
8421.2111
가정용 여과기 및 장비
7.5
0
0
8421.2119
기타
7.5
0
0
8421.2122
전기로 작동
7.5
0
0
8421.2123
전기로 작동하지 않음
7.5
0
0
[자료: 베트남 관세청]
인증
정수기는 생활용품이자 위생 관리 제품으로 분류되며, 베트남에서 생산, 수입 및 유통될 경우 국가 차원의 품질 기준과 세무·관세 관련 규정을 함께 준수해야 한다. 관련 기업은 수입 시 특혜관세 적용 여부, 유통 과정에서의 부가가치세, 그리고 가정용 정수기에 대한 국가 품질 기준을 면밀히 확인해야 한다.
<베트남 정수기류 관련 주요 법률 규정>
ㅇ 주요 시행령 및 시행규칙
시행령 Decree no.149 / 2017 / NĐ-CP: VKFTA 특별 우대 관세 안내
시행령 Decree no. 157/2017/ND-CP: AKFTA 특별 수입세 관련 안내
시행령 Decree no. 57/2020/ND-CP: 특혜 관세 관련 안내
시행규칙 Circular no. 83/2014/TT-BTC: 부가가치세 관련 안내
ㅇ 관련 시형령 및 시행규칙
국가기준 TCVN 11978:2017: 가정용 정수기에 대한 국가 기준에 대한 안내
공문 5873/TCHQ-TXNK: 정수기 및 이온수 생성 장치의 수출입 분류에 관한 관세청 지침
공문 68845/CT-TTHT: 하노이 세무국의 정수기 구성품 설치 후 재판매 시 청구서 발행 절차 관련 안내
[자료: 베트남 법령포털]
시사점
베트남 정수기 시장은 도시화, 수질 오염에 대한 경각심 확대 등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동시에 가격 민감형 소비자층과 프리미엄 수요층이 뚜렷하게 양분된 시장이다. 중국은 가격 경쟁력으로, 일본은 품질과 내구성으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는 반면, 한국산 제품은 디자인과 기능성에서 강점을 가지면서도 가격 경쟁에서 밀려 점유율이 하락하는 상황이다. 이는 제품 성능만으로는 시장에서 차별화하기 어렵다는 점을 보여주며, FTA 활용을 통한 수입관세 절감, 현지화된 모델 개발, A/S 등 서비스 가치 제고 등의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특히 베트남 소비자들은 정수기 설치 및 보증, 필터 교체 등 사후 서비스를 중시하며, 구매 결정 과정에서 유통 채널의 영향력이 크다. 대도시에서는 대형 전자제품 매장이, 농촌에서는 슈퍼마켓과 로컬 매장이 주요 판매 채널로 기능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 기업이 시장에 진출하려면 현지 유력 유통망과의 협력이 필수이며, 동시에 농촌 인구를 겨냥한 저가 보급형 제품과 중산층, 도시 소비자를 겨냥한 프리미엄 제품을 병행하는 이중 전략이 필요하다. 베트남의 수질 특성과 소비자 생활 패턴에 맞춘 현지형 제품군을 개발하고, 설치와 A/S 네트워크를 적극적으로 구축하는 기업이 베트남 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자료: Fortune Business Insights, Planet03「베트남은 왜 물부족 국가가 되었나」, Asean Daily New, 베트남 관세청, IHS Markit Connect Global Trade Atlas, Kantar, Statista, 베트남 법령포털, 각 기업 홈페이지, KOTRA 호치민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베트남 정수기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TWS·웨어러블의 확산이 이끄는 아르헨티나 전자기기 시장
아르헨티나 2025-10-14
-
2
AI 기술이 한 자리에, ‘중국 국제 소비전자 박람회’ 참관기
중국 2025-10-13
-
3
"남는 전기, 안 버리고 팔아요" TAGA 사례로 본 일본의 잉여전력 거래제도
일본 2025-10-13
-
4
산둥성을 중심으로 알아보는 중국의 콜드체인 산업
중국 2025-09-15
-
5
창의성과 효율을 동시에, AIGC가 바꾸는 중국 광고의 미래
중국 2025-10-02
-
6
베트남 폴리에틸렌 시장동향
베트남 2025-10-14
-
1
2025년 베트남 철강 산업 정보
베트남 2025-07-07
-
2
2025년 베트남 전자산업 정보
베트남 2025-05-13
-
3
2025년 베트남 섬유의류 산업 정보
베트남 2025-04-11
-
4
2025년 베트남 자동차산업 정보
베트남 2025-04-02
-
5
2024년 베트남 전력 및 에너지 산업 정보
베트남 2024-12-10
-
6
2024 베트남 건설산업 정보
베트남 2024-11-06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