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빵순이(面包脑袋) 경제의 부상 : 중국 베이커리 시장 트렌드 분석
  • 트렌드
  • 중국
  • 광저우무역관
  • 2025-09-22
  • 출처 : KOTRA

2026년 중국 베이커리 시장 규모 7131억 위안 돌파 전망

저당·저지방·고식이섬유 제품 선호, 건강 지향 소비 흐름 강화

중국 정부, 식품안전·위생 규제 강화로 산업 구조 고도화 촉진

중국 소비시장에서 베이커리 분야는 트렌드 변화 속도가 가장 빠른 분야 중 하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SNS에서는 지역별 왕홍(网红) 베이커리 리스트와 행사 소식이 실시간으로 공유되며, 각지의 유명 매장을 직접 찾아가거나 택배로 주문해 맛보는 등 빵에 진심인 빵순이(面包脑袋)를 쉽게 볼 수 있다. 2025년 상반기에는 버터떡(黄油年糕)이 전국적인 열풍을 일으켰고, 하반기에는 옥수수 에그타르트(玉米蛋挞)가 하루 수천 개씩 판매되는 등 많은 주목을 받았다.

 

또한, 제로슈거·저지방·글루텐 프리와 같은 건강 지향 제품과 샘스클럽(山姆허마(盒马) 등 대형마트 베이커리에 대한 수요도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이처럼 최근 중국 베이커리 시장은 건강과 가성비를 중시하는 소비 흐름이 뚜렷해지고 있다.


시장 현황


중국 베이커리 시장은 최근 몇 년간 빠른 성장세를 보였으며, 2024년에는 소매 시장 규모 6110억7000만 위안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8.8% 증가한 규모로, 다른 전통 식품 산업보다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EO Intelligence의 전망에 따르면, 2026년 시장 규모는 7000억 위안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베이커리 시장 규모>

(단위: CNY 억)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ip_image00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7pixel, 세로 313pixel

[자료: EO Intelligence(亿欧智库)]

 

중국에서는 오랫동안 베이커리가 주식(主食)이 아닌 간식·부식()으로 인식돼 왔기 때문에, 선진국에 비해 1인당 소비량은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그러나 소후(SOHU)에서 발표한 <2024~2025년 중국 베이킹 식품 업계 현황 및 트렌드 연구 보고(2024-2025年中国烘焙食品行业现状及趋势研究报告)>에 따르면, 최근 중·고소득층이 주요 소비층으로 부상하고(55.8%), 소비자의 90.6%가 주 1회 이상 베이커리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 습관이 자리 잡으면서 중국 베이커리 시장은 높은 성장 잠재력을 지닌 분야로 부각되고 있다.


<베이커리 구매 시 주요 고려 요소>

(단위: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ip_image005.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55pixel, 세로 415pixel

[자료: CNAGRI(艾格农业)]

 

생활 수준의 향상과 함께 건강에 대한 관심도 꾸준히 높아지면서 식품을 구매할 때 역시 단순히 맛이나 풍미에 국한되지 않고, 안전성과 건강을 더 중시하는 경향이 확대되고 있다. 베이커리 분야에서도 소비자들은 저당·저지방·고식이섬유 등 제품의 영양, 원재료 품질을 점점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다.

 

경쟁 동향


젊은 세대가 주요 소비층으로 떠오르면서, 전통적 소규모 생산에서 벗어나 품질과 브랜드, 제품 혁신을 중시하는 산업 구조로 재편되고 있다. 대형 기업들은 공급망을 통합 관리하고 브랜드 운영을 강화하며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지역 기반 기업들은 독창적인 전략으로 틈새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이처럼 중국 베이커리 시장에는 오랜 전통을 지닌 브랜드부터 새롭게 떠오른 혁신 브랜드, 그리고 음료·외식업계에서 진출한 크로스오버 브랜드까지 다양한 기업들이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중국 베이커리 브랜드 현황>

종합 식품 브랜드

(다품목 식품 생산)

전문 베이커리 브랜드

(베이커리 제품 생산 주력)

크로스오버 브랜드

(외식·프랜차이즈 기반)

사전포장 제품 제조 브랜드 (预包装品牌)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clip_image034.pn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06pixel, 세로 192pixel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clip_image019.pn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78pixel, 세로 64pixel

OREO

XUAN MA(轩妈)

HEYTEA(喜茶)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clip_image009.pn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32pixel, 세로 65pixel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clip_image021.pn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5pixel, 세로 91pixel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clip_image036.pn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39pixel, 세로 140pixel

Xu Fuji(徐福记)

Toly Bread(桃李面包)

lucking coffee(瑞幸咖啡)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clip_image022.pn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58pixel, 세로 152pixel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clip_image038.pn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65pixel, 세로 55pixel

Dali Foods达利食品

Mankattan曼可顿

wagas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clip_image013.pn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10pixel, 세로 76pixel

매장 제조형 브랜드

现制烘焙品牌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clip_image040.pn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0pixel, 세로 81pixel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clip_image030.pn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54pixel, 세로 118pixel

Panpan Foods(盼盼食品)

Bao’s Pastry(鲍师傅糕点)

LELECHA(乐乐茶)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clip_image017.pn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71pixel, 세로 49pixel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clip_image028.pn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33pixel, 세로 60pixel

ORION(好丽友)

Bread Talk(面包新语)

BAKER & SPICE

[자료: Food Data Link(数食主张)]

 

중국 베이커리 산업은 건강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제품군에서 건강 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기업들은 이러한 추세에 맞춰 연구개발과 특수 원재료 확보에 적극 투자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환 과정은 기업들의 비용 부담과 기술적 한계라는 현실적인 제약이 뒤따른다. 업계 전반에서도 기업 간 협력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많은 기업들은 경영전략을 효과적으로 전환하기 위해 기술 혁신과 소비자 인식 제고를 핵심 과제로 삼고 있다.

 

관련 정책


최근 중국 정부는 건강식품 시장의 성장과 품질 향상을 지원하고, 관련 기술 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발표하고 있다. 또한, 식품 안전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아지면서 규제 수준도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으며, 관련 기준과 절차 역시 점차 엄격해지고 있다. 이는 업계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결과적으로는 산업 구조 개선과 품질 제고를 촉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베어커리 관련 식품산업 정책>

발표

시기

정책명

주요 내용

2025.3

사전 포장식품 라벨링 원칙

(GB 7718-2025)

(包装食品标签)

- 라벨 표기 및 소비자 정보 투명성 강화(알레르기 유발성분 표기 강화, QR 등 디지털 라벨 방식 추가)

- 수입 식품 관련 표시 요건 강화(수입 사전포장 식품에 중국어 표기 필수원산지 및 수입업체 정보 등 명시 요건 강화)

2025.2

식품안전 국가표준

식품첨가제 사용 국가표준

(GB 2760-2024)

(食品安全准食品添加使用)

- 과거 허용됐던 일부 첨가물 사용을 일부 식품군(·과자·전분 제품 등 7) 대상 금지

- 첨가제 사용량 상한선 조정

2024.9

식품안전 국가표준 식품 접촉용

플라스틱 재료 및 제품

(GB 4806.7-2023)

(食品安全准食品接用塑料材科及制品)

기존의 플라스틱 수지 및 플라스틱 제품 관련 기준을 통합하고, 전분 기반 플라스틱과 열가소성 탄성체를 새롭게 포함

‘플라스틱 재료’와 ‘플라스틱 제품’의 개념을 명확히 구분하여, 원재료 단계부터 최종 제품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식품안전 관리 범위에 포함

- 안전성·위생성에 대한 기술 기준 강화(허용 가능한 수지 및 첨가제 목록이 개정)

- 라벨 표시 요건 및 기술 시험 방법 강화

2022.8

식품안전 표준 및 모니터링·평가 

145개년 계획

(食品安全与监测评十四五规划)

- 식품 안전 표준 강화: 오염물질, 병원성 미생물, 식품첨가제, 라벨링 등 표준 개정·보완, 국제 표준 제정 참여 확대무역 파트너국 규제 DB 구축

- 위험 모니터링·평가 강화: 식품 중 오염물·독소, 식원성 질환 전수 모니터링

[자료: EO Intelligence(亿欧智库), QIANZHAN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산업체인


중국 베이커리 산업의 업스트림은 밀가루, 효모, 유지, 유제품, 설탕, 소스류 등 주요 원재료를 생산·공급하는 업체들로 구성된다. 대표적으로 효모는 ANGEL(安琪酵母, 제빵용 효모 분야), 유지류는 NAMCHOW(南侨食品, 제과용 유지 분야)가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다.

 

미드스트림은 베이커리 제품을 생산하는 대형 공장·전문 베이커리 기업·매장형 제과점으로 구성된다. TOLY BREAD(桃李面包), PANPAN FOODS(盼盼食品), LIGAO FOODS(立高食品) 등은 대규모 가공공장을 운영하며, 표준화·규모화를 통해 생산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반면, HOLILAND(好利来), HOT CRUSH(趁热集合) 같은 매장 직영형 브랜드는 제품 신선도와 프리미엄 이미지를 강조해 차별화된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중국 베이커리 시장 미드스트림 주요 기업>

묶음 개체입니다.

묶음 개체입니다.

TOLY BREAD(桃李面包)

PANPAN FOODS(盼盼食品)

묶음 개체입니다.

HOLILAND(好利来)

HOT CRUSH(趁热集合)

[자료: 기업별 공식 홈페이지]


다운스트림은 생산된 제품을 최종 소비자에게 유통하는 단계로, 오프라인 매장, 대형마트, 편의점, 전자상거래 플랫폼 등이 포함된다. 오프라인 매장에는 베이커리 전문점과 샘스클럽(山姆허마(盒马) 같은 대형 유통채널이 있으며, 최근 차(커피 전문점 혹은 외식업체에서도 베이커리를 판매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동시에 티몰, JD닷컴 등 이커머스 비중도 빠르게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전통 명절과 대형 쇼핑 페스티벌 기간에 택배를 통한 온라인 구매가 급증하는 추세다.

 

중국 소비자들은 구매 과정에서 샤오홍슈(小红书), 더우인(抖音), 따종디엔핑(大众点评) SNSKOL(왕홍) 리뷰를 적극적으로 참고하는 경향이 있다. 이로 인해 디지털 플랫폼은 단순한 판매 창구를 넘어 브랜드 인지도 제고, 신제품 홍보, 소비 트렌드를 주도하는 핵심 채널로 자리 잡고 있다.

 

시사점 및 전망


최근 중국 베이커리 산업은 달고 기름지고 칼로리가 높은 빵에서 저당·저지방·저염·고식이섬유를 강조하는 건강 지향형 트렌드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소비자들은 당()이 건강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성을 인식하기 시작했고, 이에 따라 당 섭취를 조절하려는 경향이 확산되고 있다. 동시에 저GI 식품에 대한 이해도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혈당 관리에 민감한 소비자가 주요 수요층으로 부상하고 있다.

 

기업들은 이러한 변화를 반영해 대체 감미료 활용, 식이섬유 강화, GI 원료 사용, 생산 공정 개선 등 다양한 제품 혁신을 시도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정제 탄수화물 사용을 줄이기 위해 통곡물·잡곡을 활용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며, 설탕 대신 혈당 반응이 낮은 천연 대체 감미료 사용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식이섬유·단백질을 함께 배합해 전분 소화 속도를 늦추고 GI 지수를 낮추는 기술도 적용하고 있다.

 

실제로 한 베이커리 브랜드 우(伍) 대표(代表)는 KOTRA 광저우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소비 수준이 향상되면서, 소비자들은 단순히 맛뿐 아니라 원료와 영양에도 주목하고 있다. 우리 회사는 이러한 트렌드에 맞춰 건강 원재료 기반의 제품을 출시하며 소비자 수요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이처럼 중국 베이커리 기업들이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에 맞춰 혁신을 추진하듯, 우리 기업도 건강과 품질을 중시하는 소비 흐름과 강화되는 식품 안전·위생 규제를 충분히 이해하고 이에 기반한 전략적 대응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자료: China Food Newspaper(中国食品报), All-China Bakery Association(全联烘焙业工会). Food Data Link(数食主张), iiMedia Research(艾媒咨询), EO Intelligence(亿欧智库), QIANZHAN 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CNAGRI(艾格农业), KOTRA 광저우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빵순이(面包脑袋) 경제의 부상 : 중국 베이커리 시장 트렌드 분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