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전통농업에서 가공산업으로, 미얀마 식품시장 변화의 흐름
  • 트렌드
  • 미얀마
  • 양곤무역관 KayThwe Oo
  • 2025-10-13
  • 출처 : KOTRA

종교, 기후, 농업이 만들어낸 미얀마의 독특한 식품 소비문화

전통 시장에서 현대 유통망의 이중적 구조로 발전하고 있는 유통시장

식품 산업을 전략산업으로 육성하는 Agro-based Product 중심의 현지화 전략 추진

미얀마 식품산업 특성 : 종교, 기후, 농업이 빚은 독특한 식품 소비문화

 

미얀마의 식품 산업과 소비 트렌드는 종교·문화적 요인, 기후 환경, 농업 중심의 구조적 특성에 따라 독특하게 형성되어 있다. 먼저 식습관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종교이다. 전체 인구의 약 90%가 불교 신자로서, 이들은 특정 시기나 명절에 육류를 전혀 섭취하지 않거나, ‘네 발 달린 동물의 고기를 피하는 경우가 많다. 불교 교리에 따라 소는 농업과 생계 유지에 도움을 주는 은혜로운 존재로 여겨지기 때문에, 일부 지역사회에서는 소고기 섭취를 지양하는 문화가 자리잡고 있다. 또한, 돼지고기도 종교·위생적 이유로 기피하는 소비층이 존재한다. 한편, 미얀마에는 이슬람 인구도 일정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은 할랄(Halal) 인증 제품을 중심으로 식품을 소비하고 있다. 이처럼 종교적 신념은 식품 시장에서 소비 패턴을 결정짓는 핵심 요인으로 작용한다.

 

두 번째 특징은 기후와 전력 사정이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이다. 미얀마는 고온 다습한 기후에 정전이 빈번하여 냉장 보관이 어렵다. 이러한 환경적 제약으로 인해 미얀마의 전통 요리법은 건조하거나 튀기는 조리법에 집중되어 있다. 시장이나 길거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간식 대부분이 튀김류나 즉석조리식품인 것도 이 때문이다. 기후와 전력 사정이 음식의 보관 방식과 조리 문화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세 번째는 농업 중심의 경제 구조이다. 전체 인구의 약 60%가 농업에 종사하는 미얀마는 쌀, 옥수수, 콩류, , 양파, 마늘, 캐슈너트, 다양한 과일과 채소 등을 자체적으로 풍부하게 생산하고 있다. 이 덕분에 곡물과 채소의 기본적인 자급자족 구조가 확립되어 있으며, ···옥수수 등은 주요 수출 품목으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식품 가공 기술이 부족하여 부가가치가 높은 가공식품을 여전히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유제품, 제과·제빵류, 소스, 면류, 스낵류 등은 대부분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식품 산업 매출액 동향>

(단위: US$십억)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ae4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95pixel, 세로 750pixel

[자료: Statista]

 

미얀마 식품 수입동향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미얀마는 가공식품 부문에서 높은 수입 의존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경제 개방 이후 해외 식품 수입 규모가 꾸준히 확대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은 외화 부족과 수입 관리 강화 등 정부의 규제 조치로 인해 수입 증가세가 둔화되거나 일부 품목에서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Global Trade Atlas 통계에 따르면, 2024년 미얀마의 식품 수입액은은 총 21127만 달러로 전년(25716만 달러) 대비 약 17.8% 감소했다. 주요 수입국별로 보면, 태국이 전체의 52.3%를 차지하며 11051만 달러로 가장 큰 비중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8.9% 증가한 수치로, 미얀마 식품시장에서 태국산 제품의 영향력 확대를 보여준다. 반면, 중국은 5129만 달러로 전년 대비 23.9% 감소하여 점유율이 24.3%로 축소됐고, 싱가포르는 1922만 달러로 전년 대비 61.2% 감소하며 비중이 9.1%에 그쳤다

 

그 밖의 수입국은 말레이시아(3.4%), 인도(2.2%), 인도네시아(1.5%) 등으로서 전반적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호주(2768만 달러, +306.5%), 미국(2561만 달러, +14.7%), 영국(1942만 달러, +168.2%) 등 일부 서방국가의 미얀마 수출은 뚜렷한 증가세를 보였다. 한편, 한국산 식품 수입은 188만 달러로 전년 대비 54.2% 감소해 전체 수입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0.9%로 축소됐다. 이는 환율 불안, 수입 라이센스 규제 강화, 물류비 상승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전반적으로 미얀마 식품 수입시장은 인접국인 태국에 대한 의존도가 한층 강화되는 한편, 일부 선진국 제품이 틈새시장으로 진입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미얀마 국가별 식품 수입동향>

(단위: US$천, %)

국가명

수입량

비중(%)

증감율

2023/2024

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전체

294,928

257,161

211,273

100

100

100

-17.8

태국

99,378

101,479

110,510

33.7

39.5

52.3

8.9

중국

82,334

67,419

51,289

27.9

26.2

24.3

-23.9

싱가포르

67,640

49,590

19,222

22.9

19.3

9.1

-61.2

말레이시아

8,409

8,292

7,181

2.9

3.2

3.4

-13.4

인도

7,680

5,095

4,743

2.6

2.0

2.2

-6.9

인도네시아

6,682

6,121

3,118

2.3

2.4

1.5

-49.1

호주

765

681

2,768

0.3

0.3

1.3

306.5

미국

2,270

2,233

2,561

0.8

0.9

1.2

14.7

영국

1,127

724

1,942

0.4

0.3

0.9

168.2

한국

4,485

4,121

1,888

1.5

1.6

0.9

-54.2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10.1.]

 

식품 유통채널의 변화

 

미얀마의 식품 유통 구조는 전통적인 유통망과 현대적인 유통망이 병존하는 형태로 발전해왔다. 전통 유통망의 중심에는 중개업자가 있으며, 이들은 농촌 지역에서 생산된 농산물과 식품을 도시로 운송해 도매시장이나 소매점을 통해 판매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또한 농촌과 도시 전역에 분포한 전통 시장은 여전히 식료품과 신선 농산물의 주요 거래 장소로 자리 잡고 있으며, 서민층을 중심으로 중요한 소비 채널로 기능하고 있다.

 

반면, 경제 성장과 도시화 진전에 따라 현대적인 유통채널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대표적인 대형 유통업체로는 시티마트(City Mart), 가몬프윈(Gamonpwint), 오션(Ocean)과 같은 대형 마트가 있으며, 생산자나 중개업자가 직접 이들 대형마트에 납품하는 방식이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현대식 유통망은 특히 중산층과 젊은 소비층을 중심으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고, 수입 식품의 주요 판매처로도 자리매김하고 있다.

 

수입 식품의 경우 일반적으로 전문 수입업자나 현지 식품 제조업체가 1차로 수입한 뒤, 도매상과 중간 유통업체를 거쳐 소매점으로 공급되는 구조를 보인다. 일부 대형 식품 제조업체는 재고 관리와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를 위해 직접 수입 방식을 선택하기도 한다. 이처럼 전통적 유통망이 여전히 뿌리 깊게 자리 잡은 가운데, 현대적 유통망의 비중이 빠르게 확대되며 구조적 전환이 진행 중이라고 볼 수 있다.

 

<미얀마 주요 식품 생산 및 유통 기업>

기업명

기업 소개

웹사이트

Capital Diamond Star Group

1960년도부터 소규모로 사업을 시작하였고, 현재는 밀가루를 생산하고 각종 식품, 생활소비재 등을 유통하고 있음.

https://cdsg.com.mm/about-us/

Myanmar Honey Food

- 2011년에 설립되었으며, 즉석 튀김 여러 가지 종류를 생산

https://www.myanmarhoneyfood.com/

Grand Wynn Group of Companies

1980년에 설립되었고, 각종 식품류를 생산·수입·유통하고 있음.

https://www.grandwynngroup.com/

Yathar Cho Industries Co.,Ltd

1997년에 설립되었으며, Yum Yum, Xcite 등 유명 브랜드 라면을 생산

https://yumyummyanmar.com/

Shwe Food Production Co.,Ltd

2001년에 설립되었고, 생선 튀김 과자를 중심으로 여러 가지 종류의 튀김 과자를 생산

-

[자료: 각 기업 홈페이지, KOTRA 양곤무역관 종합]

 

식품산업의 전략적 전환 : 수입 의존에서 현지 생산으로

 

미얀마 정부와 산업계는 농식품 가공, 과일·채소, 수산물, 일반 가공식품 등 식품산업의 발전과 수출 확대를 국가의 주요 전략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자국 내 식품 가공품의 품질과 시장 점유율은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가공식품의 상당 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또한 투자와 기술 수준이 전반적으로 미흡하여, 식품 제조업의 고도화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체계적인 산업 인프라 구축이 필요한 상황이다.

 

식품산업은 단순한 소비재 산업을 넘어 농업 부문의 주요 수요처이자, 포장재·가공기기·물류 등 전후방 산업과 긴밀히 연계된 핵심 산업이다. 따라서 식품산업의 성장 여부는 국가 산업 생태계 전반의 경쟁력 강화로 직결되며, 정부는 이를 경제성장을 선도할 전략산업으로 인식하고 있다.

 

현재 미얀마의 중소기업(MSMEs) 가운데 식품 제조업으로 등록된 업체는 총 2만3887개로, 이는 민간 제조업체의 약 49.6%를 차지한다. 미얀마는 이러한 산업 기반을 활용해 농업 중심의 부가가치 제품 생산을 확대하고, ‘Agro-based Product’ 생산 촉진을 국가 목표로 설정하였다. 또한 정부와 민간 부문 간의 협력을 강화하여 식품 제조와 유통의 효율성을 높이는 정책을 병행 추진 중이다.

 

한편, 미얀마는 외화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약품, 농기계 등 필수 품목을 제외한 일부 제품의 수입 라이선스 발급을 제한하고 있으며, 철강·비료 등 주요 품목에는 쿼터제를 도입해 수입량을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 기조 속에서 정부는 내수 공급 확대를 위해 현지 생산 장려에 나서고 있고, 일부 현지 기업들도 미얀마 내 식품 제조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실제로 한국의 라면과 같은 가공식품을 현지에서 생산하려는 문의가 이루어진 사례도 있어, 향후 미얀마 식품 가공산업이 내수 대체와 수출 확대를 동시에 추진하는 점진적인 산업 전환의 모습으로 보인다.

 

양곤무역관이 현지 바이어와 진행한 인터뷰에서도, 식품 및 화장품 등 일부 품목의 수입 라이선스 취득이 어려워 현지 생산으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이 감지되었다. 해당 바이어는 이미 부지를 확보하고 있으며, 한국의 라면 생산 방식을 참고해 미얀마 내 생산공장을 설립·운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시사점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미얀마 식품산업은 전통적인 농업 기반 위에서 성장해 왔으나, 최근 들어 가공식품 및 수입대체 제품에 대한 수요 확대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종교적 요인과 기후적 제약으로 인해 오랫동안 신선식품 중심의 소비구조가 유지돼 왔지만, 도시화 진전과 중산층 확대에 따라 가공식품·즉석식품·유제품 등 편의식품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다만 기술력과 자본의 한계로 국내 생산 역량은 여전히 제한적이며, 이에 따라 외국 기업에게는 생산설비 공급, 기술이전, OEM·ODM 협력 등 다양한 형태의 진출 기회가 존재한다. 특히 미얀마 정부가 ‘Agro-based Product’ 생산을 국가 전략으로 설정하고 내수 대체 산업를 적극 추진하고 있어, 농식품 가공기계, 포장기술, 식품위생 및 품질관리 분야 등에서 한국 기업의 기술적 경쟁력이 발휘될 여지가 크다.

 

한편, 외화 부족으로 인한 수입 규제 강화, 필수품 위주의 수입 라이선스 발급, 일부 품목의 쿼터제 시행 등으로 인해 현지 기업들은 수입보다 생산 확대에 중점을 두는 추세로 전환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지 바이어들은 한국식 라면, 스낵, 음료 등 대중적 가공식품의 현지 생산을 검토하고 있으며, 한국의 기술·장비·브랜드 협력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향후 한국 기업들이 현지 파트너와의 합작 투자 또는 기술 협력 방식으로 진출을 추진할 경우, 중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시장 점유와 브랜드 인지도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 Statista, Global Trade Atlas, Global News Light of Myanmar 언론, KOTRA 양곤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전통농업에서 가공산업으로, 미얀마 식품시장 변화의 흐름)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