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콜롬비아 축전지 시장동향
  • 상품DB
  • 콜롬비아
  • 보고타무역관 김민정
  • 2025-09-26
  • 출처 : KOTRA

콜롬비아 자동차 시장, 2024년 신차 등록 20만 대 돌파

콜롬비아 축전지 수입, 2024년 한국 수출액 1084만 달러로 92.7% 증가

콜롬비아 자동차 시장은 최근 경기 회복과 소비심리 개선에 힘입어 뚜렷한 반등세를 보이고 있다.  은 2023 186000였으나, 2024년 20만 대를 넘어섰다 2025년에도 8월까지 이미 전년도 수준에 근접했다. 특히 SUV 중심의 수요 확대와 정부의 친환경차 구입 및 사용 장려 정책은 자동차 보급률을 높이며 관련 부품 시장의 성장을 촉진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피스톤식 엔진 시동용 연산 축전지의 수요가 안정적으로 증가할 환경을 조성한다.

 

상품명 및 HS 코드

 

차량에 사용되는 피스톤식 엔진 시동용 연산 축전지는 HS 코드 850710에 해당한다.

 

시장동향

 

콜롬비아 자동차협회 Andemos(안데모스)의 2023~2025년 통계에 따르면, 콜롬비아의 신차 등록 건수는 2023년 18만6826대에서 2024년 201219대로 8% 이상 증가하며 반등세를 보였다. 2025년 1~8월만 해도 15만263대가 신규 등록돼, 전년 동기 수준을 상회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인구 1000명당 차량 수는 2023년 약 3.58대, 2024년 약 3.82대로 자동차 보급률이 실질적으로 확대된 것으로 평가된다.

 

<2023~2025년 콜롬비아 신규 차량 등록 건수>

(단위: 대)

2023

2024

2025년 1~8월

186,826

201,219

150,263

[자료: Andemos 통계 2025. 9. 19.]

 

차종별로 보면 SUV가 2023년 8만2765대에서 2024년 10만5011대로 약 27% 급증해 시장 성장을 견인했으며, 전체 등록 차량 중 점유율이 가장 높았다. 반면 일반 승용차는 5만6772대에서 5만4649대로 소폭 감소했고, 픽업트럭과 대형, 중형 트럭도 감소세를 보였다. 택시, 승합차, 버스, 구급차 등 특수, 상업용 차량은 전체 시장에서 작은 비중을 유지했지만, 안정적인 수요를 유지했다.

 

<2023~2024년 콜롬비아 차량 종류별 신규 등록 건수>

(단위: 대)

차량 종류

2023

2024

SUV

82,765

105,011

일반 승용차

56,772

54,649

픽업트럭

17,400

15,009

10.5톤 미만 소형, 중형 트럭

12,210

11,171

택시

4,894

5,299

승합차

3,546

3,514

트랙터 트럭

2,581

1,904

10.5톤 이상 대형 트럭

2,501

1,568

소형 버스

807

811

대형 버스

1,227

796

구급차

519

506

덤프트럭

855

483

중형 버스

256

363

사륜 오토바이, 소형 사륜차

493

135

[자료: Andemos 통계 2025. 9. 19.]

 

이러한 추세는 콜롬비아에서 SUV 중심의 소비 패턴 변화, 중앙은행 금리 인하, 최저 임금 상승, 소비심리 개선 등 거시경제 환경이 회복됨과 동시에 정부의 친환경차 장려 정책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판단된다.

 

콜롬비아 축전지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GTA 통계에 따르면, 2024년 콜롬비아에 축전지를 최다 수출한 국가는 중국으로 수출액 1877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전체에서 26.5%의 시장 점유율을 보였다. 그 이후로 베네수엘라는 2024년 1780만 달러를 수출했으며 25.1%의 점유율을 보였다. 


한국은 2024년 1084만 달러를 수출하면서 전체 3위를 차지했다. 특히 한국의 축전지 수출 규모는 2023년 대비 2024년 92.7% 증가하면서 수출 상위 10개국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한편 베트남의  2024년 점유율은 1.5%  , 2023  2024년 수출액이 79.2% 증가하며 콜롬비아 수출 규모를 확대하고 있다. 

 

<콜롬비아 축전지(HS코드 850710) 수입규모>

(단위: US$ , %)

순위

국가

2022

2023

2024

2024년 점유율

2023년 대비 2024년 증감률

총계

54,179

47,958

70,868

100

47.8

1

중국

16,488

13,991

18,774

26.5

34.2

2

베네수엘라

8,821

12,254

17,807

25.1

45.3

3

한국

6,438

5,629

10,848

15.3

92.7

4

멕시코

4,894

3,851

6,028

8.5

56.5

5

미국

5,132

2,732

4,421

6.2

61.8

6

에콰도르

3,289

2,851

4,047

5.7

41.9

7

슬로베니아

1,737

1,445

1,893

2.7

31

8

브라질

1,996

1,307

1,810

2.6

38.5

9

독일

1,576

1,653

1,286

1.8

-22.2

10

베트남

992

593

1,062

1.5

79.2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 9. 16.]

 

경쟁동향

SICEX 통계에 따르면 콜롬비아에서 축전지를 유통하는 기업은 Acumuladores Duncan C.A., Haohong Industrial Ltd., Robert Bosch GmbH가 있다. Acumuladores Duncan C.A. 라는 기업은 베네수엘라에 본사를 두고 자동차 및 산업용 납축전지를 유통한다. Haohong Industrial Ltd. 는 중국을 기반으로 납축전지를 공급하며, 상대적인 가격 경쟁력에서 강점을 드러낸다. Robert Bosch GmbH(로버트 보쉬)는 독일 기업으로 자동차 부품을 비롯해 여러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다양한 제품군을 유통한다는 특징이 있다.

 

<콜롬비아 내 자동차 축전지 유통 기업>

(단위: US$, %)

기업명

2024년 전체 FOB 가치

2024년 점유율

대표 상품 및 설명

Acumuladores Duncan C.A.

17,605,019

25.9

- 베네수엘라를 기반으로 자동차 및 산업용 납축전지를 생산, 유통하는 기업

- 차량 시동용 배터리와 저장용 축전지 등 고품질 전원 솔루션을 제공

- 전국적인 판매점과 서비스 네트워크를 운영해 빠른 교체 및 유지보수를 지원

Haohong Industrial Ltd.

5,988,212

8.8

- 중국에 본사를 둔 배터리 제조, 수출 기업

- 납축전지와 리튬이온 배터리, 배터리 충전기 등 다양한 전원 장치를 글로벌 시장에 공급

- 자동차, 산업용 에너지 저장 솔루션 분야에서 경쟁력 있는 가격과 안정적인 품질로 중남미와 북미를 포함한 여러 지역에 제품을 유통

Robert Bosch GmbH

3,367,335

4.9

- 독일에 본사를 둔 세계적 엔지니어링, 기술 기업

- 자동차 부품, 전동공구, 가전제품, 에너지 및 빌딩 기술 등 폭넓은 제품군을 보유

- 전 세계 서비스 네트워크와 현지 기술 지원을 통해 대형 에너지, 산업 프로젝트와 운송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포괄적 솔루션을 제공

[자료: SICEX,KOTRA 보고타무역관 자료 종합 2025. 9. 18.]

 

유통구조

 

콜롬비아에서 축전지를 유통할 때 일반적으로 제조사, 수입업체가 브랜드를 보유하거나 계약된 배터리를 완제품 또는 현지 조립 형태로 공급한다. 이러한 업체들은 도매업체, 지역 유통업체에 대량 판매하며, 도매업체는 창고 운영과 물류를 관리해 전국 판매망을 담당한다. 이후 자동차 부품점, 배터리 전문점, 서비스 센터, 온라인 판매 채널을 통해 최종 소비자에게 공급되는 구조로 볼 수 있다. 서비스, 애프터 서비스 단계에서는 설치, 교체, 보증 등이 이뤄지며, 사용 후 배터리는 폐전기전자제품(RAEE) 관리 시스템을 통해 회수, 재활용된다.

 

관세율

 

HS 코드 850710 품목의 콜롬비아 일반 관세율은 10%이지만, 한국산 제품의 관세율은 한-콜 FTA 혜택으로 단계적으로 인하돼 2022년 1월 1일부터 0% 관세율이 적용되고 있다.

 

인증

 

콜롬비아로 납축전지를 연간 300개 이상 수출, 유통하려는 한국 기업은 전기전자제품 생산자, 유통업자 등록(RPCAEE)을 반드시 이행해야 한다. 이 제도는 콜롬비아 상공부의 Resolución 480 de 2020 및 Circular 9 de 2021을 근거로 한다. 이것을 위해 먼저 세무 등록(RUT)과 기업 등록(RUE) 및 상업 등기(Registro Mercantil)를 구비한 후 단일 무역창구(VUCE)에서 디지털 서명으로 신청서를 제출해야 한다. 신청서 제출 시 최근 3년간의 수입, 생산, 수출 이력과 폐전기전자제품(RAEE) 관리 시스템 보유 여부 등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야 하며, 등록은 매년 5월 2일부터 10월 31일 사이 갱신한다. 이후 콜롬비아로의 축전지 수출, 유통을 중단할 경우, 반드시 단일 무역창구를 통해 등록 취소를 요청해야 하는 점을 검토해야 한다.

 

반면 콜롬비아 납축전지 수입업체는 사용 후 배터리 회수, 관리 계획을 환경부에 제출, 승인받아야 한다. 또한, 매년 3월 31일까지 전년도 활동에 대한 갱신, 성과 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이는 Resolución 372 de 2009 및 Resolución 1343 de 2020을 근거로 하며 2025년 12월 31일까지 유효하다.

 

통관

 

콜롬비아에 축전기를 수출하려면 한국 기업은 일반적인 정식 통관 절차를 준수해야 한다. 필수 서류로는 상업송장, 패킹리스트, 선하증권, 수입신고서, 수입자 등록증 등이 있으며, 제품의 성격이나 현지 세관의 추가 요구에 따라 추가 문서가 필요할 수 있다.

 

시사점

 

한국산 축전지는 한-콜 FTA로 무관세 혜택을 누리며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지만, 시장 진입 시 환경 규제 및 유통 절차를 철저히 준수할 필요가 있다. RPCAEE 등록, 사용 후 배터리 회수, 관리 계획 등 환경부가 요구하는 의무를 수행하지 않을 경우 제재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중국과 베네수엘라 업체들이 가격과 현지 유통망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어 차별화된 서비스 전략이 요구된다. 우리 기업은 단순한 수출 확대에 그치지 않고 현지 파트너십 강화와 애프터서비스 네트워크 구축, 친환경차 전환에 대응한 기술 개발 등을 통해 장기적 시장 입지를 공고히 할 필요가 있다.

 


자료: GTA, Legis Arancel Electrónico, SICEX, Andemos, DANE, Pexels, KOTRA 보고타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콜롬비아 축전지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