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2025년 방글라데시 가죽 산업 정보
  • 국별 주요산업
  • 방글라데시
  • 다카무역관 이성훈
  • 2025-10-16
  • 출처 : KOTRA

방 기존 천연섬유 RMG(기성복) 중심에서 가죽 및 신발 산업으로의 고도화·다변화 강화

산업 개요

  

방글라데시 가죽 산업은 신발·가죽 제품의 후방 산업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대규모 내수 시장을 기반으로 성장하고 있다. FY2025 기준 연간 약 3억 5,000만m²의 가죽이 3,500여 개의 가죽 공장과 2,500여 개의 신발 공장에서 가공·생산되고, 약 85만 명의 고용을 창출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무슬림 대명절인 이드 알아드하(희생제) 기간에는 국가 전역에서 대규모 도축이 이뤄지며, 이때 발생하는 약 1,000만 장의 소가죽 원피가 핵심 원자재 공급원이 된다. 약 160~200개의 가죽 제조 공장들이 사바(Savar) 가죽산업단지(STIE)에 집중되어 있다. 다만 공정 표준화와 분업 체계가 미흡해 공급망과 생산 채널 전반의 효율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편 바타(Bata), 아펙스(Apex), 풋웨어(Footwear) 등 로컬 신발 브랜드가 연간 약 3억 7800만 켤레 규모의 내수 시장을 발판으로 성장하면서, 관련 산업 전반의 고도화도 빨라지고 있다.


<방글라데시 가죽 산업단지 현황>

구분

세부내용

가죽 제조공장 수

161(Textile Today) 또는 200(NGOs)*

*조사 기관별 기준에 따라서 가죽 제조기업 수 차이

사바가죽산업단지 

폐수 처리용량

25,000 m³/day (부분 가동 중)

중소 규모 제혁공장 수

3,500여 개

대규모 제조업체 수

90~100여 개

연간 신발 생산량

약 3억 7800만 켤레

주 생산 지역

사바(제혁),다카, 가지푸르(신발 생산 공장)

[자료: 방글라데시 통계청]


FY2025 가죽·신발 수출은 10억 6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2.55% 증가했다. 특히 신발 품목 수출이 전년 대비 28.96% 급증했는데, 이는 가죽 산업의 무두질·원자재 중심 구조에서 신발 등 고부가가치 완제품 중심으로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가죽 원자재 후공정 공장 내부>

[자료: 방글라데시 데일리뉴스]


수입 동향


방글라데시 가죽 산업은 정부가 가격을 통제하는 약 1000만 장의 국내산 원피 공급에 크게 의존하는 구조이다. 수입산 원피도 활용해왔으나 최근 5년간 현지화 대미 환율 하락, 대외 환경 불안으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약화 등으로 국내산 원피로 대체하는 상황이다. 이로 인해 FY 2024년 기준 가죽 관련 원부자재 수입은 약 73만 달러 수준으로 FY 2003년 243만 달러 대비 70% 이상 급감한 상황이다.


방글라데시의 가죽 관련 제품 수입동향은 방글라데시 통계청에서 발표 회계연도 기준으로 발표하며, 현재 발표된 가장 최신 데이터는 FY 2024년 기준이다. 이를 기준으로 최근 5년간 가죽관련 제품 수입이 감소세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FY2023년 대비 FY2024년 수입은 약 70% 이상 급감했다.

 

<연도별 가죽 관련 제품 수입동향>
(단위: US$)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924pixel, 세로 1156pixel

 [자료: 방글라데시 통계청]


방글라데시는 가죽 관련 제품을 주로 홍콩, 중국, 태국, 파키스탄, 터키에서 수입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가죽 및 신발 관련 원부자재를 최근 5년간 연평균 약 12만 달러 규모로 수입하고 있다. 하지만 FY2024년에는 한국에서 약 32,381 달러만 수입하며 전체적으로 FY 2024년에 가죽 관련 원부자재 수입이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국가별 가죽 관련 제품 수입동향>

(단위: US$)

Fy19-20

Fy20-21

Fy21-22

Fy22-23

Fy23-24

5년간

연평균 수입

홍콩

499,186

368,156

561,585

1,984,280

305,300

743,701

중국

222,593

161,818

760,773

183,199

124,878

290,652

태국

297,089

486,554

84,466

21

5

173,627

파키스탄

395,378

323,071

513,438

34,930

-

316,704

터키

372,903

204,821

213,536

66,614

69,284

185,432

한국

442,940

43,096

68,260

10,307

32,381

119,397

일본

192,664

6,350

3,825

4,037

6,890

42,753

이탈리아

14,261

111,927

12,190

22,511

150

32,208

유럽연합

30,007

81,048

30,715

38,713

41,709

44,438

인도

10,602

92,235

32,927

39,965

5,182

36,182

스페인

49,310

5,039

3,852

1,914

79,359

27,895

독일

72,282

14,011

9,115

404

549

19,272

포르투갈

7,746

19,669

46,108

17,597

6,421

19,508

대만

7,373

3,579

10,068

710

54,532

15,252

베트남

4,979

92

329

159

14

1,115

벨기에

-

-

19,187

2,846

-

11,017

기타

18,543

19,140

2,426

22,835

1,522

12,893

 [자료: 방글라데시 통계청]


관세율


방글라데시로 가죽 혹은 관련 제품을 수입할 경우 총 수입관세(TTI)는 58.6% 수준이며 세부 항목별 세율은 아래 표로 확인할 수 있다.


<가죽 또는 관련 제품 수입 관세>

HS Code

품목

CD

RD

SD

VAT

AT

AIT

TTI

4203. 10.00

가죽 혹은 조성역제 관련

25%

3%

0%

15%

5%

5%

58.60%

[자료: 방글라데시 관세청]


수출 동향


방글라데시의 가죽 관련 제품 수출은 FY 2022년 약 215만 달러 규모까지 증가한 뒤, 글로벌 공급망 약화에 따른 원자재 부족, 하시나 전 정부 퇴임 등 국내 정치 환경 불안 등으로 2년간 급격히 감소했다. FY2025년 약 71만 달러 수준으로 전년 대비 32.3% 반등하며 회복세로 전환되는 추세이다.


<연도별 가죽 관련 제품 수출동향>

(단위: US$)

[자료: 방글라데시 수출진흥청]


방글라데시 가죽 제품 수출은 독일, 영국, 아랍에미레이트 등 소수 시장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편이다. 하지만 최근 일본, 한국, 인도 등 아시아 시장으로 수출이 다변화되는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주요 국가별 수출 현황>

(단위: US$)

국가

Fy19-20

Fy20-21

Fy21-22

Fy22-23

Fy23-24

Fy24-25

5년간

연평균 수출

독일

-

-

806,888

189,808

115,179

359,623

367,875

영국

109,754

76,035

419,174

287,872

253,849

14,876

210,361

UAE

-

510,866

-

505,973

-

-

508,420

네덜란드

2,708

-

523,910

192,225

-

34,666

250,267

미국

67,158

45,873

85,261

-

48,172

-

59,769

일본

-

-

127,557

17,528

58,306

35,954

59,836

한국

-

-

-

-

8,488

184,741

96,615

그 외 국가

76,268

79,051

17,738

932

2,930

46

20,139

벨기에

-

-

145,813

-

4,715

-

75,264

인도

-

27,301

-

-

40,866

78,526

48,898

스위스

-

140,166

-

-

-

-

140,166

인도

102,404

-

-

-

-

-

-

러시아

72,846

-

-

-

-

-

-

칠레

-

-

-

44,078

-

-

44,078

중국

-

-

26,754

-

3,000

1,865

10,540

뉴질랜드

1,931

-

-

25,206

-

-

25,206

프랑스

-

16,528

-

-

-

-

16,528

파키스탄

8,850

-

-

-

1,740

-

1,740

캐나다

-

-

-

-

257

656

457

합계

441,919

895,820

2,153,093

1,263,622

537,502

710,954

1,112,198

[자료: 방글라데시 수출진흥청]


방글라데시 가죽 산업은 소수의 대형 신발 브랜드, 가공기업들이 주도하고 있으며, 특히 신발 완성품이 내수 및 수출 시장에서 크게 성장하고 있다. 주요 가공기업으로는 아펙스 태너리(Apex Tannery)와 크레센트 태너리(Crescent Tanneries) 등이 있으며, 신발 완제품 브랜드로는 바타(Bata)와 아펙스 풋웨어(Apex Footwear) 등이 있다. 


향후 전망 및 과제


방글라데시 정부는 기존의 천연섬유 RMG(기성복) 중심 제조업을 고도화·다변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10% 수출 인센티브 등 정책을 통해 가죽·신발 산업을 집중 육성하고 있다. 그 결과, 연간 약 3억 7800만 켤레의 신발을 생산하며 해외로도 수출하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발전했다. 정부는 향후 5년 내 가죽·신발 제품 수출을 50억 달러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도 분명하다. 우선 LWG(친환경 인증) 획득을 뒷받침할 제도 마련과 기업의 규정 준수 지원이 필요하다. 2026년 11월로 예정된 최빈국(LDC) 졸업 이후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 요건이다. 


또한 가죽 가공 및 제혁 공장이 사바(Savar) 산업단지에 집중되어 있어, 이곳의 폐수 처리 용량 부족이 당면 과제로 지적된다. 산업단지(EZ)와 수출가공단지(EPZ) 확충을 통해 제조 기업의 증설 라인에 필요한 부지를 선제적으로 확보할 필요가 있다.


<방글라데시 가죽 및 신발 산업 주요 이슈별 현황>

주요 이슈

이슈별 현황

LWG 인증 확대

방 정부, '28년까지 LWG 인증 기업 10~20개 추가 목표

한-방 EPA/CEPA

(경제동반자협정)

한-방간 관세 단계적 인하 및

원재료/부품원산지 기준 단순화 가능 기대

물류

'25년 기준 차토그램 처리량 330만 TEU

'30년 마타르바리 항구 개항 예정(280~420TEU)

월 급여 개선 요구

다카 생활 임금 (27.9k Tk)에 근접하도록 단계적 상향 예정

[자료방글라데시 New Age 일간지]


시사점


방글라데시는 기존의 천연섬유 RMG(기성복) 중심 제조업을 고도화·다변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 가운데 가죽 및 신발 산업이 유망 업종으로, 약 1억 8000만 명의 내수 시장을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 중이다. FY 2025년 기준 가죽 및 신발류 수출은 전년 대비 32.3% 증가했다. 특히 전체 가죽류 수출의 70% 이상이 신발 완제품으로 집계되어, 그동안 반가공품 중심에서 완제품 중심으로 시장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국에서는 Giant BD Group 등 신발 부자재 생산기업이 현지에 이미 투자 중이며, 연계 품목을 중심으로 생산라인을 다각화하고 있다. 방글라데시 가죽 및 신발 산업의 성장은 현지 진출 국내 생산 기업에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2025년 8월 시작된 한-방글라데시 CEPA(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 협상은 내년 말 타결이 전망된다. 타결 시 가죽·신발 제품 및 관련 원·부자재에 대한 양국 간 관세 인하와 원산지 규정(ROO) 간소화가 기대되며, 한국 가죽·신발 브랜드 기업의 OEM·ODM 공급망 활용도 한층 수월해질 것으로 보인다.



자료: 방글라데시 중앙은행, 통계청, 수출진흥청, 방 New Age일간지, Daily News, KOTRA 다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5년 방글라데시 가죽 산업 정보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