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파노라마 카메라, 글로벌 브랜드를 넘어선 질주
- 트렌드
- 중국
- 광저우무역관
- 2025-08-25
- 출처 : KOTRA
-
AI·8K·모듈형 설계로 진화하는 중국 파노라마 카메라 기술 경쟁력
소비자 콘텐츠부터 산업 솔루션까지, 전방위 시장으로 확장 중
<파노라마 카메라 제품 및 활용 사례>




[자료: Insta360 공식 홈페이지]
초기에는 뉴스, 스포츠 중계, 영화 제작 등 전문 콘텐츠 제작에 주로 사용됐으나, 최근에는 브이로그, 반려동물 촬영, SNS 숏폼 영상 등 일상 콘텐츠 제작에도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특히 중국에서는 틱톡, 샤오홍슈 등 플랫폼을 중심으로 360도 파노라마 촬영 장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일반 소비자층에서도 빠르게 보급되고 있다.
<파노라마 카메라 산업 분류>

[자료: 화징산업연구원(华经产业研究院)]
최근 몇 년간 파노라마 카메라 기업이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며 시장 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중국 시장의 성장세가 두드러지며, 2024년 중국 파노라마 카메라 시장 규모는 12억3000만 위안에 달했고, 2025년에는 13억9000만 위안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파노라마 카메라 시장 규모>
(단위: CNY 억)

[자료: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파노라마 카메라 산업의 주요 성장 요인은 기술 혁신과 소비 트렌드 변화라고 할 수 있다. 고해상도 이미지 센서, 경량화 설계, AI 기반 자동 편집, 5G 실시간 스트리밍 등 다양한 기술이 적용되며, 전반적인 성능이 향상되고 있다. 최근에는 모듈형 설계, 공간 음향 녹음, 수중 촬영, 클라우드 기반 영상 편집 등 고급 기능까지 도입되며, 제품 사용 환경이 한층 더 다양해지고 있다.
소비자 측면에서는 스포츠·여행 분야에서의 몰입형 콘텐츠에 대한 관심 확대와 숏폼 중심의 1인 미디어 활동 증가가 파노라마 카메라 시장의 주요 성장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MZ세대를 중심으로 SNS 플랫폼에서 일상 기록과 콘텐츠 공유가 활발해지면서, 고화질·광각 촬영이 가능한 파노라마 카메라에 대한 활용도 역시 높아지고 있다.
경쟁동향
최근 몇 년 사이 중국 파노라마 카메라 시장은 GoPro 등 글로벌 브랜드 중심에서 중국 기업 중심으로 구조가 재편되고 있다. 글로벌 컨설팅사 Frost & Sullivan에 따르면, 중국 기업 Insta360은 2023년 기준 글로벌 파노라마 카메라 시장의 약 67.2%를 점유했으며, 2024년에는 81.7%(추정)까지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Insta360은 AI 기반 자동 편집 기능, 전방위 영상 촬영 기술, 손떨림 방지, 모듈형 설계 등 다양한 기술을 제품에 적용해 사용자 편의성과 영상 품질을 동시에 강화했다.
<중국 주요 파노라마 카메라 기업>
기업명
소개
Insta360
影石创新

ㅇ 파노라마 카메라 분야 선도 기업(2024년 글로벌 점유율 81.7%)
ㅇ 핵심 기술 : AI 기반 자동 편집, FlowState 흔들림 보정, 전방위 촬영, 모듈형 설계 도입
ㅇ 주요 제품 : ONE RS, X4/X5, Pro/Titan 등 다양한 소비자·전문 장비 라인업 보유
KANDAO
看到科技

ㅇ VR 영상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개발 전문 기업
ㅇ 핵심 기술 : Kandao Obsidian 시리즈는 최대 8K 실시간 VR 스트리밍 지원(자체 Kandao Live 8K 플랫폼과 함께 스포츠·회의·행사 등의 실감 콘텐츠에 활용)
ㅇ 주요 제품 : Obsidian, QooCam8K 산업용, KandaoMeeting 등
Z CAM
视觉科技

ㅇ 주로 전문가용 영상 제작에 특화
ㅇ 핵심 기술 : 빠른 고해상도 이미지 처리, 안정적인 촬영, 광범위한 장비 호환성을 바탕으로 방송·몰입형 콘텐츠 제작자 대상 솔루션 제공
ㅇ 주요 제품 : Z CAM S1 Pro와 V1 Pro는 주로 VR 콘텐츠에 특화, E2 라인은 영상 제작용 시네마 카메라, P2‑R1은 원격 PTZ 제어에 강점
Labpano
圆周率科技

ㅇ 360도 영상 전문 업체로, AI 영상 처리 기술을 기반으로 VR 콘텐츠, 산업용 스트리밍 및 내장형 시스템에 특화된 제품 라인업 보유
ㅇ 핵심 기술 : AI 기반 360도 스티칭 알고리즘과 Android 기반 스마트 OS를 통한 실시간 영상 처리 및 산업용 스트리밍에 특화
ㅇ 주요 제품 : PilotLock, PilotEra, PilotOne 등 파노라마 카메라 라인업 보유
[자료: 브랜드 공식 홈페이지 및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이와 함께 DJI는 최근 Osmo 360을 출시하며 본격적인 경쟁에 합류했다. 해당 제품은 8K/50fps 고화질 촬영, 듀얼 HDR 센서, 장시간 사용 가능한 배터리 등 고사양 기능을 앞세워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다.
전문가용 파노라마 카메라 시장에서도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Kandao(看到科技)는 3D 고해상도 라이브 스트리밍 기술을 기반으로 VR 촬영 장비 분야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Z CAM(视觉科技)은 안정적인 촬영 성능과 호환성을 내세워 몰입형 영상 제작에 강점을 보이고 있다.
중국 기업들은 기술력과 제품 다양성을 바탕으로 글로벌 파노라마 카메라 시장에서도 빠르게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Insta360, Kandao, Z CAM 등은 소비자 및 산업용 수요에 부합하는 프리미엄 제품을 지속적으로 출시하며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관련 정책
중국 정부는 파노라마 카메라 산업과 밀접한 소비자 전자제품 및 야외 스포츠 분야를 중심으로 디지털 소비 진작, 기술 고도화, 관련 인프라 확충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중국 파노라마 카메라 관련 정책>
발표시기
정책명
주요 내용
2025.1.
2025년 대규모 장비 교체 및 소비재 교체 확대 시행 통지
《关于2025年加力扩围实施大规消费品以旧换新政策的通知》模设备更新和
- 스마트폰 등 디지털 제품 구매 보조금 지원
- 단일 가격 6000위안 이하의 휴대전화, 태블릿, 스마트워치·밴드 등 디지털 기기 구매 시, 판매가의 15% 보조금 지급
- 제품당 최대 500위안, 제품군별 1인 1건 한정
2023.10.
야외 스포츠 시설 건설 및 서비스 수준 향상 행동계획(2023~2025)
《促进户外运动设施建设与服务提升行动方案2023-2025年)》
- 2025년까지 야외 스포츠 시설 확대 및 품질 제고
- 야외 스포츠 산업 총 규모 3조 위안 달성 목표
2023.7.
전자제품 소비 촉진에 관한 조치
《关于促进电子产品消费的若干措施》
- 전자제품 기술 혁신 및 소비 확대 지원
- 진입 장벽 완화 및 농촌 지역 보급 촉진
[자료: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시사점 및 전망
파노라마 카메라는 고화질 촬영, 자동 추적, AI 편집 기능 등 기술 고도화를 바탕으로 콘텐츠 제작뿐 아니라 산업 현장에서도 활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특히 교육, 의료, 스마트시티 등 실시간 영상 기반 솔루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관련 산업에서의 장비 도입 역시 점차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 스마트 영상기기 브랜드 I 사의 Liu 책임자는 KOTRA 광저우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소비자용 파노라마 카메라는 여전히 높은 가격과 콘텐츠 플랫폼과의 호환성 한계 등으로 인해 대중화에 제약이 있는 상황”이라며, “소비자들이 필요로 하는 간편한 조작, 자동 편집 기능, 적정 가격대 등의 요소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기술 혁신과 연구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관련 분야 진출을 고려하는 우리 기업은 AI 기반 자동 추적 기술, 고해상도 영상 처리, 콘텐츠 플랫폼 호환성 등을 중심으로 소비자용과 산업용 수요를 함께 아우를 수 있는 진입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자료: 화징산업연구원(华经产业研究院),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TMTPost (钛媒体), KOTRA 광저우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파노라마 카메라, 글로벌 브랜드를 넘어선 질주)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중국 핵심광물 몰리브덴 분말 2025년 수출 통제 강화, 대체 공급선 발굴해야
중국 2025-08-25
-
2
싱가포르 뷰티 디바이스 시장 동향
싱가포르 2025-08-25
-
3
독일 인스턴트 라면 시장동향
독일 2025-08-25
-
4
일본 콘텐츠 산업에서의 생성형AI 활용 현황과 트렌드
일본 2025-08-25
-
5
디지털 전환(DX)이 한창인 알제리
알제리 2025-08-25
-
6
일본 기초화장품 시장동향
일본 2025-08-25
-
1
2025 중국 치과산업 정보
중국 2025-09-10
-
2
2025년 중국 실버산업 정보
중국 2025-07-22
-
3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4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5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6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