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 중국 랴오닝 국제투자 무역상담회 참관기
- 현장·인터뷰
- 중국
- 선양무역관
- 2025-10-15
- 출처 : KOTRA
-
해외 및 중국 지역별 우수 상품·기술 전시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부대 행사도 함께 마련
행사 개요
랴오닝성 정부가 2025년 중국 랴오닝 국제 투자 무역상담회(中国辽宁国际投资贸易洽谈会)를 지난 9월 25일~28일 사흘간 선양신세계전시관(沈阳新世界博览馆)에서 개최했다. 2021년을 시작으로 올해 6회째를 맞은 중국 랴오닝 국제 투자 무역상담회는 '새로운 시대의 동북진흥, 윈윈협력의 새로운 여정(新时代东北振兴, 新征程合作共赢)'이라는 주제로 개최됐다. 한국, 러시아, 일본 등 60개 국가에서 온 1000여 개 기업이 참가해 다양한 제품을 선보이며 상담회의 다양성을 더했다.
<전시회 포스터>
[자료: 중국 랴오닝 국제 투자 무역상담회 홈페이지]
<행사 개요>
행사명
중국 랴오닝 국제 투자 무역상담회(中国辽宁国际投资贸易洽谈会)
개최 기간
2025.09.25-28
장소
선양신세계전시관(沈阳新世界展览馆)
규모
3만5000㎡, 1095여 개 기업
주요 전시 품목
전품목
[자료: 중국 랴오닝 국제 투자 무역상담회 홈페이지]
상담회 이모저모
이번 상담회는 다수의 세계 500대 기업, 산업별 선두 기업이 참여해 진흥성과관(振兴成果馆), 랴오닝혁신관(辽宁创新馆), 지역간 협력관(省际合作馆), 국제교류관(国际交流馆), 의료미용상품관(医美精品馆), 라이브커머스구역(电商直播区) 총 6개의 전시 구역을 조성했다.
<행사 현장 모습>


[자료: KOTRA 선양무역관 직접 촬영]
랴오닝성 연해지역에 위치한 다롄(大连)시는 교통, 스마트 제조, 관광, 친환경 석유화학, 차세대 정보기술, 생명ᆞ건강, 신에너지 등 7개 분야의 80개 기업을 초청해 다롄관을 운영했다. 전시품 중 다롄선박중공그룹유한공사(大连船舶重工业集团有限公司)의 17만5000㎥급 LNG 운반선, 랴오닝즈페이실업그룹유한공사(辽宁智非实业集团有限公司)의 무인기, 다롄해사대학(大连海事大学)의 수중 드론, 다롄빙산그룹유한공사(大连冰山集团有限公司)의 선박용 탄소 포집 설비(OCCS) 등 혁신 기술을 자랑하는 제품들이 참관객들의 큰 관심을 받았다.
<다롄관의 전시품>


[자료: KOTRA 선양무역관 직접 촬영]
티베트(西藏) 자치구 나취(那曲)시는 관할 구역 내 43개의 기업을 이끌고 치즈, 육포 등 지역 특색 먹거리부터 의약품, 수공예품까지 총 80여 종의 우수 상품을 전시했다. 특히 상담회 개최를 축하하기 위해 나취에서 초빙한 음악가, 무용가들이 현장에서 축하 공연을 진행하며 티베트지역 소수민족의 특색과 풍습을 참관객들에게 보여줬다.
<티베트 나취관의 전시품>


[자료: KOTRA 선양무역관 직접 촬영]
이와 함께 세계 각국의 유명한 특산물을 선보인 국제교류관도 참관객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다. 러시아산 과자, 체코산 크리스탈컵, 몽골산 캐시미어 의류, 아랍 에미리트 연합산 수공예품 등 국가별로 특색있는 제품을 한 자리에 볼 수 있었다. 많은 소비자들이 국제교류관을 찾아 다양한 제품을 구경하고, 즉석에서 구매했다.
<국제교류관의 전시품>


[자료: KOTRA 선양무역관 직접 촬영]
농심, CJ, CUCKOO를 비롯한 한국기업 140여 개사가 올해 상담회에 참가해 한국관을 운영했다. 식품, 화장품 등 생활소비재부터 차세대 정보기술, 자동차, 바이오의약까지 다양한 제품군을 선보이면서 소비자들의 큰 관심을 받았다.
<한국관 모습>


[자료: KOTRA 선양무역관 직접 촬영]
KOTRA 선양무역관은 한국 중소기업 55개사와 함께 총 210㎡의 종합 전시관을 운영했다. 화장품, 식품, 의류, 식기 등 생활소비재 전반을 아우르는 다양한 제품군을 선보이면서 소비자들의 큰 관심을 얻었다. 현장 판촉전 외 현지 우수 바이어를 초빙해 B2B 매칭상담회도 진행했으며, 우리 상품의 중국 진출을 위해 전력을 기울였다.
<KOTRA 종합전시관 전시품>


[자료: KOTRA 선양무역관 직접 촬영]
행사 기간 동안 랴오닝성의 대외무역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부대 행사도 마련됐다. "인베스트 랴오닝" 일본 경제무역상담회(“投资辽宁”日本经贸对接活动), 랴오닝-허베이 중점산업 비즈니스 상담회(辽宁与河北重点行业商贸洽谈对接活动), 랴오닝-중앙기업 심화 협력 추진 간담회(辽宁省与央企深化合作座谈会), 랴오닝 기업가 대회(辽商大会) 등이 대표적이다.
한국 참가기업(식품기업 G사) 담당자 인터뷰
Q1) 이번 행사에 참여하게 된 계기는?
A1) 그동안 국내 시장에 집중하다 보니 해외 시장에는 관심 두고 마케팅하지 못했다. 그러나 지금은 중국의 평균 소득 수준 향상으로 수입산 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을 실감했고, 시장 개척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해 이번 행사에 참여했다.
Q2) 이번 행사를 통해 느꼈던 현지 시장의 변화가 있다면?
A2) 중국 로컬 제품의 품질이 점점 높아지고 있고, 소비자들은 가격 대비 품질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합리적인 선택을 하는 소비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Q3) 전시회 참가로 기대하는 성과는?
A3) 바이어나 소비자들이 제품 경쟁력을 인정한다는 반응이다. 신시장 개척을 위해 이 행사에 참가한 만큼 현지 바이어를 발굴해 중국 시장에 단계적으로 진출하고 싶다.
시사점
이번 박람회는 중국 내 각 지역 대표 상품이 총출동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식품, 화장품 등 소비재부터 드론, 대형 설비까지 다양한 제품들이 전시됐다. 그러나 참가 기업 중 외국기업은 약 20% 수준이었고, 바이어보다 현지 소비자가 주를 이룬 점은 다소 아쉬운 부분이었다.
중국은 앞으로도 규모 면에서 높은 성장이 기대되는 시장이지만, 로컬 제품의 품질과 경쟁력이 높아지고 있어 시장 경쟁이 어느 때보다 치열하다. 이제 단순하게 수입 제품임을 강조하는 전략은 중국 소비시장에서 통하기 어려우며, 중국 소비자들의 마음을 얻기 위해서는 높은 제품력, 차별화된 브랜드 이미지, 합리적인 가격, 현지화된 마케팅 전략 등을 활용해 진출 초기부터 중국 시장에 특화된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자료: 랴오닝일보(辽宁日报), 선양일보(沈阳日报), 양광왕(央广网), 선양왕(沈阳网), 베이두어융메이(北斗融媒), KOTRA 선양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2025 중국 랴오닝 국제투자 무역상담회 참관기)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6년 벨라루스 경제 전망
벨라루스 2025-10-15
-
2
천문학적 규모의 중국 도시 재개발, 현황과 미래
중국 2025-10-15
-
3
도미니카공화국 정부조달 참여 가이드
도미니카공화국 2025-10-15
-
4
우크라이나 재무부 사칭 무역 사기 증가
우크라이나 2025-10-15
-
5
OECD, 2025년 스페인 경제 성장률 상향 조정
스페인 2025-10-15
-
6
네덜란드 2026년 예산안 발표
네덜란드 2025-10-15
-
1
2025 중국 치과산업 정보
중국 2025-09-10
-
2
2025년 중국 실버산업 정보
중국 2025-07-22
-
3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4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5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6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