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캐나다 알루미늄 건축자재 시장동향
- 상품DB
- 캐나다
- 토론토무역관 김재인
- 2025-08-12
- 출처 : KOTRA
-
캐나다 총리 조립식 주택 50만 채 건설 계획 발표, 핵심 자재인 알루미늄 건축자재 부상
핵심 알루미늄 건축자재, 문·창호, 연평균 2.6% 성장해 2030년 약 146억3400만 달러 예상
HS 코드
760410: 합금되지 않은 알루미늄 봉, 막대 및 형재
760421: 알루미늄 중공 프로파일
760429: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든 막대, 봉, 압출 형재(기타 중공 프로파일 제외)
761010: 알루미늄으로 만든 문, 창문 및 문틀, 창문틀, 문턱
761090: 알루미늄으로 만든 구조물 및 부품
캐나다 건설시장 현황 및 알루미늄 건축자재의 부상
캐나다의 주택 건설 분야는 최근 몇 년간 심각한 공급 부족과 급등하는 주택 가격으로 인해 국가적 관심사로 떠올랐다. 높은 인플레이션, 금리 변동, 인구 유입 증가 등 복합적인 경제 요인 속에서 정부와 민간 부문은 주거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2024년 캐나다 연방정부는 2031년까지 387만 채의 신규 주택을 공급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하며 주택 건설 시장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다. 2028년까지 15억 캐나다 달러(약 1조5200억 원)를 투자해 6000채의 공동주택(Co-ops Housing)을 건설할 계획이며, 건설 속도 가속화, 모기지 제도 개선 등이 포함된다. 2025년 5월 2일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주택 시장의 실패를 정면으로 해결하겠다”라며 공급 확대 의지를 재차 강조했다. 그는 특히 현대적이고 지속 가능한 모듈러 건축 기술을 활용한 조립식 주택에 주목하며, 50만 채의 조립식 주택을 추가 공급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러한 정부 분위기와 더불어, 소규모 가구 확대와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로 유지·관리가 용이한 조립식 주택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시장 조사기관 Mordor Intelligence에 따르면, 캐나다 조립식 주택 시장 규모는 2025년에 약 15억6000만 달러로 추정되며, 2025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3.34% 성장해 18억4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조립식 주택은 빠른 건설 일정과 효율적인 예산 활용으로 건설시장에서도 인기를 얻고 있으며, 전통적인 현장 건축 주택보다 저렴한 비용과 적은 자원 및 노동력 투입으로 비용 절감을 실현한다.
이에 따라 알루미늄 건축자재가 주목을 받고 있다. 알루미늄은 경량성, 내구성, 내식성, 지속 가능성 등의 장점으로 조립식 주택의 핵심 자재로 활용되며, 구조 프레임, 외부 벽체 패널 및 클래딩, 문·창호 프레임, 지붕 및 마감재, 등 다양한 건축자재에 활용되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대표적인 알루미늄 건축자재로는 문·창호가 있다. 글로벌 시장 조사 및 컨설팅 전문 기업인 Grandview Horizon Research에 따르면, 2023년 캐나다의 문·창호 시장 규모는 약 122억5580만 달러에 달했으며, 연평균 2.6%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2030년에는 약 146억34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023년 기준으로는 주거용 제품이 전체 시장의 67.37%를 차지해 높은 점유율을 보였다. 캐나다는 전 세계 문·창호 시장 매출의 약 5%를 차지하는 중요한 시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캐나다 문·창호 시장 동향(2018~2030)>
(단위: US$ 백만)
[자료: Grandview Horizon Research]
수입 동향
캐나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4년 캐나다의 알루미늄 건축자재 수입 시장은 전년 대비 13.6% 증가해 총 14억6577만 캐나다 달러(약 1조4700억 원)를 기록했다. 전체 수입 시장에서 상위 5개국(미국, 중국, 베트남, 한국, 기타)의 점유율은 약 71% 수준이며, 미국은 지리적 근접성, 브랜드 인지도, 유사한 소비패턴과 강력한 공급망을 바탕으로 42.4%의 점유율로 선두를 유지하고 있다. 중국(15.9%)과 베트남(4.8%)은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4위를 차지한 한국은 6004만 캐나다 달러(약 605억 원)로 전년 대비 113.2%의 높은 성장률을 보였으며, 전체 수입액의 4.1% 점유율을 기록했다.
한국의 수입액 급증은 주로 알루미늄 도어 및 창틀(HS 코드: 761010)의 수출 증가에 기인한다. 2024년 해당 품목의 수입액은 5096만 캐나다 달러(약 513억 원)로, 전년 대비 163% 성장했다. 무역관 조사에 따르면, 한국산 알루미늄 창틀 공급업체가 밴쿠버 소재 상업 및 주거용 알루미늄 건물의 외피 공급업체로 선정되면서 대량 수주한 점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이는 한국의 고품질 제품과 기술력이 캐나다의 고층 주거 건설 수요에 부합했음을 보여준다.
<캐나다 알루미늄 건축자재 수입 동향>
(단위: C$ 천, %)
순위
국가
수입액
비중
23/24 증감
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전체
1,462,593
1,290,250
1,465,770
100.0
100.0
100.0
13.6
1
미국
641,963
59,9447
620,923
43.9
46.5
42.4
3.6
2
중국
191,398
164,026
233,166
13.1
12.7
15.9
42.2
3
베트남
75,672
51,628
69,629
5.2
4.0
4.8
34.9
4
한국
39,275
28,167
60,042
2.7
2.2
4.1
113.2
5
말레이시아
77,758
39,276
45,694
5.3
3.0
4.1
51.6
6
튀르키에
55,772
47,428
45,694
3.8
3.7
3.1
-3.7
7
멕시코
35,427
26,602
29,432
2.4
2.1
2.0
10.6
8
폴란드
17,662
17,850
28,324
1.2
1.4
1.9
58.7
9
독일
33,479
32,073
25,596
2.3
2.5
1.7
-20.2
10
네덜란드
29,478
20,011
25,490
2.0
1.6
1.7
27.4
* 주: 760410, 760421, 760429, 761010, 761090
[자료: 캐나다 통계청]
경쟁 동향
캐나다 알루미늄 건축자재 산업은 Alumicor와 Starline Windows와 같은 지역 기반 기업이 지속 가능성과 맞춤형 솔루션으로 틈새시장을 공략하는 반면, Kawneer와 CRL은 글로벌 네트워크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대규모 프로젝트를 선도하고 있다. 한국을 포함한 외국 기업들은 주로 수출 중심의 전략으로 시장에 접근하며, 지역 및 글로벌 기업 간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양상이다.
<캐나다 알루미늄 건축자재 제조사>
기업
내용
Alumicor
- 홈페이지: www.alumicor.com
- 설립연도: 1959
- 본사/지사: 온타리오주, 캐나다
- 주력 품목: 건축용 알루미늄 커튼월, 상점 전면 시스템, 출입구, 창호 시스템
- 동사는 고품질의 건축용 알루미늄 제품을 제공하는 캐나다 기반의 선도적인 제조업체로, 60년 이상의 경험을 바탕으로 북미 시장에서 기술적 전문성과 신뢰성을 인정받음.
- 캐나다 내 5개의 제조 시설을 운영하며, 다양한 스타일의 커튼월, 상점 전면 시스템, 창문 및 출입구를 제공
- 상업용 및 산업용 건물에 최적화된 맞춤형 솔루션을 설계
Starline Windows
- 홈페이지: www.starlinewindows.com
- 설립연도: 2005
- 본사/지사: 브리티시 컬럼비아주, 캐나다
- 주력 품목: 창문, 문, 창호 시스템
- 동사는 고품질의 에너지 효율적인 창문과 문 시스템을 제공하는 캐나다의 선도적인 창호 제조업체임
- 다양한 스타일의 창문과 문을 제공하며, 주거용과 상업용 건물에 적합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
- 제품의 내구성, 에너지 효율성 및 디자인에 중점을 둔 기업이며 지속 가능성 제품으로 캐나다 전역으로 활동
Kawneer Canada
- 홈페이지:www.kawneer.ca
- 설립연도: 1906년
- 본사: 조지아주, 미국
- 주력 품목: 알루미늄 커튼월, 창문, 문, 프레임 시스템, 레일링, 셔터, 유리 시스템
- Kawneer는 상업용 건축을 위한 알루미늄 시스템 및 제품을 제공하는 글로벌 리더로, 캐나다 내에서 고성능 알루미늄 시스템을 통해 에너지 효율성과 내구성을 강조
-다양한 스타일의 창문, 문, 커튼월, 상점 전면 프레임 시스템을 제공하며, 맞춤형 설계로 건축가와 계약자의 요구를 충족함.
-북미, 유럽, 북아프리카, 아시아의 13개국에 사무소를 두고 있으며, 캐나다 내에서 상업용 건축 프로젝트에 광범위하게 참여
CRL Canada
- 홈페이지: www.crlaurence.com
- 설립연도: 1961년
- 본사: 캘리포니아주, 미국
- 주력 품목: 유리 레일링 시스템, 슬라이딩 도어 하드웨어, 상점 전면 시스템, 건축용 하드웨어, 알루미늄 글레이징 액세서리
- 동사는 유리 및 글레이징 제품, 건축 하드웨어를 전문으로 하는 선도적인 공급업체로, 상업용 및 주거용 건물에 적합한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
-캐나다를 포함한 북미, 유럽, 호주 등 글로벌 시장에서 활동
[자료: 각 기업 홈페이지, KOTRA 토론토무역관 취합]
유통구조
알루미늄 건축자재는 압출, 압연, 주조 등의 공정을 거쳐 알루미늄 프로파일, 판재, 기타 반제품으로 가공된다. 예를 들어, 건축용 커튼월이나 창틀에 사용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은 이 단계에서 제작된다. 캐나다 내 가공업체 또는 해외 수출업자가 현지 파트너와 협력해 이러한 반제품을 생산하며, 이 과정에서 프로젝트 요구사항에 맞춰 품질과 사양을 충족하도록 제조된다.
다음으로, 1차 가공된 반제품은 2차 가공 단계로 넘어간다. 여기서 알루미늄은 커튼월, 창틀, 문틀, 외장재 같은 최종 건축자재로 제작된다. 이 작업은 전문 제조사, 예를 들어 Alumicor나 Starline Windows 같은 기업이 담당한다. 대규모 상업용 프로젝트, 예를 들어 토론토의 콘도 개발 프로젝트에서는 부동산 개발사가 이 제조사에 직접 발주를 내고, 제조사는 설계 사양에 맞춘 맞춤형 자재를 공급한다. 반면, 소규모 주거용 프로젝트나 리노베이션용 자재는 표준화된 형태로 생산돼 유통망으로 이동한다.
최종 고객에게 도달하는 단계인 상업용이나 공공 프로젝트의 경우, 알루미늄 자재는 주로 B2B 채널을 통해 전달된다. 부동산 개발사나 공공기관 같은 최종 고객은 프로젝트 총괄 시공사나 EPC(엔지니어링, 조달, 건설) 업체를 통해 자재를 받는다. 해외 수출업자는 캐나다에 지사를 두고 직접 입찰에 참여하거나, 현지 가공업체 및 시공사와 협력해 이 시장에 접근하는 게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한국 기업은 토론토무역관의 지사화 서비스를 활용해 현지 세일즈 랩을 고용하거나 사무소를 운영하며 북미 시장을 공략할 수 있다.
한편, 소규모 리노베이션이나 개인 소비자를 겨냥한 시장에서는 다른 경로가 사용된다. 표준화된 알루미늄 건축자재는 Home Depot, Rona 같은 현지 대형 자재 유통망이나 지역 전문 딜러 네트워크를 통해 최종 고객에게 판매된다. 개인 소비자나 소규모 시공업체는 이 유통망에서 자재를 구매해 리노베이션 프로젝트에 사용할 수 있다.
<캐나다 알루미늄 건축자재 유통구조>
[자료: KOTRA 토론토무역관]
관세율
한-캐 자유무역협정(Canada-Korea Free Trade Agreement, CKFTA)에 따라 한국산 알류미늄 제품(HS 코드: 760410, 760421, 760429, 761010, 761090)의 캐나다 수입 관세율은 0으로 무관세다. 각 HS 코드별 관세율은 Canada Tariff Finder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며 한국산 제품일 경우 KRT, Korea Tariff로 표기돼 있다.
[참고 자료]
* 관세율 안내 자료: https://www.cbsa-asfc.gc.ca/trade-commerce/tariff-tarif/2025/01-99/01-99-2025-eng.pdf
** Canada Tariff Finder: https://www.tariffinder.ca/en/getStarted
캐나다 국경 관리청(Canada Border Service Agency, CBSA)에서 다음과 같은 HS 코드로 정의한다.
<HS 코드 관세율 정보>
(단위: %)
HS 코드
품목
한국(KRT)
760410
Aluminum bars, rods and profile – not alloyed
0.0
760421
Aluminum bars, rods and profile – hollow profile
760429
Aluminum bars, rods and profile – others
761010
Aluminum Structure – Door and their frames
761090
Aluminum Structure – Others
[자료: Canada Tariff Finder]
수입규제, 인증
HS 코드에 해당하는 제품은 캐나다 국가 건축 규정(NBC, National Building Code of Canada)과 각 주·지역별 건축 규정을 준수해야 하며, 다양한 위험·안전 관련 규제를 충족해야 한다. 특정 인증이 법적으로 필수는 아니지만, 국제 표준인 ISO를 만족하는 것이 권장된다. 이는 캐나다 수입업체가 기대하는 품질과 안전 기준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Canadian Standards Association(CSA) 인증 취득도 권장된다. 특히 문, 창호 등은 위험성보다 에너지 효율성과 내구성 등 성능 기준이 중요하므로, CSA A440.2 (에너지 성능)나 CSA A440.0 (물리적 성능)과 같은 표준이 적용된다.
유리가 포함된 제품은 안전유리 표준 CAN/CGSB-12.1을 준수해야 한다. 친환경 유리 제품의 경우 소비자 신뢰 확보를 위해 관련 인증 취득이 바람직하다. 대표적인 예로 ENERGY STAR® 인증이 있으며, 이는 캐나다 천연자원부(Natural Resources Canada)와 미국 환경보호국(EPA)이 공동으로 관리·홍보한다. 현재 ENERGY STAR® 인증을 받은 제조사는 전 세계적으로 813개이지만, 한국 기업은 아직 인증을 취득한 사례가 없다.
현지 전시회 정보
캐나다 동부에서 열리는 건축 관련 전시회로는 The Buildings Show가 있다. 이 전시회는 캐나다에서 가장 큰 건축, 건설, 설계 및 부동산 관리 산업 관련 전시회로, 온타리오주 토론토의 Metro Toronto Convention Centre에서 매년 개최되고 있다.
2025년 행사는 12월 3일부터 5일까지, Metro Toronto Convention Centre의 North 및 South Building에서 열릴 예정이다.
해당 행사는 건축가, 엔지니어, 건설업자, 디자이너, 부동산 관리자 등 1만8000명 이상의 업계 전문가들이 모여 최신 기술, 자재, 서비스 및 트렌드를 탐구하는 자리로, 캐나다 건설 산업의 모든 측면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는 플랫폼으로 자리 잡고 있다.
알루미늄 커튼월, 프로파일 및 관련 제품을 다루는 기업들이 참가하거나 참관하기에 매우 적합한 전시회이며, 한국 기업들도 다수 참가한 이력이 있다.
전망 및 시사점
캐나다 건설시장은 인구 증가와 주택 공급 부족으로 수요가 급증하며 정부가 2031년까지 387만 채 공급을 목표로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이다. 고층·다세대 주택 확대로 알루미늄 건축자재 수요가 증가하고, 특히 문·창호 시장은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산 알루미늄 제품은 무관세와 품질 경쟁력을 바탕으로 수입이 급증했으며, 현지 B2B 직납과 유통망 활용이 유효한 진출 전략이다. 고품질·친환경 인증 확보, 현지 파트너사와의 장기 계약, 조립식·고층 건축 특화 제품 개발 등을 통한 지속적인 시장진출 확대 노력이 요구된다.
자료: 캐나다 연방정부, 캐나다 통계청, 캐나다 주택건설협회, 캐나다모기지주택공사, Grandview Horizon Research, Mordor Intelligence, CBC News, Toronto Star, KOTRA 토론토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캐나다 알루미늄 건축자재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몽골 시장, K-프랜차이즈 뜨는 중! 진출 전 체크리스트
몽골 2025-08-12
-
2
캐나다 선케어 시장동향
캐나다 2025-08-12
-
3
2025년 러시아 조선산업 정보
러시아연방 2025-08-11
-
4
중국 반도체장비 부품 시장현황
중국 2025-08-12
-
5
싱가포르 철강 파이프 시장동향
싱가포르 2025-08-11
-
6
'비엣뷰티 & 코스모뷰티' 박람회로 보는 베트남 뷰티 트렌드
베트남 2025-08-08
-
1
2024년 캐나다 육류 가공 산업 정보
캐나다 2024-12-17
-
2
2024년 캐나다 에너지 산업 정보
캐나다 2024-12-10
-
3
2024년 캐나다 대두 산업
캐나다 2024-11-21
-
4
2021년 캐나다 건설 산업 정보
캐나다 2021-12-23
-
5
2021년 캐나다 신재생 에너지 산업 정보
캐나다 2021-12-23
-
6
2021년 캐나다 에너지 산업 정보
캐나다 2021-12-22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