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미국 공기압축기 시장동향
  • 상품DB
  • 미국
  • 로스앤젤레스무역관 Chris Kim
  • 2025-08-18
  • 출처 : KOTRA

멕시코-미국 공기압축기 수입시장 사이 한국산은 고성능 제품으로 차별화

미국 공기압축기 시장, 산업 경기 변동 속에서도 회복 가능성 높을 것으로 평가

상품명 및 HS코드


공기압축기(Air Compressor) 전기모터, 디젤 엔진 또는 가솔린 엔진의 동력을 이용해 공기를 압축해 고압 상태로 저장하거나 즉시 사용하는 장치다. 압축된 공기는 산업 현장에서 공구 구동, 기계 장비 작동, 유체 이송, 냉각, 제어 밸브 구동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제품군에는 왕복동식(Reciprocating), 회전스크류식(Rotary Screw), 원심식(Centrifugal) 압축기를 비롯해, 질소·산소·수소 특정 가스를 압축하는 특수 가스 압축기, 산업용 분사 장비, 진공펌프 등이 포함된다. HS Code 8414.80(기타 공기 또는 가스 압축기) 해당하며, 여기에는 냉동 압축기나 차량용 소형 펌프 등은 제외된다. 코드는 범위가 넓어, 산업/상업/서비스용 압축기 전반을 포괄한다.

 

시장동향


미국 공기압축기 시장은 제조, 건설, 석유, 가스, 화학, 발전 등 광범위한 산업 분야에서 핵심적인 설비 역할을 수행한다. 공기압축기는 압축 공기를 이용해 생산 라인을 구동하고, 제어 밸브를 작동시키며, 산업 전반에서 필수적인 장치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특성상 공기압축기 수요는 전방 산업의 설비 투자와 경기 흐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글로벌 리서치 기관 IBISWorld의 자료에 따르면, 2024년 미국 공기압축기 산업 매출은 약 87억 달러로, 2019년 이후 연평균 성장률은 -6.8%를 기록하며 전반적인 하락세를 보였다. 팬데믹 기간 산업 전반의 생산 차질과 투자 지연이 발생했고, 이후 경기 회복 속도 둔화가 공기압축기 판매 위축으로 이어졌다.

 

시장 부진의 주요 요인 하나는 저가 수입 공기압축기의 유입 확대다. 특히 중국과 멕시코산 공기압축기가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넓히면서, 미국 제조업체들은 판매 마진이 하락하고 경쟁 압박이 심화됐다. 여기에 공기압축기 제조의 핵심 원재료인 철강과 알루미늄 가격이 국제 시장에서 크게 변동해 생산원가가 불안정해졌고, 이는 기업들의 R&D 투자와 생산 설비 확충에 제약을 줬.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 공기압축기 시장은 중장기적으로 회복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받는다. 2025 이후 금리 인하와 연방/주정부의 인프라 프로젝트 확대가 공기압축기 수요 회복을 촉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석유, 가스, 화학, 발전, 수처리 대규모 플랜트 산업에서 공기압축기 설비의 교체와 신규 설치가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산업에서는 에너지 효율과 안정성이 높은 최신 공기압축기를 채택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고효율 제품 수요가 증가할 전망이다.

 

미국 공기압축기 시장은 제품과 서비스별로 다양한 세분화가 이뤄져 있다. 2024 기준 산업용 특수 가스 압축기가 28 달러로 전체 시장의 32.1% 차지하며 가장 비중을 차지한다. 이어서 일반 공기압축기 부문이 25 달러(29.3%) 뒤를 잇고, 애프터마켓 부품 액세서리 시장도 14 달러(15.6%) 규모로 상당한 비중을 보인다. 외에도 산업용 분무 장비가 10 달러(11.9%), 진공 펌프가 75000 달러(8.7%), 기타 제품군이 2 달러(2.4%) 수준으로 시장을 구성하고 있다.

 

<미국 공기압축기 서비스 분화>

(단위: US$, %)

[자료: IBIS World, ‘Air & Gas Compressor Manufacturing in the US’(2025.4 발간)]

 

수입 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2024 미국의 공기압축기 수입액은 38 달러로, 전체 수요의 비중이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2024 미국 공기압축기 수입은 전년 대비 6% 증가했으며, 주요 수입국은 멕시코로, 전체 수입의 22% 차지했다. 중국, 독일, 캐나다도 주요 수입국으로 성장하고 있다.

 

멕시코는 2020 7 발효된 USMCA(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 통해 무관세 혜택을 안정적으로 확보했다. 여기에 저임금 생산비와 북미 시장과의 지리적 근접성이 결합되면서 미국의 최대 공기압축기 공급국으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현지 생산 설비와 신속한 물류망을 기반으로 ·저가 범용 제품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은 2024 미국 공기압축기 수입국 순위에서 12위를 기록했으며, 연간 수입액은 8600 달러였다. 이는 전체 수입액 대비 점유율이 크지 않은 수준이지만, 전년 대비 17.44% 증가한 수치로 한국산 공기압축기는 고성능 산업용 모델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어 특정 프리미엄 시장을 중심으로 수요를 키워가고 있다. 특히 대형 플랜트, 발전소, 조선, 석유·가스 산업 특수 사양이 요구되는 분야에서 맞춤형 설계와 내구성이 뛰어 제품을 공급하며 차별화된 입지를 확보하고 있다.

 

<최근 3년간 미국의 공기압축기 수입 동향(HS Code 8414.80기준)>

(단위: US$ 억, %)

국가/지역

연도별 수입액

비중

증감률

2022년

2023년

2024년

2022년

2023년

2024년

`23/`24

-

전체

31.19

36.07

38.24

100.0

100.0

100.0

6.0

1

멕시코

9.83

12.09

10.69

30.8

33.5

28.0

-11.6

2

중국

5.08

4.11

4.83

15.9

11.4

12.6

17.3

3

독일

2.29

2.81

4.04

7.2

7.8

10.6

43.7

4

캐나다

2.37

3.58

3.42

7.5

9.9

9.0

-4.4

5

벨기에

1.86

2.37

2.86

5.8

6.6

7.5

20.3

6

이탈리아

1.32

2.31

2.71

4.2

6.4

7.1

17.3

7

스위스

0.67

0.86

1.06

2.1

2.4

2.8

22.4

8

대만

0.86

0.66

0.98

2.7

1.8

2.6

48.7

9

인도

0.98

1.03

0.96

3.1

2.9

2.5

-7.0

10

영국

0.97

0.94

0.92

3.0

2.6

2.4

-2.1

12

대한민국

0.83

0.73

0.86

2.6

2.0

2.2

17.4

*: 순위 정렬은 2024 수입액 기준

[자료: IHS Markit Connect Global Trade Atlas(2025.8.07)]

 

경쟁 동향


미국 공기압축기 시장은 다수의 중소 제조사가 활동하는 분산형 구조를 보이지만, 글로벌 대기업이 핵심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시장 1위는 스웨덴의아틀라스콥코’(Atlas Copco), 미국 공기압축기 시장점유율 29.8% 유지하고 있다. 회사는 에너지 효율과 탄소 배출 저감 기술을 핵심 경쟁력으로 내세우며, 산업용 회전스크류식 공기압축기, 원심식 대형 압축기, 의료용 특수 가스 압축기 폭넓은 제품군을 제공한다. 또한, 스마트 제어 시스템과 예측 유지보수 기능을 탑재한 차세대 공기압축기를 통해 고객의 운영비 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동시에 지원하고 있다.


 <아틀라스 코르포 산업용 공기압축기>

Air compressors models and industrial solutions - Atlas Copco USA
[자료: AtlasCorpo]

 

아일랜드에 본사를 트레인 테크놀로지스’(Trane Technologies) 역시 HVAC(난방·환기·공조) 분야의 강점을 바탕으로, 냉난방 솔루션과 통합된 산업용 공기압축기를 공급하며 시장점유율 5.2% 기록하고 있다. 회사는 에너지 효율이 높은 공기압축기 제품을 통해 산업 시설의 통합 에너지 관리 수요를 공략하고 있으며, 환경 규제 대응 솔루션을 패키지 형태로 제공해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외에도 가드너덴버(Gardner Denver, 현재 Ingersoll Rand 합병), 케이저콤프레서(Kaeser Compressors), 줄랜드(Zulands) 글로벌 지역 기반 제조사들이 미국 시장에서 활동하고 있다. 대형 제조사들은 대규모 플랜트와 글로벌 공급망에 맞춘 대형 공기압축기를 주력으로 공급하는 반면, 중소 제조사들은 산업별 맞춤형 소형 압축기, 저소음 모델, 특수 환경 대응형 제품 등을 제공하며 틈새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유통구조


미국 공기압축기 유통구조는 주로 기업 거래(B2B) 채널을 중심으로 형성돼 있다. 산업 건설용 대형 압축기의 경우, 전문 산업 장비 유통사를 통해 공급되는 비중이 높으며, OEM(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 네트워크와 장비 임대업체들도 주요 공급 경로로 활용된다. 이러한 채널들은 대규모 프로젝트나 공장 설비에 적합한 맞춤형 장비를 신속하게 제공하는 중점을 두고 있다. 한편, 서비스 유지보수 시장에서는 제조사 직영 서비스 센터나 공식 인증 대리점들이 핵심 역할을 담당한다. 이들은 부품과 소모품 판매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유지보수와 수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장비 가동률을 높이고, 장기적인 고객 관계를 유지하는 기여하고 있다. 최근에는 온라인 유통 채널의 비중도 점차 확대되는 추세. 특히 중소기업이나 개인 창업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소형 휴대형 압축기 부문에서 아마존(Amazon), 그레인저(Grainger), MSC 인더스트리얼 다이렉트(MSC Industrial Direct) 같은 대형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거래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채널은 편리한 접근성과 빠른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며,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히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관세 및 인증


미국으로 수입되는 공기압축기는 주로 HS 코드 8414.80 해당하며, 일반 관세율은 세부 코드와 수입 국가 무역 협정에 따라 다르다. 러시아, 벨라루스, 쿠바, 북한을 제외한 국가의 경우 품목에 따라 일반 관세율 0~3.7% 적용받게 되며, 한국산의 경우 FTA 무관세를 적용받는다. 그러나 트럼프 2 행정부의 상호 관세 부과 조치로 인해 상호관세가 추가로 부과되고 있다. (’25.7.30.일부 한미 무역협정 타결 내용에 따라 상호관세율은 15%)   

 

제품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미국 공기압축기는 다양한 인증 규격 준수가 요구된다. 대표적으로 미국 안전인증기관인 UL(Underwriters Laboratories) 인증을 받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외에도 ANSI(미국 국가표준협회) ASME(미국 기계학회)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특히 산업용 공기압축기는 작업 환경에 따라 OSHA(미국 산업안전보건국) 규정 준수도 필수적이며, 에너지 효율 측면에서는 DOE(미국 에너지부) 규제를 따라야 한다. 이러한 인증 절차는 제품의 시장 진입 장벽이 있으나, 동시에 품질 신뢰도를 높여 고객 신뢰 확보와 경쟁력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시사점 및 전망


미국 공기압축기 시장은 산업 전반의 경기 변동, 무역정책 변화, 그리고 원자재 가격 변동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 앞으로 시장 변화의 핵심 요소로는 우선 금리 인하와 인프라 투자 확대에 따른 설비 투자 수요의 회복 가능성이 꼽힌다. 이러한 긍정적 요인에도 불구하고, 내수 수요가 증가하더라도 가격 경쟁력이 뛰어난 저가 수입품이 시장에서 상당 부분을 차지할 가능성이 수입 대체율 하락이 예상된다. 이와 함께 기술적 진보와 ESG 대응이 시장 경쟁력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미국 공기압축기 제조사들은 고효율 제품 개발과 함께 서비스 부문 강화를 통해 가격경쟁력이 높은 수입 제품과 차별화를 꾀해야 하며, ESG 규제 강화와 친환경 설비 전환이라는 시대적 흐름에 맞춘 전략 수립이 필수적이라 있다. 한국 기업의 경우, 미국 공기압축기 시장 진출 전략은 단순 가격 경쟁보다 기술력·품질·서비스 차별화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미국 내수 수요가 확대되더라도 가격 경쟁력이 높은 저가 수입품(주로 멕시코·중국산) 점유율 상당 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프리미엄·특수 용도 시장 공략하는 것이 효과적일 있겠다.

 


자료: IBIS World, Gardner Denver, Global Trade Atlas, AtlasCorpo, USITC, KOTRA 로스앤젤레스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미국 공기압축기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