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담배 필터 시장동향
- 상품DB
- 중국
- 베이징무역관
- 2025-08-18
- 출처 : KOTRA
-
건강∙친환경이 이끄는 중국 담배 필터 산업 전환
상품명 및 HS CODE
담배 필터는 담배 끝부분에 부착된 여과 장치로, 주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라는 플라스틱 섬유로 제작된다. 흡연 시 연기 속에 포함된 타르, 니코틴 등 유해 물질을 일부 걸러내는 기능을 하며, 일반적으로 HS 코드 6단위 기준 5601.22에 해당한다. 본 보고서에서는 해당 HS 코드에 따라 분류되는 담배 필터 품목을 다루고자 한다.
<상품명 및 HS코드>
상품명
HS CODE
화학 섬유로 제조된 담배 필터
5601.22
시장 규모 및 동향
담배 필터는 담배 산업의 발전과 함께 기능성이 강조되며 본격적으로 자리잡기 시작한 부속 요소다. 초기에는 단순한 장식이나 미관 요소로 활용되었지만, 제조 기술의 고도화와 흡연자의 건강 우려가 커지면서 필터의 역할에도 변화가 생겼다.
특히 흡연 시 발생하는 연기, 타르, 미세 입자 등을 줄이기 위한 기능적 필요성이 커지면서, 필터는 단순 구조에서 벗어나 다양한 소재와 기술을 접목한 고기능 제품으로 발전해 왔다. 최근에는 여과 성능을 높인 복합 구조형 필터나 환경 친화적 소재를 활용한 제품들이 주목받고 있다.
시장조사기관인 즈옌컨설팅(智研咨询)에서 발표한 “중국 담배필터 산업 시장동향 분석 및 미래전략 전망 보고서(中国香烟过滤嘴行业市场动态分析及前景战略研判报告)“에 따르면, 2024년 중국의 담배필터 산업 시장규모는 1792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0% 증가했다.
<2017-2024년 중국 담배 필터 산업 시장규모 및 증감율>
(단위: 억 위안, %)

[자료: 즈옌컨설팅(智研咨询)]
또한 최근 몇 년간 담배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담배 필터에 대한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업계의 생산량 역시 꾸준히 확대되는 추세다. 중국 내 담배 필터 생산량은 2017년 215만 톤에서 2024년 225만 톤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소비자의 건강 의식 향상과 고품질 담배에 대한 수요 확대에 따라 필터의 연구개발 및 기술 혁신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른 생산량 증가도 지속될 전망이다.
<2017-2024년 중국 담배 필터 산업 생산량 및 증감률>
(단위: 만 톤, %)

[자료: 즈옌컨설팅(智研咨询)]
수출입 동향
2024년 중국 담배 필터의 수출액은 1억5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3% 하락했다. 수출 대상 지역 중에서는 베트남향 담배 필터 수출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2024년 對베트남 수출액은 전년 대비 9.3% 상승한 3400만 달러로 전체 수출액의 23.0%를 차지한다.
<최근 3개년 중국 담배 필터(5601.22) 수출 동향>
(단위: US$ 백만, %)
순위
수출대상 지역
수출액
수출시장 점유율
증감률
(24/23)
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전 세계
173
152
150
100.0
100.0
100.0
-1.3
1
베트남
40
32
34
23.1
20.8
23.0
9.3
2
캄보디아
9
9
10
5.2
6.2
6.7
6.5
3
미얀마
12
11
9
6.8
7.4
6.0
-20.2
4
방글라데시
4
5
7
2.3
3.5
4.6
29.9
5
미국
5
6
6
10.6
3.6
4.2
17.1
6
인도네시아
3
4
6
2.8
3.7
4.0
5.6
7
말레이시아
5
5
6
3.1
3.0
3.7
23.7
8
북한
18
5
6
1.6
2.9
3.7
25.4
9
필리핀
5
6
5
3.0
4.2
3.7
-14.6
10
태국
5
3
5
2.7
2.1
3.6
65.2
[자료: GTA, 2025.7.14.]
2024년 중국의 담배 필터(HS 5601.22) 수입액은 전년 대비 20.7% 감소한 2800만 달러를 기록하며, 3년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전반적인 수입 위축 속에서도 한국은 수입액 500만 달러, 점유율 16.6%를 기록하며 2년 연속 최대 수입국 지위를 유지했다. 對한국 수입은 전년 대비 소폭(-0.5%) 감소했으나, 전체 수입 시장에서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어 상대적 입지는 강화되는 추세다.
미국(5백만 달러), 일본(4백만 달러), 태국(3백만 달러) 등 주요 경쟁국은 모두 두 자릿수의 수입 감소율을 기록하며 시장 축소 영향을 크게 받았다. 특히 태국은 수입액이 전년 대비 47% 급감해 가장 큰 하락 폭을 보였으며, 점유율도 9.0%로 낮아졌다.
<최근 3개년 중국 담배 필터(5601.22) 수입 동향>
(단위: US$ 백만, %)
순위
수입대상 지역
수입액
수입시장 점유율
증감률
(24/23)
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전 세계
51
36
28
100.0
100.0
100.0
-20.7
1
한국
4
5
5
6.8
13.2
16.6
-0.5
2
미국
8
5
5
14.9
15.4
16.3
-15.7
3
일본
7
5
4
13.6
14.7
15.6
-15.5
4
태국
8
5
3
15.8
13.4
9.0
-47.0
5
캐나다
2
1
2
4.1
3.0
6.9
82.4
6
영국
1
2
2
2.4
5.4
7.7
12.8
7
베트남
3
2
2
6.6
5.8
6.5
-10.6
8
오스트리아
0
0
1
0.3
0.9
1.9
70.1
9
중국
2
2
1
4.4
5.8
5.0
-31.4
10
홍콩
3
2
1
5.0
5.0
4.1
-33.9
[자료: GTA, 2025.7.14.]
경쟁동향
중국의 담배 필터 산업은 국유기업, 민영기업, 합자회사 등 다양한 기업 형태가 공존하고 있으며, 기술력, 생산능력, 소재 차별화 등을 중심으로 경쟁이 점차 심화되고 있다.
대표적인 기술 선도 기업으로는 난퉁옌담배필터유한책임회사(南通烟滤嘴有限责任公司)가 꼽힌다. 이 기업은 아세테이트 섬유 기반 필터 생산의 개척자로, 다수의 기술 특허와 독립 연구개발(R&D) 센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연간 약 180억 개의 생산능력을 바탕으로 업계 내 기술 경쟁력을 선도하고 있다.
무단장담배재료공장(牡丹江卷烟材料厂)은 약 9억 위안 규모의 매출을 기록 중인 민영기업으로, 담배용 용지 및 필터의 대량 생산에 특화돼 있다. 지역 기반의 안정적 공급망과 민영기업 특유의 유연성을 강점으로 내세우며, 생산 효율성을 중심으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한편, 시엔허주식(仙鹤股份)과 창더푸룽다야화학섬유(常德芙蓉大亚化纤)는 소재 기반 경쟁력을 앞세워 차별화를 추구하고 있다. 시엔허는 종이 기반 필터용 기능성 소재를 포함한 다분야 제품군을 통해 담배 제조 기업에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며, 창더푸룽다야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와 필터소재 특화로 후난중옌 등 국영 담배사의 기술 시험기지로서의 역할도 수행 중이다. 또한 중옌이성화(中烟益升华)는 주요 국영 담배 제조사들이 공동 출자한 전략적 합작법인으로, 고기능 필터 제품 개발 및 수출입 연계가 가능한 구조를 통해 기술력과 시장 접근력을 동시에 갖춘 신흥 강자로 평가받고 있다.
<중국 내 담배 필터 생산 주요 기업>
국가
기업명
경쟁력
제품
1
중국
무단장담배재료공장
(牡丹江卷烟材料厂)
- 1989년에 설립되었으며 주로 담배 필터를 생산하는 민영기업임
- 2022년 9억1200만 위안의 매출액을 기록하며 헤이룽장 100대 민영기업으로 선정됨
- 각종 담배용 용지 및 담배 필터 등 제조
2
중국
난퉁옌담배필터유한책임회사
(南通烟滤嘴有限责任公司)
- 1991년에 설립되었으며 중국 국가연초전매국이 지정한 담배 필터 전문 생산·연구개발 기관임
- 중국에서 최초로 아세테이트 섬유를 활용해 담배용 필터를 생산한 선도 기업임
- 자체적인 담배 필터 기술센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다양한 연구를 통해 다수의 특허와 수상경력 확보
- 주로 담배 필터와 관련 제품(담배용 가소제, 접착제 등) 가공 및 판매
- 담배 필터 연간 생산량은 약 180억 개
3
중국
시엔허주식
(仙鹤股份)
- 2001년에 설립된 고성능 종이 기반 기능성 소재 연구개발 및 생산 기업
- 중국 전역에 총 5개의 생산거점*을 보유하고 있음
*취장(저장성), 창산(저장성), 네이샹(허난성), 라이빈(광시성), 스서우(후베이성)에 위치
- 고성능 종이 기반 기능성 소재 분야에서 풍부한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음
- 담배제조용 소재, 인테리어용 소재, 인쇄·출판용지, 식품 및 의료용 포장재, 산업용지, 생활소비재 등 6개 주요 분야에서 60여 가지 이상의 제품 생산·공급 중
4
중국
창더푸룽다야화학섬유
(常德芙蓉大亚化纤)
- 1991년에 설립된 창더푸룽다야는 후난중옌공사(湖南中烟公司)가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다야과기(大亚科技)가 출자한 담배 필터 소재 전문 제조업체임
- 중국 국영 담배회사인 국가연초총공사(国家烟草总公司)에 담배 필터와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생산해 판매하며, 후난중옌공사(湖南中烟公司) 기술연구센터의 담배 필터 소재 연구 시험 기지 역할도 수행하고 있음
- 담배용 폴리프로필렌 필터 섬유의 생산·판매
- 필터 수탁가공도 수행 중
5
중국
중옌이성화
(中烟益升华)
- 푸젠중옌(福建中烟), 상하이하이옌(上海海烟), 후난중옌(湖南中烟), 광시중옌(广西中烟) 등 중국 주요 담배 제조 기업들이 2019년에 공동으로 설립한 합자회사
- 담배 필터의 연구개발, 생산 및 판매에 주력
[자료: 각 기업 홈페이지]
유통구조
중국에서 화학섬유로 제조된 담배 필터는 주로 아세테이트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등과 같은 원료를 활용해 필터봉 형태로 가공되며, 이러한 필터봉은 중국연초총공사(中国烟草总公司) 산하의 다양한 담배 제조사에 공급돼 담배 제품에 장착되고 있다.
중국 내 화학섬유 기반 담배 필터는 일반 소비재처럼 직접적인 소비자 대상 유통이 아닌 B2B 구조이며, 대부분 비공개 계약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유통채널은 제조용 원자재와 마찬가지로 일부 온라인과 오프라인 경로를 통해 나타난다.
오프라인 유통은 국가담배총공사 및 그 산하 성급 담배제조공장과의 직접 계약을 통해 이루어지며, 정기 입찰이나 연간 단가 계약을 통해 지정된 공급업체만 납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간 도매상이 존재하지 않고, 필터 제조업체는 생산지에서 직접 트럭이나 철도를 통해 담배제조공장으로 납품하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온라인 유통은 주로 1688, 후이총왕(慧聪网) 등 산업용 B2B 플랫폼에서 이루어지며, 소형 담배 제조사, 연구소, 수출 가공기업 등이 소량 구매하거나 샘플 용도로 활용하고 있다. 일부 전자담배용 필터 제품도 온라인에서 판매되고 있으나, 이는 전체 시장에서 비중이 작고 주로 특수 목적에 한정된다.
관세율, 수입규제 및 인증
2025년 현재, 한국산 담배 필터(HS 코드 5601.22 기준)의 對중국 수출 시 최혜국관세율(MFN)은 8%, 한중 FTA 관세율과 RCEP 관세율은 모두 해당되지 않아 최혜국관세율(MFN)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유리하다.
<2025년 기준 중국 담배 필터 관세율 비교>
(단위: %)
HS Code
품목명
MFN 관세
한중 FTA
RCEP
증치세
(부가가치세)
5601.22
담배 필터
8
-
-
13
[자료: 2025년 중국 수출입세칙]
담배 필터를 중국으로 수출 시, 중국 수입업체는 자동수입허가증(自动进口许可证)을 취득해야 한다. 이는 정부의 사전 신고 및 등록이 필요한 품목에 적용되는 행정 절차로,일반적으로 전략물자, 화학제품, 산업 원재료, 고급 소비재, 환경·안보 영향 물자 등에 적용된다.
해당 허가증은 중국 상무부 또는 지역 상무청이 담당하고 있으며 수입업체가 중국해관총서의 공식 웹사이트(中国国际贸易单一窗口)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허가증은 일반적으로 10일 내 발급된다. 필요한 서류에는 수입 계약서, 선적서류, 사업자등록증, 무역허가증 등이 있다. 유효기간은 일반적으로 6개월이며 연장하거나 내용 변경이 필요할 경우, 기존 허가증을 발급한 기관에 새로 신청해야 하며, 기존 허가증은 자동으로 폐기된다.
전망 및 시사점
중국 담배 필터 산업은 흡연자의 건강 인식 향상과 담배 제품의 고급화 흐름에 힘입어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초기 단순 여과 기능에 머물던 필터는 최근 복합소재와 구조를 활용한 고기능성 제품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기술력 있는 제조사 중심으로 시장 주도권이 재편되고 있는 추세이다.
중국 내에서는 아세테이트, 폴리프로필렌 등 기존 섬유 외에도 친환경, 정밀여과 기능을 갖춘 신소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시엔허주식, 창더푸룽다야 등 기능성 소재 중심 기업들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한국 기업들도 이러한 소재 분야에서 기술 제휴 또는 수출을 통해 협력할 수 있다. 정밀 여과, 냄새 차단, 친환경 등 고기능 필터 소재 또는 반가공 제품의 소량 B2B 수요를 공략하고, 중국 담배 제조사 혹은 관련 연구소와의 R&D 협업 등도 유망한 진출 방식이다.
뿐만 아니라 중국 담배 필터 유통은 대부분 국영 담배공사와의 직계약으로 이뤄지는 B2B 구조이며, 일부 산업용 플랫폼을 통한 유통도 병행되므로 유통채널별 접근 전략을 병행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중국 담배 필터 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우리 기업은 제품 기술력뿐만 아니라 국영 담배공사와의 협력 구조에 대한 이해와 플랫폼 기반 유통망 활용 등 복합적인 전략을 마련해야 하며, 중장기적으로는 현지 제도와 수요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시장 맞춤형 접근이 요구된다.
자료: GTA, 각 기업 홈페이지, 즈옌컨설팅(智研咨询), 2025년 중국 수출입세칙 등 KOTRA 베이징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담배 필터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일본 플라스틱 금형 시장동향
일본 2025-08-18
-
2
사우디아라비아 스마트폰 시장 동향
사우디아라비아 2025-08-18
-
3
미국 공기압축기 시장동향
미국 2025-08-18
-
4
중국, 도시 소비의 패권을 건 퀵커머스 전쟁…승자는?
중국 2025-08-18
-
5
중국 <2022년 외국인투자 장려 및 네거티브 목록> 발표
중국 2022-05-26
-
6
'세계의 공장'을 넘보다…인도 전자제품 제조 서비스 산업, 글로벌 허브로 도약
인도 2025-08-18
-
1
2025 중국 치과산업 정보
중국 2025-09-10
-
2
2025년 중국 실버산업 정보
중국 2025-07-22
-
3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4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5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6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