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요르단 정형외과 기기 시장동향
  • 상품DB
  • 요르단
  • 암만무역관 Esraa Alkurdi
  • 2025-10-14
  • 출처 : KOTRA

레반트의 의료허브 요르단, 수입 의존적 구조 속 한국 제품의 기회 확대

제품명 및 HS 코드


HS 코드

제품 상세 정보

902110

정형외과용이나 골절치료용 기기


시장 동향


요르단의 의료기기 및 제약 산업은 요르단에서 가장 발전된 산업 부문 중 하나로, 중동 및 북아프리카(Middle East and North Africa, MENA) 지역 및 세계적으로도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현재 151개 산업 시설에 5억4300만 달러 규모의 자본이 투입돼 약 1만 명의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으며, 이 중 95%는 요르단인이고 여성 근로자 비율은 35%에 달한다. 생산 품목은 인체 및 동물용 의약품, 의료 소모품, 건강 보조제 등을 포함하며, 전 세계 80여 개국으로 수출되고 있다.


의료기기 및 제약 산업은 요르단 GDP의 약 4%, 산업 제조업 생산의 약 11%를 차지하며, 의료기기보다는 제약산업 비중이 크다(의료기기 15%, 제약산업 85%). 의료기기 및 제약 산업의 2024년 수출액은 약 8억62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5% 증가했으며, 주요 수출 대상국은 사우디아라비아, 이라크, 알제리, 미국 등이다.


요르단의 의료기기 시장은 최근 몇 년간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Statista에 따르면, 2020년 시장 규모는 2억9754만 달러였으나 2023년 3억2744만 달러로 성장했고, 2030년에는 4억8008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심혈관 기기, 정형외과 기기, 안과 기기 부문에서 강한 성장세가 기대된다.


요르단 의료기기 시장은 공공 및 민간 의료 인프라에 대한 정부 및 국제기구의 지원을 기반으로, 심혈관 질환, 당뇨 등 만성질환의 확산으로 인해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지속 성장 중이다. 무엇보다 요르단은 레반트 및 인근지역 의료관광의 허브로 각광받고 있으며, 이에 따른 의료기기 수요도 증가하는 추세다. 요르단은 2024년 22만4000명 이상의 의료 관광객을 유치했으며, 2025년 5월까지 전년 동기 대비 16.5% 증가한 9만2776명을 기록한 바 있다. 주로 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 팔레스타인, 시리아, 예멘, 리비아 등에서 요르단을 방문한다.


특히, 인근지 분쟁으로 인해 골절, 외상성 뼈 손상, 복잡한 수술 환자가 급증함에 따라 환자가 인프라가 갖춰진 요르단에서 치료받는 경우도 있다. 이에 따라 요르단에서 정형외과 기기에 대한 수요가 크게 늘고 있다. 요르단의 정형외과 의료기기 시장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왔으며,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 규모는 2016년 2613만 달러에서 2019년 3158만 달러로 성장했으나, 2020년 일시적으로 2808만 달러로 감소했다. 그러나 이후 회복세를 보이며 2023년에는 3330만 달러에 도달했고, 2030년에는 약 5225만 달러 수준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요르단 의료기기 시장 규모(2020~2030년)>

(단위: US$ 백만)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

심장질환 기기

36.94

40.11

47.17

50.82

54.88

59.20

63.05

66.91

70.68

74.74

78.89

정형외가용 기기

28.08

30.68

31.95

33.3

35.39

37.84

40.28

42.94

45.75

48.89

52.25

진단 영상 장치

35.41

36.24

37.47

38.76

40.01

41.70

43.24

44.88

46.58

48.46

50.44

안과용 기기

21.42

22.96

26.91

28.94

30.82

33.05

34.88

36.63

38.29

40.07

41.86

내시경 기기

16.94

18.69

19.32

20.81

22.20

23.86

25.53

27.3

29.14

31.12

33.2

일반/성형외과 기기

16.52

18.58

19.14

19.89

20.73

21.96

23.19

24.5

25.89

27.42

29.05

당뇨병 치료 기기

9.50

10.48

11.30

12.80

14.38

16.25

18.28

20.53

23.01

25.78

28.85

약물 전달 장치

8.96

9.85

10.67

11.00

11.44

11.99

12.56

13.17

13.81

14.53

15.28

치과 기기

3.02

3.79

3.79

4.13

4.48

4.90

5.31

5.74

6.18

6.65

7.15

기타 의료 기기

120.76

125.41

103.07

106.98

112.01

118.01

122.92

127.26

132.25

167.67

143.09

총계

297.54

316.79

310.79

327.44

346.34

368.77

389.23

409.86

431.6

455.33

480.08

[자료: Statista Market Insights]


<요르단 정형외과용 기기 시장 규모 (2016~2030년)>

(단위: US$ 백만)


[자료: Statista Market Insights]


주재국 수입 동향 및 대한 수입 규모


2024년 요르단의 정형외과 기기(HS 902110) 수입액은 약 732만 달러로, 전년 대비 22.8% 감소했다. 미국은 전년 대비 -18.4%, 중국은 -15.4%, 독일과 스위스는 각각 -30.6%, -17.0% 감소하며, 주요국에서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반면, 인도는 약 53만 달러를 기록해 전년 대비 36.1% 증가했다. 한국은 2022년 약 22만 달러, 2023년 약 43만 달러, 2024년 약 48만 달러로 꾸준한 증가세를 기록 중이다. 2024년은 전년 대비 11.8% 성장해 요르단 전체 수입의 6.6%를 차지했다.

 

<최근 3년간 요르단 정형외과 기기(HS 902110) 주요 수입 국가>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금액

비중

('24 기준)

증감율

('24/'23)

2022

2023

2024

1

미국

2,498

2,709

2,212

30.2

-18.4

2

중국

812

1,099

930

12.7

-15.4

3

독일

401

1,320

916

12.5

-30.6

4

스위스

948

796

660

9.0

-17.0

5

튀르키예

465

729

559

7.6

-23.3

6

인도

452

391

532

7.3

36.1

7

한국

217

433

484

6.6

11.8

8

프랑스

481

554

337

4.6

-39.1

9

이탈리아

100

260

217

3.0

-16.4

10

대만

197

313

156

2.1

-50.1

합계

7,310

9,475

7,315

100.0

-22.8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10.1.] 


경쟁 동향


요르단 내 정형외과 기기는 거의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현지 생산 역량은 극히 제한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다. 현지 바이어에 따르면, 시장에서 가장 강력한 경쟁력을 보유한 국가는 미국, 독일, 스위스 기업들이다. 이들 국가는 이미 임플란트, 보형물 등 분야에서 품질·안전성·혁신성 등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요르단의 주요 병원과 전문 클리닉 등 고급 시장을 사실상 장악하고 있다고 한다. 한편, 중국과 인도산 제품은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이들의 제품은 상대적으로 저렴해 공공조달 입찰에서 점점 더 많은 계약을 따내고 있으며, 비용 관리가 중요한 중저가 의료기관에서도 선호되고 있다고 전했다.


바이어에 따르면, 한국산 제품은 최근 수입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아직 시장 진입 초기 단계에 있어 미국·유럽 또는 중국 브랜드와 비교했을 때 시장 인지도가 충분히 확보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가격 대비 품질이 우수하다는 점이 강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사립병원과 전문 클리닉에서는 고가의 미국·유럽 제품을 대체할 수 있는 합리적 대안으로 한국산 기기를 점차 도입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향후 한국 기업들이 신뢰할 수 있는 현지 유통 파트너와 협력을 강화하고, 지속적인 사후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요르단 정형외과 기기 시장에서 점진적으로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요르단에 유통 중인 주요 정형외과용 기기 >

제품 (용도)

제조사

국가

사진

Wichita® Fusion Nail Surgical Technique

(중족-족근 관절 또는 족근-족근 관절의 관절 유합(arthrodesis)에 사용하는 내고정용 금속 핀(nail))

Stryker

미국

PALACOS® R+G – High-Viscosity Bone Cement with Gentamicin

(인공관절 삽입 시 임플란트를 뼈에 고정하는 데 사용)

Heraeus Medical

독일

Mecta-C System

(경추 디스크 질환이나 퇴행성 척추 질환 치료 시, 디스크 제거 후 뼈 이식재와 함께 삽입해 척추뼈의 안정성과 유합을 촉진)

Medacta

스위스

FLEX LOOP Endobutton with Adjustable Loop(전방십자인대(ACL) 또는 후방십자인대(PCL) 재건술 시, 인대 이식건(graft)을 대퇴골/경골에 고정하는 장치)

Siora Surgicals

인도

Neal Cast(유리섬유(Fiberglass) 또는 특수 레진 소재로 제작된 캐스트로, 전통적인 석고를 대신해 골절이나 손상 부위를 고정)

BL Tech

대한민국

[자료: Each Product website]


유통 구조


요르단에서 수입되는 의료기기(정형외과 기기 포함)는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유통 과정을 거친다. 대부분의 제품은 항공운송의 경우 암만의 퀸알리아 국제공항, 해상운송은 요르단 남부의 아카바 항을 통해 반입되며, 시장에 공급되기 전 반드시 요르단 식약청(JFDA)의 등록 및 승인을 받아야 한다. 승인을 받은 이후에는 현지의 전문 의료기기 유통업체를 통해 현지 시장에 유통한다. 이들 유통업체는 수입 절차, 창고 보관, 규제 준수, 마케팅, 그리고 사후 서비스 등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며, 기술적 지원과 안정적인 공급망 유지도 책임지고 있다.


유통되는 제품은 여러 경로를 통해 최종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공공병원에는 보건부 주관 입찰을 통해 납품되며, 사립병원과 전문 클리닉에는 직접 판매 방식으로 공급된다. 또한, 일부 기기 및 소모품은 약국이나 의료기기 소매점을 통해 일반 환자에게도 판매된다. 따라서 요르단 환자들은 병원과 클리닉을 통한 치료 과정에서 정형외과 기기를 접하거나, 규모가 작은 기기와 보조용품은 소매점을 통해 직접 구매할 수 있다.


관세율


요르단은 정형외과 기기에 대해 관세를 부과하지 않고 있으며, 단지 4%의 일반 판매세만 적용하고 있다. 특별 판매세는 부과되지 않는다. 따라서 총 세금은 4% 수준에 불과하다. 이러한 세제 구조는 수입 의료기기의 가격 경쟁력 확보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며, 외국 기업에 유리한 시장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요르단 정형외과 기기 관세율>

(단위: %)

관세율

일반 판매세

특별 판매세

합계

0

4

0

4

[자료: 요르단 관세청]


인증


요르단에서 정형외과 기기를 등록하기 위해서는 요르단 식약청(JFDA)에 다음과 같은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


<제출 서류 목록>

- CE 인증서 또는 FDA 인증서(CFG)의 공증 원본: 제품이 Class III에 해당할 경우 EC 전 품질 보증(Full Quality Assurance) 및 설계 심사(Design Examination) 문서

- 적합성 선언서(Declaration of Conformity)와 ISO 인증서

- CE 또는 FDA 인증이 없는 경우, 원산국과 더불어 스위스, 호주, 캐나다, 노르웨이, 영국 중 하나 이상의 국가에서 발급한 Free Sales Certificate

- 제조업체의 서명 및 날인된 성분 증명서

- 완제품 사양서(참조 번호 또는 날짜 기재 필수)

- 유통기한 및 보관 조건 관련 서류

- 시험 성적서(Certificate of Analysis), 생산일자, 유효기간, 로트번호(Lot number)가 명시돼야 함

- 시험 방법(Method of Analysis)에 대한 설명이 기재된 서류

- BSE/TSE(소해면상뇌증/전염성해면상뇌증) 관련 증명서(미감염 증명서)

- 내부 및 외부 라벨

- 사용설명서(Instruction for Use, IFU)

- 제품 카탈로그 등

[자료: 암만무역관 자료 정리]


시사점


요르단 정형외과 기기 시장은 2030년까지 거의 두 배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의료기기 산업 내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세부 분야 중 하나가 될 것으로 보인다. 고령 인구 증가, 근골격계 질환의 확산, 의료 인프라 현대화와 같은 이슈가 성장을 이끌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인근지 분쟁의 지속으로 인한 외상 및 외과적 치료 수요가 시장 성장을 더욱 가속화할 것이다. 


시장 경쟁 구도는 미국, 독일, 스위스의 프리미엄 제품이 고급 시장을 주도하는 가운데, 중국과 인도는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공공 입찰과 중저가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영향력을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요르단은 정형외과 기기를 포함한 의료기기의 수입 의존도가 매우 높은 구조를 보이고 있으며, 유통 또한 전문화된 현지 에이전트와 수입업체를 중심으로 이뤄진다.


바이어에 따르면, 한국산 제품은 아직 초기 진입 단계에 있으나, 가격 대비 품질의 우수성이 점차 인식되면서 사립병원과 전문 클리닉을 중심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요르단에서는 한국 중고차들의 높은 품질로 인해 전반적으로 한국산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매우 좋으며, 이는 우리나라 기업에 큰 장점이 된다. 요르단은 정형외과 기기에 대해 관세를 면제하고 있고, 일반 판매세 4%만 부과하므로 세제 측면에서도 우호적인 환경을 갖추고 있다.


한국 기업들은 신뢰할 수 있는 현지 유통사와의 전략적 협력 관계를 구축해 제품의 품질과 안전성을 강조하며, 경쟁력 있는 가격 정책을 병행한다면 요르단 시장 내 입지를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료: Statista, Global Trade Atlas, 현지 뉴스 및 바이어 인터뷰, KOTRA 암만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요르단 정형외과 기기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