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글라데시 신규 경제특구(EZ) 개발 노력, 한국 기업의 투자 확대로 이어질까?
- 투자진출
- 방글라데시
- 다카무역관 이성훈
- 2025-10-15
- 출처 : KOTRA
-
산업단지공단(BEZA) 3개 핵심 경제특구(EZ) 선정 및 5년 내 NSEZ 준공 계획
방 BEZA(산업단지공단) 경제특구 종합계획 발표
방글라데시 정부는 FY 2025-26 수출입 정책을 통해 FY 2027년까지 1,100억 달러 수출 목표를 발표했다. 또한 기존 천연섬유 중심의 RMG(기성복) 제조 산업을 인조섬유(MMF)와 가죽 및 신발 품목으로 고도화하고자 노력 중이다. 이를 위해 외국인 투자유치 확대가 필수적이나 전기, 가스 등이 안정적으로 공급 가능한 부지가 부족한 상황이다.
방글라데시 BEZA(산업단지공단)은 2041년까지 100개의 산업단지(경제특구) 설립 목표를 발표했다. 그리고 2025년 1분기에 공공 및 민간 부문으로 총 97개의 경제특구(EZ) 추진 계획을 승인했다. 이 중에서도 아래와 같은 평가를 통해 3개의 핵심 경제특구(EZ)를 선정하였으며, 2030년까지 우선적으로 집중 추진할 계획이다.
방 BEZA, 핵심 3개 산업단지(경제특구) 선정
2025년 1분기, BEZA는 약 100개의 추진예정 경제특구(EZ)를 대상으로 사업성, 투자 매력도 등을 고려하여 2단계의 평가를 통해 핵심 5개 경제특구(EZ)를 선정했다.
1단계로 토지 가용성 및 확보 가능성, 항만 및 교통망 연결성, 투자자 수요 및 관심도, 환경 규제 준수 여부 등 종합적인 부문을 검토, 비교했다. 그 결과 상위 3개 지역(NSEZ EZ - 87점, Araihazar EZ- 82점, Sabrang EZ-79점)이 선정되었으며, 하위 58개 지역이 탈락(토지 가용성, 환경 위험 등) 하게 됐다.
<방 산업단지공단(BEZA) 핵심 산업단지(EZ) 1단계 검토 기준>
기준
가중치
주요 데이터
토지가용성
30%
소송 문제로 46개 구역 제외
인허가 규정 준수 여부
25%
환경 문제로 12개 구역 탈락
항만 연결성
20%
접근성 평가에서
95/100 점수 이상 획득 시
[자료: BEZA 방 산업단지공단]
2단계로 전력 및 가스 등 인프라 접근성과 숙련 노동자 고용 가능성에 대한 기준으로 주요 산업단지(EZ)들을 추가 검토했고,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3개 산업단지(EZ)를 확정했다. 현지기업(ViyellaTex) 대표 Mohammed Taimur Alam은 'NSEZ, Araihazar , Sabrang 관광공원의 선정이 현재 기업들의 수요와도 부합'한다고 밝혔다. 특히 'NSEZ–마타바리 심해항 연계 강화가 예상되어 물류비가 약 25% 감소할 예정으로 투자 매력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방 산업단지공단(BEZA) 핵심 산업단지(EZ) 2단계 검토 기준>
기준
가중치
주요 기준
전력 접근성
15%
100% 확보가능여부 (5개구역)
숙련 노동력
10%
50km 내 12개 기술대학 보유
[자료: BEZA 방 산업단지공단]
주요 경제특구(EZ) 개발 추진계획
BEZA는 위와 같이 선정된 3개의 핵심 경제특구(EZ)와 일부 주요 경제특구(EZ)에 대해서 개발 추진계획을 3단계로 구분하여 아래와 같이 발표했다. 특히, 챠토그램시 인근의 Mirsarai, Feni, Sitakunda 지역에서 건설 중인 국가경제특구(NSEZ)를 2030년까지 준공 완료하기 위해 최우선으로 추진 중인 상황이다. 이미 NSEZ 경제특구 내 수출가공지구(EPZ)는 1단계 준공이 완료되어 중국, 한국 기업들이 일부 공장을 운영하기 시작한 상황이다.
<주요 경제특구(EZ) 개발 추진계획>
순번
기간
주요 과제 및 투자규모
주요 경제특구(EZ) 면적
1단계
(5년)
FY2025-FY2030
-NSEZ 준공 및 가동 시작 : 약 42억 달러 투자 규모
-아라이하자르: 일본·현지기업 약 11억 달러 규모
-사브랑 관광 개발: 약 4억 1300만 달러 규모
-3개 핵심구역에 대한 인프라·연결성 강화 최우선
-국가경제특구(NSEZ) 33,805에이커
-Araihazar EZ : 500 에이커
-Sabrang EZ : 940 에이커
-Jamalpur EZ : 250 에이커
2단계
(5년)
FY3031-FY3035
-광역 도시 인근지역 경제특구(EZ) 확대
-관련 인프라 정비(도로·전력·수자원·통신)
-제조·혁신(ESG·에너지 효율) 기업 중심 투자유치
-Sylhet EZ : 350 에이커
-Kushtia EZ : 400 에이커
-Moheshkhali EZ : 200 에이커
3단계
(10년)
FY3036-FY4046
-저개발 지역 중 유망구역 신규 EZ 조성
-수출지향 산업 관련 기업 중심 투자 유치
-Shreehatta EZ : 200 에이커
-Anwara-2 EZ : 300 에이
[자료: BEZA 방 산업단지공단]
BEZA는 투자 잠재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경제특구(EZ)를 세 개의 핵심 권역으로 나누어 전략적으로 배치했다. 국가 산업 생산의 65% 이상이 집중된 다카-치타공 구역은 핵심 산업 벨트로서의 역할을 더욱 강화하고, 쿨나와 바리살 지역은 파드마 대교 개통과 항만 현대화에 힘입어 50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는 새로운 성장축으로 부상하고 있다. 또한, 실렛과 마이멘싱은 ICT, 농식품 가공 등 미래 산업 중심의 신흥 거점으로 육성되어 전체 경제특구 고용의 10%를 책임질 전망이다.
<광역별 개발 예정 경제특구(EZ) 면적 및 개수>

[자료: BEZA 방 산업단지공단]
주요 개발 예정 산업단지(EZ) 동향
(1) 국립특별경제구역(NSEZ) (Mirsarai, Feni, Sitakunda 지역)
NSEZ는 30,000 에이커 이상의 방글라데시 최대 규모 경제특구로 개발되고 있다. 이미 150개 이상 투자자로부터 약 42억 달러 이상 투자 약정을 확정한 상황이며, 향후 약 50만 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방글라데시 최대 차토그람 항구와 연결되는 4차선 고속도로를 포함하여 도로 연결성은 이미 90% 완공이 되었으며, 400MW 규모의 발전소를 건설 중에 있다. 상수도 공급(200 MLD, 1일 백만 리터 수준의 정수장 건설 중), 가스 연결 등 관련 인프라도 건설 중인 상황이다.
(2) 아라이하자르(Araihazar) EZ
일본 기업들이 주로 투자를 예정하고 있는 500 에이커 규모의 경제특구로서, 약 11억 달러 규모의 투자가 확정된 상황이다. 향후 약 10만 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132kV 그리드 변전소를 가동 중이며, 40 MLD(1일 백만 리터) 용량의 상수도가 확보되어있다. 30 MMSCFD(백만 입방피트/일) 규모의 파이프 라인도 설치할 예정이다. 주료 제약, 섬유, 전자 산업관련 기업들을 중심으로 투자유치할 예정이며, 전체 부지의 약 80%가 분양이 완료된 상황이다.
(3) 쿠수티아 (Kushtia, Khulna) EZ
약 400에이커 규모의 경제특구에서 가죽 및 신발부문 기업들 위주로 약 4억 달러의 규모가 확정된 상황이다. 향후 약 8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되며, 쿨나(Khulna)-다카 지역간 도로와 연결이 되어있는 상황이다. 80MW 규모의 변전소가 가동 중이며, 30 MLD 규모의 상수도 정수장이 건설 중이다. 추가 인프라 공사를 진행하기 위한 개발사 선정 최종 단계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산업단지(EZ)별 개발규모 >
경제구역(EZ)
도로(km)
전력(MW)
용수(MLD)
추정 개발 비용(달러)
국립 특별 경제구역
45
120
50
320 백만
아라이하자르 EZ
28
80
30
210 백만
쿠수티아 EZ
32
60
25
180 백만
[자료: BEZA 방 산업단지공단]
BEZA 외국인투자유치 지원강화를 위한 추가 노력
BEZA는 BIDA(투자청)와 협력해 경제특구(EZ) 확대와 함께 외국인 투자유치를 위한 별도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2025년 9월 원스톱서비스(OSS)를 출시해 투자 등록, 인허가, 유틸리티 연결 신청 등을 통합 제공 중이다. 또한 일부 경제특구(EZ)에 투자할 경우 최대 10년간 법인세 100% 감면을 제공하는 인센티브도 추진하고 있다. 이 밖에 생산 원자재 무관세·관세 인하, 건설자재 부가가치세 면제, 현지 생산품 수출세 면제, 이익·배당금 100% 본국 송금 보장 등 재정·금융 지원을 순차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시사점
최근 미국의 상호관세, 현지 인건비 상승, RMG(기성복) 제조업 기피 추세 등으로 중국·베트남 등에서 활동하던 한국 RMG 기업의 방글라데시 이전 검토가 늘고 있다. 풍부하고 경쟁력 있는 노동력, RMG 중심의 산업 생태계, 정부의 투자유치 정책 강화는 한국 기업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다. BGMEA(방글라데시 섬유봉제협회) Syed Ahmed Ali 선임 사무차관은 "방글라데시 내 한국 기업들이 선도해온 섬유봉제 산업 뿐 아니라, 최근 현지 수요가 급증하는 전자 및 전기차 부품 분야에서도 한국 기업이 매우 유리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방글라데시는 2026년 11월 최빈국(LDC) 졸업을 앞두고 천연섬유·MMF RMG, 가죽·신발, 제약, 전자 및 전기차 부품 등 다각 산업에서 해외투자 유치를 지속 강화할 전망이다. 해당 분야의 해외 진출을 검토하는 한국 기업은 이러한 동향과 신규 경제특구(EZ) 진입 기회를 중장기 관점에서 검토할 만하다.
자료: 방글라데시 투자청(BIDA), 산업단지공단(BEZA), 방글라데시 섬유봉제협회(BGMEA), KOTRA 다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방글라데시 신규 경제특구(EZ) 개발 노력, 한국 기업의 투자 확대로 이어질까?)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일본 스타트업 행사 Tech Osaka Summit 2025 참관기
일본 2025-10-15
-
2
2025 케냐 광업 정보
케냐 2025-10-15
-
3
천문학적 규모의 중국 도시 재개발, 현황과 미래
중국 2025-10-15
-
4
미국 관세 조치가 중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과 중국의 통상전략
중국 2025-10-15
-
5
일본 지방창생 2.0, 축소 사회를 전제로 한 새로운 도전
일본 2025-10-15
-
6
도미니카공화국 정부조달 참여 가이드
도미니카공화국 2025-10-15
-
1
2025년 방글라데시 가죽 산업 정보
방글라데시 2025-10-16
-
2
2024 방글라데시 섬유봉제산업 정보
방글라데시 2024-10-11
-
3
2021년 방글라데시 건설 산업 정보
방글라데시 2021-06-10
-
4
2021년 방글라데시 섬유 산업 정보
방글라데시 2021-05-27
-
5
2021년 방글라데시 철강 산업 정보
방글라데시 2021-05-24
-
6
2021년 방글라데시 산업 개관
방글라데시 2021-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