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벨라루스 자동차 시장 동향
  • 상품DB
  • 벨라루스
  • 민스크무역관 박건원
  • 2025-08-12
  • 출처 : KOTRA

경제제재로 인한 주요 브랜드 차량 수입 제한 지속으로 중, 러 신차 판매량 급증

중고차 시장의 경우 독일, 한국, 일본 브랜드 수요가 높으며, 한국 중고차 수출도 증가

품목/HS코드


중고차(2000CC 이하)/870332


시장동향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서방의 경제제재 및 물류 문제로 인해 벨라루스로 주요 외국 브랜드의 차량 판매는 급감한 반면 중국, 러시아 브랜드의 차량 판매는 증가 추세에 있다. 2024년 신차 판매량이 5만 3178대로 전년 대비 128% 증가했으나, 이 중 중국에서 수입되는 차량이 약 2/3를 차지하고 있으며, 불과 2년 전만 해도 14%, 4개 브랜드에 불과하던 중국 자동차의 벨라루스 신차 시장 점유율은 67%, 14개 브랜드로 증가한 상황이다.

 

서방 브랜드 차량 수입의 어려움 속에서 안정적 GDP 성장, 가계 소득 증가, 교체 수요 증가, 중국 브랜드의 진출 확대 및 금융 지원 확대 등이 맞물려 신차 판매 시장이 다시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24년 벨라루스 신차 판매 TOP-10 브랜드는 다음과 같으며 벨라루스-중국의 합작 브랜드인 Belgee/Geely 브랜드가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벨라루스 중고차 시장의 경우 정확한 통계 및 분석 자료는 발표되지 않고 있으며,  다수 거래가 공식 딜러를 통하지 않는 개인 거래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벨라루스의 중고차 시장 규모를 정확한 수치로 추정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중고차 판매 전문가들은 대략적으로 판매자(개인 및 법인)가 자동차 판매를 위해 전문 사이트에 게재한 자동차 광고 데이터를 통해 시장 규모를 파악하며 현재 약 8만 건 이상의 광고가 다양한 사이트에 게재되고 있다. 일부 반도체 공급 문제, 벨라루스로의 자동차 수출 제재 강화, 물류 애로 등이 겹치면서 해외 주요 브랜드 신차 수입이 급감한 상황에서 당분간 중고차 수요 역시 증가할 것으로 전망다. 


2024년 기준 벨라루스 인구 1,000명당 약 339대의 차량을 보유(전년 대비 2.7% 증가) 하고 있으며, 2024년 기준 지역별 인구 1,000명당 승용차 보유 수는 아래와 같다.

 

<2024년 기준 벨라루스 지역별 인구 1,000명당 승용차 보유 대수>

(단위: 대)

[자료: 벨라루스 통계청 자료 기반 KOTRA 민스크 무역관 작성]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2022년부터 러시아와 벨라루스 통계청이 세부 통계자료를 공개하고 있지 않아 정확한 수치 확인은 어려우나, Global Trade Atlas 통계에서 각 수출국의 對벨라루스 수출 통계를 역으로 확인해 보면 음료의 수입 동향은 다음과 같다. 2024 벨라루스로의 자동차 수입은 통계상 다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며(러시아 통계 미포함), 감소 원인 중 하나로 엔진 배기량이 1900CC 이상, 5만 유로 이상의 고가 자동차(신차 중고차 모두)에 대해 EU에서 벨라루스로의 수출을 금지하는 유럽 제재가 강화되었기 때문으로 있다.


HS 코드 기준으로 8703.22(불꽃점화식 엔진만 갖춘 것, 실린더 용량이 1000~1500cc) 및 8703.32(디젤 또는 세미디젤, 실린더 용량이 1500~2500cc)가 전체 수입의 약 40%를 차지했으며, 이어 8703.50(압축점화식 압축점화식 피스톤 내연기관(디젤이나 세미디젤)과 추진용 모터로서의 전동기를 둘 다 갖춘 것) 및 8703.33(디젤이나 세미디젤, 실린더 용량이 2500cc 이상)이 수입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2~2024년 벨라루스의 차량류(HS 8703) 수입 동향>

(단위: US$ 백만, %)

HS 코드

2022

2023

2024

24/23 증감률

금액

점유율

금액

점유율

금액

점유율

8703

4,239

100.0

8,587

100.0

6,346

100.0

26.10

8703.22

352

8.2

1,224

14.3

1,519

23.9

24.12

8703.32

1,390

32.8

1,822

21.2

856

13.5

53.03

8703.50

188

4.4

806

9.4

672

10.6

16.57

8703.33

984

23.2

1,691

19.7

672

10.6

60.29

8703.23

414

9.8

767

8.9

623

9.8

18.77

8703.31

225

5.3

432

5.0

621

9.8

44.13

8703.40

139

3.3

415

4.8

352

5.5

15.31

8703.60

44

1.0

248

2.9

327

5.2

31.76

8703.80

165

3.9

520

6.1

272

4.3

47.63

8703.24

222

5.2

435

5.1

266

4.2

38.94

8703.21

46

1.1

84

1.0

69

1.1

17.92

8703.10

18

0.4

49

0.6

50

0.8

2.81

8703.70

19

0.5

89

1.0

44

0.7

50.97

8703.90

32

0.7

4

0.1

2

0.0

40.70

* 주: 순위는 2024년 수입액 기준이며,  HS 코드 분류 기준에 따라 신차 및 중고차를 포함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6.]

 

국별 기준 벨라루스로 HS 코드 기준 8703 자동차를 수출한 국가는 중국이 1위로 2024 년 수출이 전년 대비 25% 증가했다. 그 뒤를 잇는 EU, 독일, 폴란드의 경우 유럽의 제재 강화로 인해 수출이 대폭 감소한 상황이다.  

 

<對벨라루스 국별 차량 수출 동향(HS코드 8703)>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2022

2023

2024

24/23 증감률

보고 국가 총계

4,238,762

8,587,462

6,346,446

26.10

1

중국

330,603

1,500,118

1,874,820

24.98

2

EU

1,493,337

2,627,502

1,646,609

37.33

3

독일

625,861

1,104,286

740,976

32.90

4

폴란드

231,955

704,267

367,864

47.77

5

리투아니아

597,600

728,353

312,559

57.09

6

스웨덴

1,679

5,626

61,781

998.05

7

벨기에

7,803

13,834

45,321

227.62

8

헝가리

598

1,676

41,315

2,365.34

9

튀르키예

118

2,753

26,780

872.68

10

에스토니아

6,431

19,266

25,577

32.76

11

한국

2,926

1,824

25,454

1,295.66

*8703포함 제품류: Motor Cars And Other Motor Vehicles Designed To Transport People(Other Than Public-Transport Type), 

Including Station Wagons And Racing Cars(신차 및 중고차를 포함)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6.]

 

한국무역협회(KITA) 자료에 따르면 2024년 한국의 대 벨라루스 자동차 총 수출액은 2년 간의 큰 감소세에서 벗어나 2545만 달러를 기록했다. 자동차 총 수출액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2024년 수입액이 각각 22배, 12배로 최대 성장세를 보인 8703.23 및 8703.32 품목이다. 상품 품목 통계에는 신차와 중고차에 대한 수치가 같이 포함돼 있지만, 현재 한국에서 신차가 벨라루스로 수출되지 않기 때문에 한국 통계 상에는 중고차 수출만 반영됐다고 볼 수 있다.

 

<2021~2025년 벨라루스의 한국 자동차 수입 현황>

(단위: US$ 천, %)

HS코드

2021

2022

2023

2024

2025.1-4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8703

11,700

152

2,926

△75

1,824

△38

25,454

1,296

3,681

△11

8703.21

-

-

-

-

19

0.0

77

304

-

-

8703.22

-

-

-

-

-

-

129

0

44

0

8703.23

4,593

244

1,312

71

613

53

13,566

2,115

1,900

6

8703.24

1,025

697

240

△77

0

△100

14

0.0

-

-

8703.32

5,722

80

1,189

79

926

△22

11,244

1,114

1,738

△9

8703.33

-

-

87

0.0

146

68

357

145

-

-

8703.40

-

-

-

-

67

0.0

68

1

-

-

8703.60

39.0

0

47

21

0

△100

-

-

-

-

8703.70

-

-

-

-

36

0.0

-

-

-

-

8703.80

322

0

50

△84

17

△66

-

-

-

-

[자료: KITA]

 

경쟁동향

 

중고차의 경우 현재 경제제재로 수입되지 않는 해외 브랜드 차량들도 포함돼 있으며, 중고차 판매  전문가에 따르면 벨라루스 중고차 구매자들은 “가격-품질”의 기준에 따라 차량을 선택한다. 주행거리 100,000km 내외이며 3~5년 된 자동차가 시장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편이다. 차량 구매자는 인지도가 높고 신뢰할 수 있는 브랜드를 선호하기 때문에 브랜드의 역할도 상당히 중요하다. 따라서 중국 자동차가 인기를 얻고 있는 신차 시장과 달리 중고차 시장에서는 유럽(독일, 프랑스) 및 한국 자동차에 대한 수요가 가장 높은 편이다.


중고차 판매기업 DriveMotors 2024년에 가장 많이 팔린 중고차 순위를 집계했는데, 상위는 Kia Rio, Volkswagen Polo Nissan Qashqai 차지했고, 뒤를 이어 Lada Vesta, Hyundai Solaris, Skoda Rapid, Ford Focus, Nissan X-Trail, Renault Logan Geely Atlas(벨라루스 산) 포함돼 있다. DriveMotors는 중고차의 판매는 가격, 주행거리, 연식 등과 함께 자동차 사고 이력정보 등이 영향을 미치며, 약 5년 내외의 저렴한 외국산 중고차량이 많이 팔리고 있다고 밝혔다. 참고로 전쟁 이전에는 현재 중고차 시장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한국 브랜드 KIA와 Hyundai의 신차가 주로 러시아 공장에서 벨라루스 시장으로 공급됐다. 

 

<2024년 인기 중고차 모델>

차량 모델

2024년 기준 가격(BYN/US$)

Kia Rio

38,000 / 11,710

Volkswagen Polo

47,000 / 14,484

Nissan Qashqai

53,000 / 16,333

Lada Vesta

30-40,000 / 9,245-12,327

Hyundai Solaris

30,000 / 9,245

Skoda Rapid

40-50,000 / 12,327-15,408

Ford Focus

50,000 / 15,408

Nissan X-Trail

70,000 / 21,572

Renault Logan

37,000 / 11,402

Geely Atlas(벨라루스 산)

60,000 / 18,490

*환율: 1USD=3,2450BYN(2024평균환율 기준)

[자료: DriveMotors]

 

중고차 판매 사이트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중 개인 구매 광고가 85% 이상을 차지하는 KUFAR 거래 플랫폼의 분석 자료에 따르면 2024년에 가장 많이 구매한 자동차는 Volkswagen이며, 평균 판매 가격은 1994 달러였다. 독일 Opel (2,134달러)가 2위를 차지했고, Renault (2207달러)가 그 뒤를 이었다. 또한 2024년에 KUFAR에서 가장 많이 구매한 자동차는 Audi, Ford, Peugeot, Lada Vaz, Citroen, BMW, Nissan이었다. BMW는 평균 가격이 3489달러로 가장 비싼 차로 상위권에 올랐다. 생산 연도별로는 1990년대 후반의 자동차가 KUFAR에서 가장 많이 구매되며, 평균 가격은 2050달러였다. 가솔린 엔진을 주로 선호하며 전체 자동차의 약 65%를 차지했다. 나머지는 디젤 엔진이 차지하며 주행거리가 많은 전기 자동차는 수요가 거의 없는 편이다.

 

유통구조

 

벨라루스에서 중고차 판매 광고 수와 거래 건수가 가장 많은 플랫폼은 AV.BY(https://av.by ), KUFAR(https://auto.kufar.by), Onliner(https://ab.onliner.by), ABW.BY(https://abw.by)이다. 제조사/브랜드, 엔진 유형, 연식, 판매 지역, 가격 등 정보를 필터링해 자동차에 대한 정보와 사진을 찾아볼 수 있다. 이 플랫폼은 판매용 자동차 광고뿐만 아니라 벨라루스 자동차 시장에 대한 뉴스도 제공한다. 

 

<벨라루스 중고차 유통 방식>

[자료: KOTRA 민스크무역관]

 

관세율 인증

 

벨라루스로의 중고차 수입에 대한 관세는 차량의 가격, 연식 및 엔진 배기량에 따라 부과된다. 개인 목적으로 자동차를 수입하는 개인의 경우, 관세율은 자동차의 연식과 엔진 용량, 자동차 가격(자동차가 3년 미만인 경우)에 따라 결정된다. 법인의 경우 자동차에 대한 관세율은 엔진 유형(가솔린 또는 디젤), 자동차 연식 및 엔진 배기량에 따라 적용된다. 벨라루스 자동차(HS 코드 8703) 수입 관세율은 아래 표에 정리되(벨라루스는 EAEU 회원국으로서 러시아, 카자흐스탄, 아르메니아, 키르기스스탄과 함께 역외 공동관세율을 적용), 벨라루스의 부가가치세는 20%이다. 또한 벨라루스에 자동차를 수출하기 위해서 수입자는 기술규정 CU TR 018/2011” On the safety of wheeled vehicles”에 따른 Certificate of Vehicle Conformity를 획득해야 한다.

 

<중고차 관련 기본 관세 정보>

구분

관세율

개인 수입자

3년 미만의 중고차

48~54% but not less than 1.5~20 EUR/cc

3-5년의 중고차

1.5~3.6 EUR/cc

5년 이상의 중고차

3.0~5.7 EUR/cc


가솔린 엔진

7년 이상의 중고차

1.4~3.2 EUR/cc

5-7년의 중고차 및 기타

20%, but not less than 0.36~0.8 EUR/cc

3년 미만의 중고차

12.5~15%

디젤 엔진

7년 이상의 중고차

1.5~3.2 EUR/cc

5-7년의 중고차 및 기타

20%, but not less than 0.32~0.8 EUR/cc

3년 미만의 중고차

15%

수입자

전기차량

 

15%

 [자료: 벨라루스 관세청, 유라시아경제위원회 자료 기반 KOTRA 민스크무역관 작성]

 

자동차(신차 또는 중고차)를 수입할 때는 수입 관세 및 부가가치세 외에도 폐차세를 납부해야 한다. 2025년 2월, 벨라루스 정부는 사용료 세율을 대폭 인상해 러시아 요금과 통일시켰다.

 

<2025년 기준 벨라루스 자동차 폐차세>

(단위: BYN)

수입자

구분

3년 미만의 자동

3년 이상의 자동

법인

전기차량

1,148.86

2,757.36

엔진 배기량

<1,000cc

6,365.57

16,249.50

1,000-2,000cc

23,575.91

41,471.55

2,000-3,000cc

66,248.51

100,301.81

3,000-3,500cc

76,068.86

116,459.46

>3,500cc

96,868.22

127,339.56

개인

-

544.5

1,089.0

*환율: 1USD=3,0134BYN(2025.5 평균환율 기준)

[자료: 벨라루스 법률 기반 KOTRA 민스크무역관 작성]

 

시사점

 

현재 벨라루스로의 신차 수출은 막혀있는 상황이나 현지 딜러들의 병행 수입 추진, 한국 중고차 수입 증가, 기존 한국 차량의 노후화에 대한 부품 교체 수요가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경제제재가 지속될 경우 중국, 러시아 브랜드 외 해외 주요 브랜드에 대한 구매자 수요 증가와 함께 중고차 및 부품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신차의 경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종전될 경우 다시 급격한 판매 증가를 보일 수 있음에 따라 시장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네트워크 유지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자료: Global Trade Atlas, KITA, 벨라루스 자동차 협회(BAA), 유라시아경제위원회, 벨라루스 관세청, 벨라루스 국립은행, 벨라루스 언론, KOTRA 민스크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벨라루스 자동차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