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광섬유 시장 동향
- 상품DB
- 미국
- 실리콘밸리무역관 FrankYim
- 2025-08-26
- 출처 : KOTRA
-
AI 시대의 방대한 정보전달을 위한 광섬유
광학/광통신 전시회를 활용한 수출 확대의 기회
상품명 및 HS Code
광섬유는 지름 0.125mm 정도의 가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 섬유로, 빛의 전반사 원리를 이용해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경해 먼 거리까지 전송할 수 있는 매체이다. 광섬유는 대용량 정보를 빠르고 안정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기존의 구리선 기반 통신망이 전송 속도와 대역폭의 한계에 도달한 이후 더욱 널리 사용된다. 정보처리가 더욱 신속한 송신을 필요로 하면서 광섬유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적용분야가 더욱 확대되는 추세이다. 또한, 부피와 무게가 적고 외부와의 간섭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어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에도 데이터 센터나 고속 통신망 등 대량의 정보 처리가 필요한 분야에서 필수적으로 채택되고 있다. 기본적인 광통신 시스템은 광섬유와 함께 신호 변환기와 발신기 등으로 구성돼 기본 시스템이 수요에 따라 확장되면 서버 등의 통신 장비와 함께 데이터 센터를 이루게 된다.
HS Code 9001.90에는 광섬유와 광섬유 다발 그리고 제8544호(전기 절연이 포함된 광섬유 케이블) 외의 광섬유 케이블이 포함된다. 이 외에 렌즈, 프리즘, 거울 및 기타 광학 제품도 포함된다.
<광섬유 제품(싱글모드)>

[자료: Corning]
시장 동향
통신 기술은 지난 30여 년 동안 꾸준한 발전을 이뤄왔다. 인터넷과 모바일 기기, 클라우드컴퓨팅시대를 거쳐 현재는 에지 컴퓨팅과 인공지능(AI) 시대로 접어들었다.
이에 따라 데이터 트래픽의 양이 급격히 증가해 전송 용량과 속도 모두에서 기존 구리선 기반 전송망이 한계에 도달했다. 구리선 전송망의 속도가 수십 Gbps 수준에 머무는 반면에 광섬유는 수백 Gbps에서 수 Tbps까지 지원할 수 있어 광섬유 수요는 빠르게 확대된다.
광섬유는 구조와 재질에 따라 싱글모드(OS2), 멀티모드(OM10-OM5), 플라스틱, 유리, 장갑형, 굴곡무감각형 등으로 구분된다. 싱글모드는 직경이 약 9um로 장거리 전송에 적합하다. 멀티모드는 직경이 50/62.5um로 수백 m까지 중거리 전송에 사용된다. 플라스틱 광섬유는 단거리 전송에 적합하고 장갑형과 굴곡무감각형 광섬유는 특수하고 열악한 환경에서 활용된다.
시장 조사 기관인 Business Research Company의 광섬유 시장 분석에 따르면, 전 세계 광섬유 시장규모는 2024년 79억 달러에서 2025년에는 86억 달러로 성장해 연간 9.5% 성장을 기록할 전망이다. 2029년에는 전체 시장이 123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FTTH(Fiber-To-The Home) 확대, 인터넷 수요 증가, 온라인 거래 확대, 데이터 센터 확충 등의 요인에 기인한다. 향후에는 광섬유 부품 가격의 감소, 생물의학, 우주 탐사와 위성통신, 온라인 및 원거리 교육 분야가 추가 성장 동력으로 적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세계 광섬유 시장 규모 전망>
(단위: US$ 십억)

[자료: Business Research Company]
미국 광섬유 시장은 2023년 14억6000만 달러에서 해마다 4.4% 성장을 지속해 2030년에는 19억7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2023년 기준으로는 멀티모드 제품이 가장 큰 매출을 기록했고 향후에는 플라스틱 광섬유가 가장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U.S 광섬유 시장 변화 및 예측(2017년-2030년)>

[자료: Horizon Grand View Research]
광섬유 시장은 2023년 기준으로 2030년까지 총 44억 달러 규모의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 중 의료서비스 분야에서 약 12억 달러로 가장 큰 성장을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 다른 분야로는 통신/IT 가 8억 달러, 우주항공/방산이 6억 달러, 제조가 5억 달러, 에너지가 6억 달러, 공공사업이 4억 달러, 기타가 3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별 광섬유 시장 성장 규모(2023년-2032년)>

[자료: Allied Market Research]
AI 기술의 발전을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센터에는 광섬유와 관련 부품 그리고 장비들이 사용되고 있어 주요한 수요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데이터센터에서 운영하는 서버, 스위치 등 통신 및 컴퓨팅 장비들을 연결하는 패치 케이블과 네트워크 케이블은 광섬유와 커넥터로 구성돼 있다.
미국 내 데이터 센터의 성장을 통해 광섬유 케이블 제품의 수요를 간접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데, 미국 데이터센터 시장은 2023년 563억 달러에서 2025년에는 690억 달러, 2033년에는 1565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데이터센터 시장 규모(2023년-2033년)>

[자료: Vision Research Reports]
수입 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2024년 미국의 HS Code 9001.90 전체 수입액은 6억14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약 1.1% 감소했으며 2022년 6억2400만 달러에서 지속적인 감소추세를 보였다. 최대 수입국인 중국산 제품의 작년 수입액은 약 1억2800만 달러로 전체 수입의 21.0%를 차지했다. 중국 다음으로는 독일과 일본이 각각 1억800만 달러와 1억200만 달러 규모로 전체 시장의 17.6%와 16.7%를 차지했다.
한국의 대미 수출은 2022년 1700만 달러에서 소액 증가해 2024년에는 1800만 달러를 달성했다. 이는 2023년 대비 6.9% 감소한 수치이며, 전체 수입액 중에서는 2.9%를 차지했다. 광섬유 같은 경우 전반적으로 한국산 비중이 매우 낮은 품목이지만 향후 베트남과 싱가포르 등과의 경쟁에서 상대적으로 관세 우위에 있어 시장 점유율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2024년 기준 중국과 한국의 수출이 전년대비 10.6% 와 6.9% 감소한데 반해, 대만의 수출은 59.9% 로 크게 성장한 사실도 주목할 만 하다.
<2022년-2024년 미국 광섬유 수입동향 (HS Code: 9001.90)>
순위
국가명
수입규모 (US$백만)
비중(%)
증감률
2022년
2023년
2024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3년 대비)
-
총계
624
620
614
100.0
100.0
100.0
-1.6
1
중국
162
144
128
25.9
23.2
21.0
-10.6
2
독일
104
107
108
16.7
17.3
17.6
0.4
3
일본
85
107
102
13.6
17.3
16.7
-4.7
4
싱가포르
44
35
33
7.0
5.6
5.3
-5.0
5
베트남
34
35
32
5.5
5.7
5.3
-8.3
6
대만
22
18
28
3.5
2.9
4.6
59.9
7
이스라엘
25
21
22
4.0
3.4
3.7
6.4
8
캐나다
19
20
20
3.1
3.2
3.2
0.4
9
프랑스
17
17
18
2.7
2.7
3.0
7.0
10
한국
17
19
18
2.7
3.1
3.0
-6.9
[자료: Global Trade Atlas(2025. 8. 10.)]
경쟁 동향
미국 시장에 광섬유 제품을 공급하는 업체들은 매우 다양하다. 광섬유를 처음 개발한 미국의 코닝사가 2025년 기준 광섬유 시장의 약 10.4%를 점유하고 있으며, 여전히 산업계의 표준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 외에 일본의 OFS(Furukawa) 와 AFL(Fujikura)사는 특별한 기능과 시장을 대상으로 하는 제품 개발로 차별성을 강조해 광섬유 시장에서 확고한 위치를 확보했다. Comm Scope사는 미국 내 광섬유 케이블 제조 선두 업체다. Panduit사는 광통신 케이블 관리 시스템을 함께 제공하며 미국 내 5위에 자리잡고 있다. 또한, 한국의 LS전선과 대한통신, 그리고 다수의 중국 업체 등이 미국 시장에 광섬유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10대 광섬유 제품 제조사>
공급업체
홈페이지
광섬유
광케이블
Corning Inc.
통신, 데이터 전송, 생명과학, 디스플레이
열악한 환경과 온도변화 및 굴곡에 저항
Panduit
X
미국 내 5위
신뢰도와 확장성
Comm Scope
X
미국 내 1위
데이터센터, 건물내 솔루션
Superior Essex
통신, 전력, 건물
내후성, 친환경
AFL(Fujikura)
양자컴퓨터, 군사
파장분할 다중화(WDM)
Prysmian
X
내화제품, 잠수함 전력, 유럽
OFS Optics
(Furukawa)
초저손실 소재
장거리, 밀도와 내구성
(통신망, 자연재해)
Remee Wire
& Cable
X
통신, 스마트홈
Incab America
X
통신, 에너지, 공공서비스
[자료: KOTRA 실리콘밸리 무역관 정리]
<미국 내 광케이블 제조사 현황>
Comm Scope
미국 내 1위
L-com
미국 내 2위
OTS Cable
미국 내 3위
Standard Wire & Cable Co.
미국 내 4위
Panduit
미국 내 5위
[자료: KOTRA 실리콘밸리 무역관 정리]
유통 구조
1. 통신 및 영상 장비 등에 사용되는 광섬유는 성능과 품질에 대한 관리를 위해 관련 장비를 개발하는 OEM사가 제조사로부터 직접 구매하는 것이 가장 보편적이고, 대형 구매가 이루어진다.
2. 데이터 센터 등 시설 운영 업체의 경우, 관련 장비 설치와 관리를 위해 Panduit와 같은 솔루션 공급업체를 통해 장비업체가 지정한 제품을 구매한다.
3. R&D 혹은 소비자용 일반 제품의 소량 구매는 다양한 전자통신 제품 유통업체를 통해 구매할 수 있다.
광섬유 제조업체의 신규 사업 발굴을 위해서는 OEM업체, 전문 유통 업체, 장비 및 시스템 공급 업체가 대상이며, 제품 특성상 광통신 분야에 경험이 많은 전문 판매인을 통해 신규 거래를 추진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관세율, 인증 및 수입 규제
광섬유 수입 관련해 관세율은 기본적으로 없으나, 지난 8월 7일부터 수출국별 상호 관세가 시행되고 있으며, 한국에는 15%가 부과된다. 경쟁국인 중국은 30%, 대만은 20%의 관세가 적용되고 있어 상대적으로 낮은 관세를 지불하므로, 높은 생산단가에도 경쟁력 유지에 도움이 된다.
통신망에 사용되는 제품은 텔코디아(Telcordia, 현 Ericsson)에서 제정한 표준을 따라 신뢰도와 성능을 검증받아야 한다. 광섬유 관련 GR(Generic Requirements)표준 서류를 참조해 제품 개발과 생산에 반영하고, 각각의 전문 시험 기관을 통해 검증을 받아야 한다.
기타 수입 규제 관련 한국 제품에 대한 특별한 조치는 없으나, 국가 안보 차원에서 주요 하부구조에 사용되는 케이블은 중국산 사용에 대해 주의를 주고 있다.
이미 Huawei나 ZTE 등에서 제조된 통신 장비에 대한 규제가 이루어졌지만, 현재 중국산 케이블 등에 대한 규제는 없기에 한국 업체가 누리는 상대적인 혜택 또한 없는 상황이다.
시사점
FTTH 서비스 확대와 데이터센터의 성장으로 미국 내 광섬유 산업이 호황기를 맞고 있다.
향후 제품 수요가 통신/IT를 넘어 의료장비와 영상 분야에서도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므로 준비되고 검증된 한국업체들의 많은 활약을 기대한다. 이를 위해 해마다 개최되는 광학 전시회(Photonics West)와 광통신 전시회(Optical Fiber Conference) 참가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실제 다수 한국업체가 KOTRA와 광산업 협회의 지원으로 전시회에 참가해 신규 사업의 기회를 발굴해내고 있다.
그동안 저렴한 중국산 제품이 시장에서 활발하게 수입∙유통 됐지만 특별히 AI 산업을 안보분야로 규정하는 현 정부의 정책에 따라 미국 시장 진출이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한다. 다만 미국산 제품에 대한 선호에도 경쟁력을 갖춘 한국 제품에 대한 수요는 차선책으로 꾸준히 존재할 것으로 예측되므로 활발한 마케팅과 현지 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수출을 창출하는 것이 관건이다.
자료: Corning, Business Research Company, Horizon Grand View Research, Allied Market Research, Vision Research Reports, Global Trade Atlas, KOTRA 실리콘밸리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미국 광섬유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미국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시장동향
미국 2025-08-12
-
2
스웨덴 로봇산업, 국가의 성장동력으로 작동하다
스웨덴 2025-08-01
-
3
파키스탄 가전제품 시장, 경제위기 딛고 회복 조짐
파키스탄 2025-08-26
-
4
베트남 인쇄회로기판(PCB) 시장 동향
베트남 2025-05-19
-
5
남아공 모니터 시장 동향
남아프리카공화국 2025-08-22
-
6
中, 외국인 투자자 재투자 정책 발표
중국 2025-08-19
-
1
2025년 미국 화장품 산업정보
미국 2025-07-01
-
2
2025년 미국 조선업 정보
미국 2025-05-08
-
3
2024년 미국 반도체 제조 산업 정보
미국 2024-12-18
-
4
2024년 미국 의류 산업 정보
미국 2024-11-08
-
5
2024년 미국 가전산업 정보
미국 2024-10-14
-
6
2024년 미국 리튬 배터리 산업 정보
미국 2024-09-04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