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만 자동차 배터리 시장동향
- 상품DB
- 오만
- 무스카트무역관 이슬아
- 2025-10-14
- 출처 : KOTRA
-
자국산업 보호를 위해 한국, 인도, 튀르키예 제품에 반덤핑 관세 부과 중
독점 유통권을 보유한 현지 기업이 유통의 핵심 축 형성
상품명 및 HS 코드
HS 코드
상품명
8507.10
피스톤식 엔진 시동용 연산(鉛酸)축전지
오만은 GCC(걸프협력회의) 회원국 간 무역 간소화 및 관세 절차 조화를 위해 2025년 1월 1일부터 12단위 통합 HS 코드 체계를 채택했다. 이에 따라 '피스톤 엔진 시동용 연산 축전지’(이하 배터리)의 기본 12단위 HS 코드는 8507.1000.00.00이며, 배터리 용량(암페어)에 따라 아래와 같이 세분화된다.
<HS 코드 850710과 그 하위 분류>
연번
HS 코드
설명
1
85 07 10 00 00 02
35암페어
2
85 07 10 00 00 03
40암페어
3
85 07 10 00 00 04
43~44암페어
4
85 07 10 00 00 05
45암페어
5
85 07 10 00 00 06
50암페어
6
85 07 10 00 00 07
55암페어
7
85 07 10 00 00 08
60~62암페어
8
85 07 10 00 00 09
65~68암페어
9
85 07 10 00 00 10
70~74암페어
10
85 07 10 00 00 11
75~80암페어
11
85 07 10 00 00 12
85~88암페어
12
85 07 10 00 00 13
95~100암페어
13
85 07 10 00 00 14
115암페어
14
85 07 10 00 09 01
한국 Dong-Ah Tire and Rubber Co Ltd, 육로 수입
15
85 07 10 00 09 02
한국 Atlas BX Co Ltd, 육로 수입
16
85 07 10 00 09 03
한국 Sebang Global Battery Co Ltd, 육로 수입
17
85 07 10 00 09 04
한국 Hyundai Sungwoo Solite Co Ltd, 육로 수입
18
85 07 10 00 09 05
그 외 한국회사 제품 중 육로 수입 제품
19
85 07 10 00 09 06
한국 생산 제품 중 35~115암페어 제품
20
85 07 10 00 09 07
인도 Amara Al Raja Company
Limited batteries 제품 중 용량 23~225암페어 제품 (EFB, AGM 타입 제외)
21
85 07 10 00 09 08
인도 Exide Industries Co. Ltd 제품 중 용량 23~225암페어 제품 (EFB, AGM 타입 제외)
22
85 07 10 00 09 09
인도 Livguard Batteries Company 제품 중 용량 23~225암페어 제품 (EFB, AGM 타입 제외)
23
85 07 10 00 09 10
그 외 인도에서 생산된 용량 22~225암페어 제품
24
85 07 10 00 09 11
튀르키예산 용량 23~225암페어 제품 (EFB, AGM 타입 제외)
25
85 07 10 00 09 12
인도, 한국, 튀르키예 용량 23~225암페어 EFB, AGM 타입 제품
26
85 07 10 00 09 13
인도, 한국, 튀르키예 제외 용량 23~225암페어 EFB, AGM 제품 중 육로 수입 제품
27
85 07 10 00 09 14
인도, 한국, 튀르키예 제외 국가에서 항공 또는 육로를 통해 수입되는 연산 축전지
28
85 07 10 00 99 99
기타 연산 축전지
* 주: 한국 및 인도 기업명은 오만 관세율표에 따라 기재
[자료: 오만경찰청]
시장 동향
오만에서 주로 사용되는 자동차 배터리는 크게 MF, EFB, AGM 세 가지로 나뉜다.
<자동차 배터리 구분>
구분
명칭(약어)
주요 특징 및 장점
주요 적용 차량
일반형
MF
(Maintenance-Free)
- 유지·보수 불필요: 증류수 보충이 필요 없어 사용이 편리함
- 합리적 가격: 가장 보편화돼 가격 경쟁력이 높음
일반 구형 및 보급형 차량
고급형
EFB
(Enhanced Flooded Battery)
- 성능 강화: MF 배터리 대비 충전 성능과 수명이 약 2배 향상됨
- 가성비: AGM 대비 저렴한 비용으로 스탑앤고 기능 지원
보급형 스탑앤고(Stop & Go) 시스템이 장착된 차량
프리미엄형
AGM
(Absorbent Glass Mat)
- 최고 성능: 빠른 충전 속도와 강력한 시동 성능 보유
- 높은 내구성: 고온 및 진동에 매우 강하며, 수명이 가장 김
- 누액 방지: 특수 유리섬유 격리판 사용으로 전해액 누수가 없음
고급형 스탑앤고, 하이브리드 등 고급/프리미엄 차량
[자료: 인터넷 자료 종합]
오만은 대중교통 시스템이 발달하지 않아 개인 차량 의존도가 절대적으로 높은 사회로, 2025년 8월 기준 차량 등록 대수는 약 181만 대에 달한다. 같은 기간 전체 인구가 약 532만 명인 것을 고려하면, 인구 세 명 중 한 명이 차량을 보유한 셈이다. 이에 따라 차량 유지·보수 관련 애프터마켓 시장이 꾸준히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자동차 배터리는 대표적인 주기적 교체 부품으로 안정적인 수요가 발생하고 있다.
오만 정부는 비석유 부문 육성을 핵심으로 하는 경제 다각화 전략 ‘비전 2040(Vision 2040)’을 추진 중이며, 관광 산업은 주요 육성 산업으로 꼽힌다. COVID19로 위축됐던 관광 수요가 회복되면서 렌터카와 관광버스 이용이 증가했으나, 여전히 제한적인 버스 운행 외에는 대중교통 수단이 부족해 개인 차량과 상업용 차량에 대한 수요가 높게 유지되고 있다. 2025년 8월 기준 차량 등록 현황은 개인 승용차 79.3%, 상업용 차량 14.7%, 임대용 차량 2.3%, 택시 1.6%로 나타난다.
한편, 여름철 최고기온이 50도에 달하는 오만의 사막형 기후는 납축전지 수명을 단축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일반적으로 배터리 교체 주기는 3~5년이지만, 오만에서는 1.5~2년 수준이어서 교체용 배터리 시장 규모가 큰 편이다. 또한, 인구 밀도가 18명/㎢로 아랍에미리트(136명/㎢)보다 현저히 낮아 도심 외곽 운행 중 차량 이상이 발생하면 지원받기 쉽지 않다. 이 때문에 소비자들은 가격에 민감하고, 극한 기후를 견딜 수 있는 내구성과 브랜드 신뢰성을 모두 중시한다.
현재 오만 시장에서는 유지·보수가 필요 없는 MF(Maintenance-Free) 배터리가 표준으로 자리 잡았으며, 전력 소모가 큰 고사양 차량 증가에 따라 AGM(Absorbent Glass Mat) 배터리 수요도 점차 늘고 있다. 두 제품 모두 부식에 강하고 산 누출 위험이 낮으며,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어 오만의 환경에 적합하다. 실제로 전체 차량의 약 90%가 MF 및 AGM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개방형 셀 배터리(flooded lead-acid battery) 중심에서 밸브 조절식 납산(Valve-Regulated-Lead-Acid, VRLA) 배터리로 전환하는 글로벌 흐름과도 일치한다. 개방형 셀 배터리는 전해액 보충 등 정기적 관리가 필요하고 기울이거나 뒤집으면 누액 위험이 있어 현재는 일부 구형 차량, 해양 모터, 산업 장비에만 제한적으로 쓰이고 있다. AGM 배터리는 고급 차량에 기본 장착되며, 자동 시동·정지 기능, 높은 고온 대응력, 안정성 등의 특성으로 인해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비록 모든 차량에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일반 차량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옵션 선택지가 될 정도로 관심이 확산되는 추세다.
오만 배터리 시장 경쟁 요인 중 하나는 보증 기간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배터리의 유통 기한은 제조일로부터 약 24개월이지만, 제조업체에서 공급업체의 창고를 거쳐 소매업체에 이르는 물류 과정에서 몇 개월이 소요될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오만 판매 업체에서 제공하는 배터리의 보증 기간은 통상 소매점 구매일로부터 12개월이다. 그러나 2023년 11월, 오만 내 유일한 배터리 제조업체인 Reem Batteries and Power Appliances Co. SAOC가 ‘Grand Star Gold’ 브랜드를 출시하면서 보증 기간을 15개월로 확대하는 최초의 배터리 기업이 됐다. Reem 사의 배터리는 오만의 사막 기후에 맞춰 설계됐으며, 유지·보수가 필요 없는 구조와 부식 방지 귀금속 합금 소재를 적용해 긴 수명과 안정적 성능을 보장한다고 알려져 있다.
경쟁 동향
<오만 주요 유통 배터리 브랜드 및 유통업체>
(단위: US$)
연번
제품명
판매가
제품 사진
제조국
현지 에이전트
1
Antara / Grand Star Gold
57-91

오만
Towell Auto Centre LLC, Oman Trading Establishment Group (OTE), and many more.
2
VARTA
65-91

스페인/독일
Mohsin Haider Dawish
3
NBC
52-78

사우디
Mohsin Haider Dawish
4
Amaron
65-91

인도
Suhail Bahwan Automobiles LLC
5
AC Delco
57-78

미국
Oman Trading Establishment Group (OTE)
6
Globatt
65-91

방글라데시
Saud Bahwan
7
Rocket
57-78

한국
Saud Bahwan
8
AtlasBX
57-78

한국
Bhatia Brothers and Partners
9
SF Sonic
65-91

인도
WJ Towell
10
DAD
47-65

중국
Diamond Auto Spare parts
[자료: www.omscllc.com, Amazon 및 각 제품 홈페이지]
1. Reem Batteries & Power appliances Co. SAOC
1991년에 설립된 Reem Batteries는 오만 자동차 배터리 시장의 60% 이상을 점유하는 오만 유일의 배터리 제조업체다. 세계적인 배터리 기업인 Johnson Controls Battery Group(미국)과의 기술 협력을 통해 최첨단 기술을 도입했으며, 연간 약 175만 개의 배터리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오만에서 최초로 일반적인 12개월 보증을 웃도는 15개월 보증을 제공하는 곳이기도 하다. Reem은 Antara, Power+, TOPLITE, Black Panther, Grand Star Gold 등 다양한 브랜드를 제조하며, 오만의 고온 기후, 지형, 운전 조건에 적합한 배터리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제품 유통은 현지 기업을 통해 진행된다.
웹사이트: https://reembatteries.com/
2. Saud Bahwan Group
오만의 대표적인 대기업으로, 자동차 및 배터리 분야에서 강력한 입지를 보유하고 있다. 전국에 걸친 광범위한 지점망과 전용 매장을 통해 다양한 차량용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으며, 신뢰성과 가격 경쟁력을 동시에 제공한다. 이 회사는 여러 국제 배터리 브랜드를 공식 유통한다. 독일 기술을 사용한 Rahimafrooz Globatt Ltd에서 제조한 글로밧(Globatt), 한국 세방전지의 로켓(ROCKET) 배터리, 인도네시아의 PT Century Batteries에서 생산한 INCOE 등 오래 지속되는 품질과 신뢰성으로 인정받고 있는 배터리 제품의 주요 현지 판매 업체다.
웹사이트: https://saudbahwangroup.com/
3. Towell Auto Centre LLC(TAC)
1972년 설립된 Towell Auto Centre는 WJ Towell Group 산하의 자동차 전문기업으로, 차량 판매, 애프터서비스, 임대·리스 등 종합적인 솔루션을 제공한다. TAC는 Mazda, Geely, Lynk & Co, JAC Motors 등 글로벌 자동차 브랜드의 공식 에이전트로, 오만 자동차 산업에서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주요 유통 배터리는 Antara(오만), SF Sonic(인도) 등이다.
웹사이트: https://towellauto.com/en/
4. Mohsin Haider Darwish (MHD)
Mohsin Haider Darwish, MHD LLC는 자동차 부문에서 강력한 입지를 가지고 있다. MHD는 VARTA, INFINITY, ACTRON, OPTIMA 등 글로벌 프리미엄 배터리 브랜드의 공식 유통사로, 최신 AGM 배터리부터 기존 무보수형 배터리까지 폭넓은 제품군을 제공한다. 또한 트럭·중장비용 특수 배터리 공급 역량도 보유해, 오만의 기후 조건과 다양한 차량 수요에 부합하는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s://mhdacere.com/
5. Suhail Bahwan Group
Suhail Bahwan Group은 오만 최대 규모의 복합 기업 중 하나로, 자동차, 건설,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자동차 부문에서는 Suhail Bahwan Automobiles를 통해 주요 글로벌 차량·부품 브랜드를 공급하며, 배터리 분야에서도 강력한 입지를 보유한다. 이 회사는 Amaron, DETA 등 고성능·내구성을 갖춘 브랜드를 유통하고 있으며, 최신 차량과의 호환성을 강조한 제품군으로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s://www.suhailbahwangroup.com/
수입 동향
<2022~2024년 오만 자동차 배터리(HS Code 8507.10) 수입 동향>
(단위: US$ 천)
연번
국가
2022
2023
2024
1
중국
1,900
3,756
5,279
2
말레이시아
1,663
2,589
4,256
3
방글라데시
3,086
3,143
4,098
4
인도
11,016
2,445
3,160
5
한국
1,425
2,472
2,748
6
UAE
2,746
3,360
1,808
7
사우디
4,374
4,272
1,390
8
베트남
0
0
1,363
9
스페인
1,850
1,231
1,012
10
독일
192
276
310
11
기타
2,103
8,799
7,634
총계
30,355
32,343
33,059
* 주: 순위는 2024년 기준
[자료: 오만경찰청]
오만의 배터리 수입액은 2022년 3000만 달러에서 2024년 3300만 달러로 약 10% 증가했다. 걸프협력회의(GCC, Gulf Cooperation Council)는 2017년 6월 25일부터 5년 동안 한국에서 수입되는 자동차 배터리에 대해 12~25%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했으며, 2023년 8월 해당 결정을 5년 더 연장한다고 발표했다. 인도산 배터리는 2022년까지 높은 수출을 유지했었으나, 2022년 10월부터 5년간 인도 및 튀르키예산 배터리에 8~41%의 반덤핑 관세가 부과되며 2023년부터 수출이 감소했다. 현지 배터리 주요 유통 담당자인 A 씨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인도산 배터리의 수입 감소는 인도산 배터리에 부과된 반덤핑 관세 외에도 2019년 인도 주요 수출업체인 Amara Raja 사와 미국 Johnson Controls 파트너사와의 협력이 종료되어 배터리 품질이 이전 대비 떨어졌다고 느끼는 현지 소비자 의견도 일부 영향이 있다고 한다.
유통구조
오만 배터리 시장은 수입 의존도가 높아 해외 브랜드별 유통업체, 특히 독점 유통권을 보유한 현지 기업들이 유통의 핵심 축을 형성한다. 제조업체는 배터리를 유통업체에 공급하고, 유통업체는 이를 기반으로 전국의 소매점, 정비소 등을 통해 최종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구조다. 제조업체와 유통업체 간 계약은 반드시 독점 계약일 필요는 없으나, 일부 브랜드는 독점 계약 방식을 채택한다. 이 경우 현지 에이전트가 오만 내 수입, 통관, 마케팅, 재고 관리, 보증 서비스 등을 총괄하게 된다.
오만의 정비소는 일부 체인형 정비소를 제외하면 별도의 자동차 부품 재고를 보유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소비자가 직접 부속품을 구매해 정비소에 제공해야 하는 경우가 흔하다. 이에 따라 주유소 인근의 배터리·타이어 전문점이 주요 유통 거점으로 기능하며, 이러한 전문 매장을 통한 판매가 시장의 큰 비중을 차지한다. 소비자로서는 전문점에서 배터리를 구매하면 별도의 조달 과정 없이 즉시 교체가 가능하고, 정비소 대비 교환 비용도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차량 구입 시 제조사 보증 기간 내에 발생하는 배터리 교환은 차량 판매업체에서 담당하며, 이 경우 해당 브랜드의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외에 대형 하이퍼마켓이나 일반 소매점에서는 자동차 배터리를 판매하지 않으며, 시장 유통은 주로 전문점·정비소·총판 중심의 구조로 운영되고 있다.
<오만 배터리 유통구조>

[자료: 무스카트무역관 정리]
관세율
오만은 일부 품목을 제외하고 5%의 관세가 일괄 적용된다. 2025년 신규 HS 코드와 GCC의 반덤핑 결정에 따른 관세는 아래와 같다.
<HS 코드 850710과 그 하위 분류>
연번
HS 코드
관세
설명
1
85 07 10 00 00 02
5%
35암페어
2
85 07 10 00 00 03
40암페어
3
85 07 10 00 00 04
43~44암페어
4
85 07 10 00 00 05
45암페어
5
85 07 10 00 00 06
50암페어
6
85 07 10 00 00 07
55암페어
7
85 07 10 00 00 08
60~62암페어
8
85 07 10 00 00 09
65~68암페어
9
85 07 10 00 00 10
70~74암페어
10
85 07 10 00 00 11
75~80암페어
11
85 07 10 00 00 12
85~88암페어
12
85 07 10 00 00 13
95~100암페어
13
85 07 10 00 00 14
115암페어
14
85 07 10 00 09 01
25%
한국 Dong-Ah Tire and Rubber Co Ltd, 육로 수입
15
85 07 10 00 09 02
21%
한국 Atlas BX Co Ltd, 육로 수입
16
85 07 10 00 09 03
19%
한국 Sebang Global Battery Co Ltd, 육로 수입
17
85 07 10 00 09 04
12%
한국 Hyundai Sungwoo Solite Co Ltd, 육로 수입
18
85 07 10 00 09 05
25%
그 외 한국회사 제품 중 육로 수입 제품
19
85 07 10 00 09 06
5%
한국 생산 제품 중 35~115암페어 제품
20
85 07 10 00 09 07
8%
인도 Amara Al Raja Company
Limited batteries 제품 중 용량 23~225암페어 제품 (EFB, AGM 타입 제외)
21
85 07 10 00 09 08
29%
인도 Exide Industries Co. Ltd 제품 중 용량 23~225암페어 제품
(EFB, AGM 타입 제외)
22
85 07 10 00 09 09
22%
인도 Livguard Batteries Company 제품 중 용량 23~225암페어 제품
(EFB, AGM 타입 제외)
23
85 07 10 00 09 10
41%
그 외 인도에서 생산된 용량 22~225암페어 제품
24
85 07 10 00 09 11
39%
튀르키예산 용량 23~225암페어 제품 (EFB, AGM 타입 제외)
25
85 07 10 00 09 12
5%
인도, 한국, 튀르키예 용량 23~225암페어 EFB, AGM 타입 제품
26
85 07 10 00 09 13
5%
인도, 한국, 튀르키예 제외 용량 23~225암페어 EFB, AGM 제품 중 육로 수입 제품
27
85 07 10 00 09 14
5%
인도, 한국, 튀르키예 제외 국가에서 항공 또는 육로를 통해 수입되는 연산 축전지
28
85 07 10 00 99 99
5%
기타 연산 축전지
* 주: 한국 및 인도 기업명은 오만 관세율표에 따라 기재
[자료: 오만경찰청]
인증
오만은 GCC 관세동맹의 일환으로 걸프 표준기구(GCC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GSO)를 통해 GCC의 표준 및 적합성 평가 시스템과 오만 시스템을 통합하기 위해 노력 중이며, 일반적으로 GSO 표준을 적용하고 있다. 국가 수준의 기술과 표준 개발은 긴급 필요가 있을 시에만 진행하며, 상공투자촉진부 산하의 표준계량총국(DGSM, Directorate General for Specifications and Measurements)이 표준화, 측정, 시험, 품질관리와 보증, 적합성 평가 및 인증 등을 담당한다.
이러한 결정에 따라 오만에 유통되는 자동차 배터리는 GSO 34:2007(LEAD-ACID Starter Batteries Used for Motor Vehicle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35:2007(Methods of test for lead-acid starter batteries used for motor vehicle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및 GSO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60095를 준수해야 한다.
그 외 제품 수입을 위해서는 오만 수입업체의 수입 허가 취득이 요구된다. 해당 수입 허가 취득을 위해선 상업송장, 배터리 유형별 공인 시험소 발행 시험 보고서, 수입업자/제조업체의 적합성 선언서(Declaration of Conformity) 등이 요구된다. 이러한 수입 허가 절차는 보통 신청 접수 후 2시간 이내에 완료된다.
시사점
오만 자동차 배터리 시장은 높은 수입 의존도와 까다로운 사용 환경, 엄격한 규제 요건이 결합된 특수성을 지니고 있다. 특히 고온 기후 등 차량 운행 조건에 적합한 내열성·장수명 배터리는 현지 소비자와 전문 판매업체 모두로부터 수요가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GCC의 반덤핑 관세 부과를 통한 시장 보호 정책, 중국산 저가 제품의 가격 경쟁, 다수 해외 브랜드와의 경쟁 심화는 한국 기업이 직면할 주요 과제로 꼽힌다.
오만 시장에서는 제품의 유통과 애프터서비스를 총괄하는 현지 독점 유통업체와의 전략적 협력이 진출 성패를 좌우한다. 독점권을 보유한 현지 기업은 수입·통관·마케팅·유지보수 전반을 담당하므로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를 발굴해 안정적인 현지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불법 복제 배터리 유통 문제도 브랜드 신뢰도에 위협 요인으로 작용한다. 무역관 조사에 따르면, 일부 판매점에서는 유명 브랜드와 외관이 동일하지만 성능이나 라벨이 다른 복제품이 간헐적으로 거래되고 있으며, 과거 인도 브랜드 복제품 유통 사례로 인해 특정 브랜드의 신뢰도가 하락한 이력도 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홀로그램, QR 코드 등 위조 방지 장치를 적용해 위조 및 병행 수입을 차단하고 브랜드 이미지를 보호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시장 변화에 대비한 기술 고도화가 장기적인 경쟁력 확보의 핵심이 될 것으로 보인다. 오만 정부는 소하르 자유무역지대를 중심으로 리튬 배터리 생산을 포함한 신에너지 분야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며, 향후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EV)용 배터리 수요가 점차 확대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한국 기업은 내연기관 차량용 시동 배터리 공급과 더불어 리튬·하이브리드 배터리 기술을 병행 제시함으로써 오만 및 GCC 지역 시장에서 중장기적인 입지를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자료: 현지 언론, 오만경찰청, www.omscllc.com, Amazon 및 KOTRA 무스카트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오만 자동차 배터리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독일 리튬이차전지 양극재(CAM) 시장 동향
독일 2025-10-14
-
2
과테말라 기초화장품 시장동향
과테말라 2025-10-14
-
3
튀르키예 원자력 에너지 확대…우리기업의 도전과 기회
튀르키예 2025-10-14
-
4
"인증된 한국제품만 다루는 '메르카도 K' 론칭 예정" 칠레 1위 이커머스 '메르카도 리브레' 인터뷰
칠레 2025-10-14
-
5
독일 텅스텐 시장 동향
독일 2025-10-14
-
6
미국 라면 시장 동향
미국 2025-10-14
-
1
2025년 오만 전력산업 정보
오만 2025-07-31
-
2
2024년 오만 석유산업 정보
오만 2024-12-20
-
3
2021년 오만 의료산업 정보
오만 2021-10-08
-
4
2021년 오만 관광산업 정보
오만 2021-10-05
-
5
2021년 오만 석유가스산업 정보
오만 2021-09-17
-
6
2021년 오만 유통 산업 정보
오만 2021-09-13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