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만 자동차용 고무타이어 시장 동향
- 상품DB
- 대만
- 타이베이무역관 유기자
- 2025-08-07
- 출처 : KOTRA
-
Keyword #대만 자동차 타이어
연간 수입액 2억8500만 달러대…한국 비중은 2.7%
한국 타이어 3사도 모두 진출… 유럽·미국·일본·대만 브랜드와 경쟁 치열
차량 보유 증가에 따라 타이어 시장 규모도 지속 확대 전망
HS코드·품목명
HS코드
품목명
4011.10
승용자동차용 고무타이어(이하 자동차 타이어)
시장동향
자동차 타이어 시장을 도·소매로 구분해 살펴보면, 연간 도매 시장규모는 400억 대만달러*에 육박하며 소매 시장은 160억 대만달러대를 웃돈다. 최근 10년 사이 도매 시장규모는 44.5%, 소매 시장규모는 8.5%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 TWD 1=KRW 47(하나은행 2025년 7월 평균 최종고시 매매기준율 기준)
<자동차 타이어 판매 동향>
(단위: TW$ 억)
[자료: 대만 재정부]
자동차 타이어는 대만에서도 연간 1382만 개(2024년 기준)를 생산하고 있다. 연간 생산량이 2500만 개를 상회하던 시기(2004년, 2005년, 2007년, 2010년)도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대만산 제품의 내수 판매량은 440만 개(2024년 기준) 수준이며, 수출량이 내수 판매보다 두 배 이상 많은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자동차 타이어 생산 동향>
(단위: 개)
[자료: 대만 경제부 통계처]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2024년 대만의 자동차 타이어 수입액은 2억8545만 달러*로 전년대비 6.2% 감소했다. 연간 수입액이 3억 달러를 넘겼던 2022~2023년에는 못 미쳤으나 역대 세 번째로 높은 수입 기록을 세웠다.
* USD 1=KRW 1,379(하나은행 2025년 7월 평균 최종고시 매매기준율 기준)
<자동차 타이어 수입동향>
(단위: US$ 만)
[자료: 대만 재정부 관무서]
여러 수입국 가운데 중국이 전체의 1/3을 차지하고 있다. 2024년에는 대중 수입 비중이 38.8%에 달했고, 일본이 18.1% 비중으로 뒤를 이었다. 3~5위 수입대상국은 태국(9.3%), 독일(3.6%), 프랑스(3.5%) 순이며, 한국 포함 6위부터 10위까지는 모두 2%대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자동차 타이어 수입대상국 Top10>
(단위: US$ 만)
순위
국가명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1
중국
5,773
6,801
8,349
10,925
11,085
2
일본
3,221
3,749
4,369
4,456
5,176
3
태국
2,417
3,257
3,438
2,947
2,657
4
독일
2,153
2,548
2,022
1,668
1,036
5
프랑스
1,202
1,814
1,672
1,485
1,011
6
한국
409
896
1,233
705
777
7
폴란드
716
657
693
705
731
8
루마니아
653
745
976
1,041
714
9
이탈리아
1,070
1,008
1,050
756
685
10
체코
650
728
994
643
668
[자료: 대만 재정부 관무서]
2024년 기준 한국은 대만의 6위 수입대상국이며, 전체 수입에서 2.7%를 차지했다. 연간 수입액이 천만 달러를 돌파한 2022년에는 점유율이 4%까지 높아진 바 있으나 증가세를 이어가진 못했다.
<對한국 자동차 타이어 수입동향>
(단위: US$ 만, %)
[자료: 대만 재정부 관무서]
경쟁동향
대만에서는 미쉐린, 콘티넨탈, 브리지스톤, 피렐리, 굿이어 등 글로벌 브랜드 제품을 비롯해 일본, 한국, 대만을 대표하는 제품들이 다양하게 유통되고 있다.
한국 3대 타이어 업체 제품도 대만에서 유통 중이다. 2019년 대만에 지사를 설립했던 한국타이어의 경우 2024년에 법인을 설립해 현지화를 추진 중이며, 금호타이어는 대만 총판, 넥센타이어는 대리점(distributor) 기반으로 현지 시장에서 활동하고 있다.
<현지 유통 제품 현황*>
브랜드명(모델명)
규격
단면폭(mm)/편평비(%)/휠 직경(inch)
판매가격**
(TW$)
Michelin(Primacy SUV+)
225/60/18
18,386
Continental(UltraContact UC7)
225/40/18
21,200
Bridgestone(Alenza)
225/50/18
14,989
Pirelli(Scorpion Verde)
235/55/18
17,881
Goodyear(Assurance Maxguard)
225/40/18
17,244
Hankook(Ventus S1 evo3)
225/40/18
15,473
Nexen(Supreme)
235/45/18
18,569
Yokohama(BluEarth-XT)
235/55/18
17,624
Toyo(Proxes Sport SUV)
235/60/18
13,829
Nankang(SP9)
235/55/18
13,685
*주: 현지 주요 온라인 쇼핑몰 momo에서 판매되는 제품 기준
**주: 2025.7.29. 확인한 1세트(4개) 할인가격 기준
[자료: momoshop.com.tw]
대만의 타이어 제조사는 맥시스(Maxxis)라는 브랜드로 활동하는 정신고무(正新橡膠)가 선두를 이끌고 있다. 타이어 전문지인 타이어프레스(tyrepress) 자료에 따르면, 2024년 타이어 매출 기준 정신고무는 글로벌 랭킹 17위로 평가됐다.
<현지 타이어 기업 현황>
업체명
브랜드명
2024년 매출액(TW$ 만)
Cheng Shin Rubber(正新橡膠)
Maxxis
9,657,771
Kenda Rubber(建大工業)
Kenda
3,418,340
Nankang Rubber(南港輪胎)
Nankang
1,522,352
Federal(泰豐輪胎)
Federal
26,606
[자료: 업체별 2024년 사업보고서]
유통구조
제조업체가 현지 총판이나 도매상을 통해 소매점과 정비소로 공급한 제품을 최종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며,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소비자 직접 구매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온라인 유통의 경우, 쇼핑몰 플랫폼에서 소비자가 원하는 제품을 주문·결제한 다음 판매자와 연락해 방문 가능한 매장과 날짜를 예약해 서비스를 받는 방식으로 거래가 이뤄진다.
관세율·인증
자동차 타이어 관세율은 10%이며, 물품세도 15% 부과된다.
<자동차 타이어 관세율과 수입 규정>
HS코드
품목명
관세율
수입규정
4011.10
승용자동차용 고무타이어
10%
대만 경제부 표준검험국이 공고한 수입 검사 대상품목에 해당(대만 경제부 표준검험국이 발급하는 BSMI 인증마크를 취득해야 함)
[자료: 대만 재정부 관무서]
자동차 타이어는 대만 경제부 표준검험국이 지정한 수입검사대상품목이다. △제품의 물리적 치수, △비드 이탈방지, △타이어 강도, △타이어 고속 성능, △타이어 내구 성능, △공기압 손실상태의 주행성능, △원심 성장 성능에 대한 시험을 진행하고 BSMI 인증을 취득해야 유통할 수 있다. 2026년 7월부터는 △관성 주행 소음, △구름 저항, △젖은 노면 접지력 시험도 추가로 실시되며, 각 항목별 등급(A/B/C로 구분)을 문자로 명시해야 한다.
인증마크> [자료: 대만 경제부 표준검험국]
시사점
대만 교통부 도로국 자료에 따르면, 2024년말 대만의 자동차 누적 등록대수는 약 870만 대로 5년 전인 2019년 대비 6.9%, 10년 전인 2014년 대비 14.9% 증가했고, 성인 인구(18~89세 기준) 대비 차량 보유 비율은 2014년 32.2%에서 2019년 34.4%, 2024년 37.1%로 늘어났다. 대만의 차량 보유 증가와 함께 프리미엄·고성능 제품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타이어 시장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분석된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테크사이리서치(TechSci Research)에 따르면, 대만 전체 타이어 시장 규모(이륜차용 포함)는 2024년 기준 17억3000만 달러로 평가되며, 2030년까지 연평균 6.0% 성장해 24억5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대만 자동차 타이어 시장에서 유럽·미국 브랜드 소비자는 브랜드 충성도가 상대적으로 높다. 특별한 계기가 없는 한 차량 구매 당시 장착되어 있던 타이어 브랜드를 그대로 유지하는 경향도 강한 편이다. 반면, 일본 브랜드 소비자는 대체품을 찾는 경향이 상대적으로 큰 편으로 관찰되고 있다.
한국 제품은 안전성 측면에서 상당 수준 신뢰 받는 동시에 상대적으로 가격경쟁력이 높다는 점에서 기회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시장 내 경쟁이 이미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는 만큼 현지 법인, 총판, 대리점을 통한 현지화 마케팅과 파트너십을 강화하는 접근 전략이 요구된다. 또한, 대중 수입 타이어는 양안 간 협정에 따라 무관세 혜택을 받고 있으며 유럽‧미국 제품은 대만 시장에서 전반적으로 높은 신뢰도를 구축하고 있다는 점에서 원산지 다변화를 통해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하는 전략도 고려할 수 있다.
자료: 대만 재정부, 대만 경제부 통계처, 대만 재정부 관무서, 대만 경제부 표준검험국, 대만 국가발전위원회, 테크사이리서치, KOTRA 타이베이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대만 자동차용 고무타이어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고무타이어
대만 2025.04.25
-
1
대만 콘택트렌즈 시장동향
대만 2025-08-07
-
2
덴마크, 해상풍력, PtX, CCS 등 첨단 재생에너지 중심으로 정책 강화
덴마크 2025-08-07
-
3
2025년 프랑스 방위산업 정보
프랑스 2025-08-07
-
4
AI 기반 우주기업 ‘스페이스42’로 본 UAE의 차세대 우주전략
아랍에미리트 2025-08-07
-
5
질리면 바꾸는 Z세대, 일본서 ‘미니 코스메’가 뜨는 이유
일본 2025-08-07
-
6
벨기에, 에너지 전환 가속...해상풍력‧원자력‧그린 분자 및 수소 중심
벨기에 2025-08-07
-
1
2025년 대만 의료산업 정보
대만 2025-03-13
-
2
2024년 대만 식품산업 정보
대만 2024-08-08
-
3
2024년 대만 화장품 산업 정보
대만 2024-02-06
-
4
2023년 대만 반도체 산업 정보
대만 2023-04-14
-
5
2022년 대만 문화콘텐츠 산업 정보
대만 2022-04-06
-
6
2022년 대만 풍력발전 산업 정보
대만 2022-03-15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