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UAE 레이저기기 시장 동향
  • 상품DB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무역관 박혜수
  • 2025-10-14
  • 출처 : KOTRA

산업 4.0 정책과 전시 플랫폼이 견인하는 UAE 레이저기기 수요 확대

수입시장 중국·유럽 중심…한국 CEPA 활용 전략 필요

상품명 및 HS Code

 

상품명

HS 코드

레이저 기기

901320

 

시장동향

 

UAE 산업용 레이저기기 시장은 금속가공과 판금·구조물 제작에서의 고정밀·고생산성 수요를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파이버 및 CO₂ 레이저를 적용한 3D(다축) 절단·용접 장비가 자동차·항공우주·방산 라인에서 알루미늄 및 고강도 합금 가공을 표준화하며, 설비 전환 수요를 견인하고 있다. 지난 1월, 샤르자 엑스포센터에서 개최된 SteelFab 2025 전시회에서는 레이저 메탈 커팅 시스템을 전면에 내세워 금속 산업의 최신 공정 방법을 시연했고, AI 기반 공정 최적화 및 지속가능 제조 솔루션과 함께 레이저 장비가 핵심 유망군임을 재확인했다. 전시 주최 측은 용접·절단, 레이저 메탈 커팅, 파이프 제조, 강판 가공 등 중동 철강 밸류체인의 핵심 설비가 이번 전시회에서 대거 소개됐다고 밝혔다


UAE 레이저기기 시장에서는 고출력 장비 도입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중국 Bodor Laser는 UAE 구조용 강재 가공업체와 60kW급 파이버 레이저 절단기 공급 계약을 체결해 두꺼운 판재의 고속·고품질 절단 수요를 증명했다. 이는 중량 구조물과 대형 프로젝트 중심의 현지 수요 특성에 부합하며, 에너지 효율과 가동률을 중시하는 발주 패턴에 고출력 파이버 레이저가 적합하다는 점을 방증한다.

 

아울러 UAE는 산업 고도화 정책인 Operation 300bn UAE Industry 4.0 프로그램을 통해 스마트 제조·자동화를 국가 차원에서 지원함으로써 제조 현장의 디지털화·로보틱스·공정 최적화를 동시 추진 중이다. 지난 2월에는 국영 방산기업 EDGE와 산업첨단기술부(MoIAT)가 산업 4.0 전환 가속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정부는 학습·혁신 인프라를 통해 생산성 향상과 고부가 공정 전환을 뒷받침하고 있으며, 이는 공정 유연성과 정밀도가 높은 레이저 가공 설비의 도입 명분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Make it in the Emirates’ 포럼을 통해 약 30억 달러 규모의 신규 산업 프로젝트가 발표됐고, 첨단 제조와 소재·장비 국산화, 현지 공급망 확충에 초점이 맞춰졌다


아부다비는 별도의 산업 전략(Abu Dhabi Industrial Strategy)을 통해 제조 부문 성장을 견인하고 있으며, 정부·ADNOC·ADIO 등 정책·투자 기관이 일제히 고부가 제조 설비 투자를 유치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 조합은 판금·금속가공 기업의 설비 업그레이드를 촉진하고 있으며, 특히 레이저 절단·용접·마킹 라인의 증설과 자동화 통합 프로젝트가 늘고 있다.

 

수입 동향

 

UAE는 레이저 기술의 수입 의존이 크다. 세계무역기구·세계은행 무역 데이터(WITS) 기준 HS 코드 901320 2024 UAE 교역은 여전히 수입 우위 구조며, 역내 재수출 허브로서의 성격을 반영해 인접국 및 아프리카·유럽으로의 재수출(수출) 흐름도 확인된다.

 

GTA에 따르면, UAE 2024년 레이저기기 수입액은  13677000달러로 전년 대비 5.7% 감소했다. 최대 수입국은 중국으로 2024년 기준 3036000달러를 수입했으며, 전체 수입액의 22.2%에 달했다. 벨기에는 1781000달러로 2위에, 이어 미국이 1534000달러로 3위에 올랐다.

 

2024 UAE의 대한 수입액은 3000달러로 전체 수입국 중 26위를 차지했다.

 

<UAE 산업용 레이저기기 對 세계 수입 동향>

(단위: US$ , %)

순위

국가명

수입액

증감률

('24/'23)

2022

2023

2024

총계

8,389

14,505

13,677

-5.7

1

중국

1,865

1,621

3,036

87.3

2

벨기에

6

5

1,781

35,520

3

미국

883

2,226

1,534

-31.1

4

독일

1,026

4,849

1,493

-69.2

5

사우디

24

1,129

1,281

13.5

6

네덜란드

1,469

1,842

1,238

-32.8

7

프랑스

238

491

849

72.9

8

핀란드

1

-

654

-

9

이탈리아

316

506

407

-19.6

10

오스트리아

189

12

284

2,266.7

26

대한민국

138

2

3

50.0

: HS Code 901320 기준, UAE에서 최신 통계를 발표하지 않는 바 UAE로 수출한 국가의 수출액을 바탕으로 수입액 산정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9.]

 

경쟁 동향

 

UAE 레이저기기 시장은 프리미엄군(유럽)과 가성비군(중국)의 이원 구조가 고착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대형 테이블과 고정밀 절단 헤드, 고출력(20~30kW 이상) 운용 안정성을 요구하는 EPC·중후장대 프로젝트에서는 여전히 프리미엄 브랜드 선호가 뚜렷하다. 반면 일반 판금·표준 강판 라인, 다품종 소량생산(Hi-Mix/Low-Volume) 현장에서는 6~15kW급 파이버 레이저 중심의 가성비 장비 도입이 늘고 있다.

 

지난 1월 샤르자 엑스포센터에서 열린 SteelFab 2025는 파이버 레이저 절단과 자동화 솔루션을 전면에 내세워 이러한 현장을 체감하게 했고, 현지 바이어들은 장비 단품이 아닌 로딩·언로딩, 네스팅 소프트웨어, 집진·안전 패키지까지 라인 단위로 비교 및 검토하는 경향을 보였다.

 

프리미엄군의 TRUMPF(독일) UAE에 판금 가공용 CNC 레이저 절단·용접기와 자동화 시스템을 통합 공급하며 레퍼런스를 축적하고 있다제품의 강점은 두꺼운 판재의 절단 품질 안정성, 빔 제어·소프트웨어 스택 등이다. 이러한 요소는 프로젝트 기반 수요 및 가동률을 중시하는 현지 발주 문화와 잘 부합한다.

 

가성비군에서는 중국 제품인 Bodor Han’s Laser의 존재감이 커지고 있다. Bodor는 지난 6 UAE 구조용 강재 가공업체에 60kW급 파이버 레이저 절단기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초고출력 장비의 납품은 두꺼운 판재의 고속 절단 수요와 대형 프로젝트 중심의 현지 수요 구조를 반영한다. Bodor는 글로벌 거점 확대와 더불어 중동에서도 고출력 포트폴리오로 프리미엄군과의 성능 격차를 좁히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한편 Han’s Laser UAE 내 다수의 총판·딜러 네트워크를 통해 유통되며, 보급형 마킹·절단 라인에서 가격 대비 성능으로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Eagle Lasers(폴란드)와 같은 유럽계 신흥 브랜드도 존재감을 높이고 있다. 해당 기업은 2025 SteelFab에 참가해 UAE 공식 디스트리뷰터(Metzfe)와 동반 참가해 파이버 레이저 절단기 및 자동화 솔루션을 선보였다. 이는 프리미엄-가성비 양극단 사이에서 유럽 제조기술과 합리적인 가격을 결합한 미드 옵션으로 자리 잡으려는 시도로 해석된다.

 

<UAE 대표 레이저기기 브랜드 개요>

브랜드명

제조국

소개

TRUMPF

독일

· 고정밀·고출력 레이저 절단 및 용접장비 부문에서 UAE 시장 주도

· 지난 4, 6kW 이상 TruLaser 시리즈에 AI 기반 ‘Cutting Assistant’를 탑재해 절단면(edge)의 품질을 자동으로 검사하고 절단 파라미터를 최적화해 주는 기능 발표

· 지속가능성과 자동화 물류 통합 솔루션을 강화하며 유럽 메이저 브랜드로서 프리미엄 라인의 프로젝트에서 우위를 유지 중

Bodor Laser

중국

· 가성비와 초고출력 장비를 결합하는 전략으로 UAE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음

· 지난 6 UAE의 구조용 강재 가공 업체와 60kW 파이버 레이저 절단기를 공급하는 계약 체결

· 서비스센터 확장, 예비부품 공급, 운송 및 설치 지원을 포함한다는 점이 강점

Amada

일본

· 레이저 절단기 및 레이저-펀치 복합기 제품군을 UAE 시장에 공급 중

· 대표적으로 Ventis 3015 AJ 등의 파이버 레이저 절단모델과 LC/LCG/AJ 시리즈 합 장비를 제공하며, 현지 기술센터를 운영해 고객 기술지원 및 교육 서비스 수행

[자료: 각 브랜드 공식 홈페이지]

 

TRUMPF–ATAD, AMADA–Amada Middle East 같은 직간접적 현지 거점이 있는 브랜드는 데모·교육·예비부품·긴급출동 등 AS 지표에서 우위를 보인다. 반면, 가격경쟁력을 앞세운 브랜드는 설치 표준화와 원격 진단, 소모품 패키지 등 운용비(TCO) 절감을 전면에 내세워 간극을 줄이고 있다.

 

유통구조

 

유통은 주로 현지 대리점과 파트너십을 통해 이뤄진다. 글로벌 제조업체들은 대개 UAE 현지 기계 상사나 EPC(설계·조달·시공) 프로젝트사를 통해 판매망과 사후관리를 구축하고 있다현지 대리점, 파트너의 역량이 현지 시장 진출 성패를 좌우하는 핵심 요소라 할 수 있다. 다만 대리점 계약은 사실상 독점에 가까워 향후 계약 해지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사전에 해당 대리점의 영업력과 사업 수행 능력을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글로벌 기업의 경우 현지 법인 설립을 통한 직접 진출을 진행하기도 하나, 현지 사업체 등록 등 초기 진출 비용과 시간 소요가 많아 대리점을 통한 현지 유통이 중소기업들에는 좀 더 보편적인 방안이다.

<주요 유통구조>

[자료: KOTRA 두바이 무역관 정리]

  

관세 및 인증


UAE 연방관세청이 HS Code 901320에 부과하는 관세는 5%.

 

산업첨단기술부인 MoIAT(Ministry of Industry and Advanced Technology)가 규정하는 강제 인증 제도인 ECAS(Emirates Conformity Assessment Scheme)는 레이저 기기(Laser products)를 규제 품목으로 지정하고 있다.

 

UAE 정부는 산업용 레이저 기기를 포함한 레이저 제품에 대해 엄격한 인증과 규제를 적용하고 있다. 다만 의료, 연구, 교육 및 산업 내부적 사용과 같이 일반 대중에게 노출되지 않는(non-public domain) 목적의 레이저 제품은 일부 규제에서 제외된다. 또한, 전자·전기 장비 내부에 조립되는 부품으로, 단독으로 작동하지 않는 레이저 구성품은 규제 대상에서 벗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는 불필요한 중복 인증을 피하고, 실제 사용 단계에서 안전 위험이 발생하는 장비를 중심으로 관리하겠다는 취지다.

 

제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국제 표준인 IEC 60825-1(레이저 제품 안전 기준)의 준수가 필수적이다. 이 표준은 레이저 제품의 위험 등급 분류, 경고 표시, 보호 커버, 인터락(interlock), 비상정지 장치, 인체 노출 제한 조건 등을 규정하고 있으며, 레이저 장비의 설계 및 제조 단계에서 반드시 적용되어야 한다. 또한 UAE에서 해당 제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연방 산업첨단기술부(Ministry of Industry and Advanced Technology, MoIAT)가 관리하는 ECAS(Emirates Conformity Assessment Scheme, 아랍에미리트 적합성평가제도) 인증을 취득해야 한다.


이 과정은 Notified Body(지정시험·인증기관)가 수행하며, 대표적으로 UL(Underwriters Laboratories), TÜV Rheinland(튀프라인란드), Intertek(인터텍) 등이 MoIAT로부터 지정받아 심사 권한을 보유하고 있다. Notified Body는 Cabinet Decision No.41 of 2013 및 MoIAT 기술 규정에 따라 제품의 시험·검사 및 적합성 평가를 진행하며, IEC 60825-1 기준을 근거로 레이저 제품의 안전성을 검토한다. 평가를 통과한 제품에는 ECAS 적합성 인증서(CoC, Certificate of Conformity)가 발급되어, UAE 내 합법적인 판매 및 유통이 가능해진다.


또한, 모든 레이저 제품은 사용자 설명서와 제품 외형, 포장에 영어와 아랍어 병기가 필수며, 안전 경고문구, 레이저 분류(class), 제조자 정보가 명확히 표시돼야 한다. 아울러 ECAS 인증 마크와 함께 Notified Body 번호가 부착돼야 시장 출시가 가능하다.

 

인증 유효기간은 대부분 1년으로 제한된다. 따라서 기업은 매년 시험과 검증 절차를 거쳐 인증을 갱신해야 한다. 이는 기술 발전 속도가 빠른 레이저 산업에서 최신 안전 기준을 지속적으로 충족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 해석된다.

 

시사점

 

UAE 4차 산업 혁명과 제조업 디지털화를 국가 성장전략으로 추진 중이며, UAE 정부도 한국의 첨단 제조업과 디지털 경제를 핵심 협력 분야로 강조하고 있다. 특히 한-UAE CEPA 발효시 관세 부담이 낮아질 기회가 커지므로, 경쟁력 있는 가격과 현지 맞춤형 서비스를 제안할 필요가 있다.

 

전시·플랫폼의 역할도 커진다. SteelFab은 중동 금속가공의 대표 플랫폼으로, 장비·공정의 첨단화를 성장 엔진으로 규정하고 전문 바이어 풀을 확대하고 있다. 주최 측은 파이프·튜브, 레이저 메탈 커팅, 용접·절단 등을 스페셜 포커스 섹션으로 배치하며 구매·조달의 실거래를 유도한다. 이러한 전시는 딜러제조사엔드유저를 한자리에서 연결해 테스트 컷·가공 샘플, 자동화 연동 데모를 실시간 검증하는 현장 검증형 세일즈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우리 기업은 고출력 파이버 레이저,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등을 앞세워 UAE의 자동차·우주항공·금속가공 등 유망 수요를 공략하고, 전시회 참여, 현지 파트너사와의 협력을 통해 시장 입지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자료: GTA, GVR, WITS, Bodor Laser, 현지언론, KOTRA 두바이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UAE 레이저기기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