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핵심광물 몰리브덴 분말 2025년 수출 통제 강화, 대체 공급선 발굴해야
- 트렌드
- 중국
- 톈진무역관
- 2025-08-25
- 출처 : KOTRA
-
Keyword #몰리브덴
'25년 中 몰리브덴 정광 생산량 및 수입액 전년 대비 소폭 증가
몰리브덴 분말 수출 통제에 따라 수요 기업의 조달 채널 조정 필요
중국 몰리브덴 시장은 철강, 신에너지 등 신·구 수요 증가에 따라 시장 규모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2025년 들어 몰리브덴 정광 수입액과 현지 생산이 늘어나지만, 가격 상승세가 유지됐다. 이와 동시에 몰리브덴 분말 등 수출을 통제하는 정책이 강화되면서 가격도 상승했다. 관련 제품을 취급하고 있는 우리 기업은 중국 몰리브덴 시장을 수시로 확인하며 공급 변화를 사전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2025년 중국 몰리브덴 시장 동향: 철강·신에너지·첨단 제조 등 수요 성장으로 시장 규모 확대
2025년 중국 몰리브덴 시장은 철강 산업을 중심으로 한 전통적 수요와 신에너지·첨단 제조 분야의 신규 수요가 동반 성장하면서 시장 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철강 분야에서는 316L 등 고급 스테인리스강과 친환경 전기로(EAF) 강재의 생산 확대로 몰리브덴 소비량이 전년 동기 대비 10% 증가하고 있다. 이와 동시에 2025년 풍력 터빈용 대형 베어링 소재 수요가 2만 톤으로 확대되는 등 몰리브덴에 대한 신규 수요가 부상하고 있다. 내식성과 강도가 요구되는 원자력·해양플랜트 등 산업용 첨단 소재 수요도 늘어나고 있다. 화경산업연구원(华经产业研究院)에 따르면, 2024년에는 몰리브덴 정광(HS Code: 261390)의 시장 규모가 465억 위안으로 2023년 480억 위안 대비 소폭 감소했으나, 2025년에는 시장 규모가 500억 위안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2022~2025년 중국 몰리브덴 정광 가격 추이>
(단위: CNY 억)

[자료: 화경산업연구원(华经产业研究院)]
2025년 들어 몰리브덴의 다운스트림 주요 사용 분야인 항공우주, 반도체, 태양전지 등에서 원료 수요가 늘어나면서 몰리브덴 분말(HS Code: 810210), 합금 등 몰리브덴 제품의 시장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중국의 항공기 엔진 국산화 추진이 가속되면서 터빈 블레이드 등 핵심 부품의 생산이 증가하고 있다. 고온 환경에서의 성능 향상을 위해 터빈 블레이드와 연소실 라이너에 도입되는 몰리브덴 합금의 수요량이 확대되고 있다. 2025년 중국산 여객기 C919 등 엔진 부품에 적용되는 TZM 합금 소비가 전년 대비 15% 증가해 8000톤 규모에 이를 전망이다. 또한,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에 따르면 2025년 3D NAND 메모리 제조용 스퍼터링 타겟 소비량이 전년 대비 35%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몰리브덴 백판 등 태양광 박막 배터리용 소재 시장이 120억 위안을 돌파할 것으로 분석했다.
2025년 중국 몰리브덴 생산 동향: 생산 소폭 증가, 상위 5대 기업의 생산량 비중 상승
2025년 중국의 몰리브덴 광산 설비 정비로 인한 생산 증가 폭은 크지 않았으나,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2025년 내몽골, 허난, 산시 등 주요 생산지의 광산 가동률이 전년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으며, 허난성은 전국 생산량의 30% 이상을 차지하며 최대 생산지로 부상했다. 반면, 내몽골과 산시성은 환경 규제 강화로 생산량이 소폭 감소했다. 몰도무역망(钼都贸易网)에 따르면, 2024년 중국 몰리브덴 정광의 생산 총량은 약 13만1200톤(순수 금속량 기준), 실물량(불순물 포함 광석)은 약 30만7000톤으로 전년 대비 8.9% 증가했으며, 2025년 생산량은 15만 톤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 외, 낙양몰리브덴(洛阳钼业)·진몰주식(金钼股份) 등 중국 상위 5개 기업이 전체 생산의 65%를 점유하며 시장 집중도가 심화하고 있다.
<중국 상위 5대 기업의 몰리브덴 정광 생산량 비중>

[자료: 화경산업연구원(华经产业研究院)]
중국의 반도체 및 첨단 소재 산업에서 원료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고순도(99.95% 이상) 몰리브덴 분말 등 제품 생산이 확대되고 있다. 예를 들어, 낙양몰리브덴(洛阳钼业)은 플라즈마 분무법과 수소 환원법을 활용한 초미세 입자(1μm 이하) 제어 기술을 핵심 발전 방향으로, 8억 위안(한화 약 1600억 원)을 투자해 5000톤 규모의 고순도 분말 전용 생산라인을 구축할 계획이다. 글로벌 시장에서 중국 몰리브덴 분말 생산기업의 점유율은 2025년 기준 42%에 달하며, 미국·일본 기업과의 기술 격차(5nm 이하 제품)를 극복하기 위해 R&D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몰리브덴 산업 사슬 흐름도>

[자료: 즈옌컨설팅(智研咨询)]
<현미경 하의 구형 몰리브덴 분말>

[자료: 분말야금기술(pmt.ustb.edu.cn)]
2025년 중국 몰리브덴 정광·분말 수출입 및 가격 동향: 분말 수출 통제 강화, 가격 상향 조정
2023년부터 중국의 몰리브덴 정광 수입액이 빠르게 늘어났으며, 주요 수입 대상국 순위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중국의 몰리브덴 정광 수입액은 2023년 7억300만 달러에서 2024년 10억38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47.8% 증가했다. 2025년 1~6월 수입액은 5억5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6.9% 늘어났다. 주요 수입 대상국 중 페루, 칠레, 미국 등 순위 변화는 없었으며, 중국의 대(對) 카자흐스탄 수입액만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3~2025년 6월 중국 몰리브덴 정광(HS Code: 261390) 수입액과 증감률>
(단위: US$ 백만, %)
순위
국가명
2023년 1~12월
2024년 1~12월
2025년 1~6월
수입금액
수입증감률
수입금액
수입증감률
수입금액
수입증감률
-
총계
703
53.0
1,038
47.8
505
26.9
1
페루
236
101.5
570
141.6
295
36.0
2
칠레
166
57.9
90
△45.6
50
71.8
3
몽골
99
15.9
96
△2.9
44
5.7
4
카자흐스탄
73
111.9
98
33.8
44
△15.3
5
미국
15
61.5
64
338.3
25
17.9
-
한국
0
-
0
-
0
-
[자료: 한국무역협회(kita.net)]
2025년 몰리브덴 분말 수출 통제가 강화되면서 수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하락했다. 2월 4일, 중국 정부는 몰리브덴 분말, 텅스텐 산화물 등 10여 종 제품과 관련 생산 기술 자료에 대한 수출 통제를 시행했다. 몰리브덴 함량(중량 기준) 97% 이상, 과립 크기 50×10⁻⁶m(50μm) 이하의 몰리브덴 분말(HS Code: 8102100001)을 수출하기 위해서는 중국 상무부의 이중용도 허가(两用物项出口许可)를 취득해야 한다. 이에 따라 2025년 1~6월 중국의 몰리브덴 분말 수출액은 73만6000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90.9% 하락했으며, 대(對) 한국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84% 감소한 12만2000달러로 집계됐다.
<2023~2025년 6월 중국 몰리브덴 분말(HS Code: 810210) 수출액과 증감률 >
(단위: US$ 천, %)
순위
국가명
2023년 1~12월
2024년 1~12월
2025년 1~6월
수출금액
수출증감률
수출금액
수출증감률
수출금액
수출증감률
-
총계
16,113
△31.5
17,511
8.7
736
△90.9
1
일본
9,049
△41.8
9,730
7.5
364
△90.7
2
한국
2,201
△27.4
1,762
△19.9
122
△84.0
3
오스트리아
0
-
0
-
115
-
4
미국
2,063
33.9
3,565
72.8
58
△97.6
5
프랑스
7
63.1
13
82.9
29
-
[자료: 한국무역협회(kita.net)]
중국 몰리브덴 분말 가격은 2월 18일 이후 하락세를 유지하다가 4월 20일부터 몰리브덴 정광 가격과 함께 상승세로 전환했다. 바나듐 몰리브덴 합금 정보망(钒钼合金网)에 따르면, 몰리브덴 원료인 몰리브덴 정광 가격이 5월에 1차 상승했으며, 7월부터는 광산 기업의 장비 점검으로 인해 몰리브덴 원료 공급이 구매 수요에 비해 부족해지면서 가격도 상승하기 시작했다. 8월에는 2025년 최고치인 4300위안/톤을 기록했고, 이에 따라 가격이 동반 상승한 몰리브덴 분말 역시 올해 최고치인 48~49만 위안/톤을 기록했다.
<2025년 2월 1일~8월 14일 몰리브덴 분말 가격 추이>

* 주1: 파란색-순도 99.95%, 초록색-순도 99.9%
* 주2: 2월 4일부터 몰리브덴 분말 수출 통제 강화
[자료: baiinfo.com]
시사점
2025년 중국 몰리브덴 시장은 수요 산업 변화와 통제 강화 등 다양한 변수가 발생하고 있어, 우리 기업은 관련 시장 추세를 지속적으로 주시할 필요가 있다. 한편, 철강·신에너지·첨단 제조업의 수요가 세분화됨에 따라 중저가 원료 공급에서 고부가가치 소재 개발로의 전환이 이뤄지고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친환경 규제와 수출 통제 강화로 인해 몰리브덴 분말을 비롯한 제품의 주요 생산기업과 유통 채널에도 많은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 친환경 규제에 따른 중국 주요 생산기업 변화: 중소기업의 생산 설비와 공정이 정부의 친환경 규정을 충족하지 못해 폐업하거나 대기업에 인수되는 상황
KOTRA 톈진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러양시(洛阳) 소재 몰리브덴 생산기업 A 사의 매니저 N 씨는 “2025년 들어 몰리브덴 원료인 정광 조달에는 문제가 없었으며, 가격 상승세가 지속됐다. 따라서 몰리브덴 분말을 포함한 제품의 납품 가격도 계속 인상하고 있다. 몰리브덴 분말이 이중용도 수출 허가 제도로 관리된 이후, 중국 상무부가 오스트리아, 한국, 일본 등 일부 기업에 순차적으로 허가증을 발급한 사례가 있지만, 향후 해외 기업에 대한 허가증 발급 심사 기준은 다시 변동될 수 있기 때문에 신규 공급선을 사전에 발굴할 필요가 있다”라고 설명했다.
자료: 화경산업연구원(华经产业研究院), 즈옌컨설팅(智研咨询), 첸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BAIINFO(百川盈孚), 동방재부망(东方财富网), 한국무역협회(KITA), KOTRA 톈진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핵심광물 몰리브덴 분말 2025년 수출 통제 강화, 대체 공급선 발굴해야)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일본 콘텐츠 산업에서의 생성형AI 활용 현황과 트렌드
일본 2025-08-25
-
2
중국 파노라마 카메라, 글로벌 브랜드를 넘어선 질주
중국 2025-08-25
-
3
인도 철강, 단순 생산국 넘어 글로벌 가치사슬 주도국으로
인도 2025-08-20
-
4
싱가포르 뷰티 디바이스 시장 동향
싱가포르 2025-08-25
-
5
일본 기초화장품 시장동향
일본 2025-08-25
-
6
중국 핵심광물 재활용 시장동향
중국 2025-07-14
-
1
2025 중국 치과산업 정보
중국 2025-09-10
-
2
2025년 중국 실버산업 정보
중국 2025-07-22
-
3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4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5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6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