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일본 플라스틱 금형 시장동향
  • 상품DB
  • 일본
  • 오사카무역관 하마다유지
  • 2025-08-18
  • 출처 : KOTRA

2024년 플라스틱 금형 생산액은 1229억 엔...전년 대비 4.6% 증가

'24년 한국 수입액은 전년 대비 -12% 감소했으나, '25년 상반기엔 전년 대비 17.8% 증가해 호조

한국 제품 품질 평가는 긍정적, 그러나 숨은 비용 부담...가격 외 조건과 신뢰 확보가 일본 진출의 핵심

상품명 및 HS 코드


HS Code 8480은 금속 주조용 주형틀, 주형 베이스, 주형 제조용 모형, 금속[잉곳(ingot)용은 제외], 금속탄화물, 유리, 광물성 물질, 고무, 플라스틱 성형용 주형을 포함한다. 그중 HS Code 8480.71은 사출식 또는 압축식을 나타낸다. 본 조사에서는 플라스틱 금형을 중심으로 기재한다.

 

<상품명 및 HS 코드>

HS Code

범주

8480.71

플라스틱 금형

[자료: 일본 재무성, 한국 관세법령정보포털, 일본금형공업회]


플라스틱 금형은 사출 성형, 압축 성형, 이송 성형, 취입 성형, 진공 성형 등 다양한 방식으로 분류되며, 금형을 통해 가공된 플라스틱은 가전, 자동차, 잡화 등 각종 부품 제조에 사용된다. 대표적인 가공품으로는 TV, OA 기기, 가전제품 등이 있다.

 

<제품 이미지>

[자료: 일본금형공업회, KOTRA오사카무역관]


시장 동향

 

일본의 금형 전체 생산액은 2024년에 약 3197억 엔을 기록했다. 업체 수는 2022년 기준 4537개소였다. 이 중 종사자 9명 이하의 소규모 업체가 60.8%를 차지한다. 일본 금형 산업이 가장 호황이었던 1991년과 비교하면, 업체 수는 약 13000개소에서 65.1% 감소한 상황이다. 2024년 플라스틱 금형 생산액은 1229억 엔이며, 이 중 일본 국내 생산분은 255억 엔을 기록했다. 생산량을 보면 2024년은 2만5896세트로, 전년 대비 439세트, 즉 1.6%만큼 감소했다. 플라스틱 금형은 일본 금형 전체 생산액의 38.4%, 생산량의 6.1%를 차지한다내재은 금액 기준 20.7%, 생산량 기준 16.2%다. 


코로나19 사태와 반도체 부족의 영향으로 2020년 이후 수요가 정체 있으며, 향후 시장 확대의 핵심 요인은 전기차(EV) 수요 확대 여부다. 일본 시장은 기술자의 고령화와 일손 부족이 지속되고 있다. 해외 금형 제조사와의 가격 경쟁 심화로 인해 일본 금형 제조사들은 미세 가공 기술, 하이 사이클 성형 대응 등 고부가가치 금형 생산으로 전환하는 추세다.

 

<플라스틱 금형 시장 규모(생산 금액) 추이>

(단위: 백만 엔)

연도

플라스틱 금형

금형 전체

전체

전체 중 국내 생산분

전체

전체 중 국내 생산분

2019

131,013

32,383

398,765

106,914

2020

127,175

30,890

358,389

95,349

2021

122,693

28,396

344,239

87,386

2022

131,164

28,499

355,620

99,523

2023

117,464

24,469

324,355

81,303

2024

122,918

25,488

319,791

82,027

*주: 종업원 30명 이상의 업체 기준

[자료: 경제산업성, 일본금형공업회]

 

<플라스틱 금형 시장 규모(생산 수량) 추이>

(단위: 세트)

 연도

플라스틱 금형

금형 전체

전체

전체 중 국내 생산분

전체

전체 중 국내 생산분

2019

30,476

5,839

505,386

76,225

2020

29,686

5,367

483,443

63,208

2021

28,523

5,237

484,277

66,809

2022

27,679

4,885

468,087

71,420

2023

26,335

4,233

449,433

66,562

2024

25,896

4,188

425,296

61,477

* 주: 종업원 30명 이상의 업체 기준

[자료: 경제산업성, 일본금형공업회]

 

주재국 수입 동향 및 대한 수입 규모

 

2024년 HS Code 8480.71의 전체 수입액은 전년 대비 약 6.3% 증가한 5억6083만 달러 규모였으며, 이 중 약 57%를 중국 수입품이 차지했다. 그 외에는 한국, 태국, 베트남 순으로 수입액이 많았다.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을 살펴보면, 2024년에는 전년 대비 약 12% 감소한 약 1억5223만 달러 수준이었다.

 

<최근 3년간 국가별 수입 동향 (HS Code 8480.71 기준)>

(단위: US$ 천, %)

순위

국가/지역

수입액

점유율

증감률

’24/’23

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전세계

606,190

527,785

560,832

100.0

100.0

100.0

6.3

1

중국

307,904

282,956

320,460

50.8

53.6

57.1

13.3

2

한국

215,181

172,508

152,231

35.5

32.7

27.1

-11.8

3

태국

33,490

32,299

32,760

5.5

6.1

5.8

1.4

4

베트남

14,090

12,608

16,135

2.3

2.4

2.9

28.0

5

캐나다

10,263

5,490

12,684

1.7

1.0

2.3

131.1

6

인도

4,213

3,072

6,162

0.7

0.6

1.1

100.6

7

대만

10,679

6,394

5,583

1.8

1.2

1.0

-12.7

8

독일

1,768

2,266

4,309

0.3

0.4

0.8

90.2

9

필리핀

3,160

3,149

3,347

0.5

0.6

0.6

6.3

10

이탈리아

389

439

1,236

0.1

0.1

0.2

181.5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8.1.)]

 

2025년 1월부터 6월까지의 수입액은 전년 대비 14.8% 증가한 2억8163만 달러 규모였다. 이 중 약 27%를 한국 수입품이 차지했다. 한국에서의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18%가량 증가한 약 7504만 달러였다.

 

<2025년 1~6월 국가별 수입 동향 (HS Code 8480.71 기준)>

(단위: US$ 천, %)

순위

국가/지역

수입액

점유율

증감률

’25/’24

2023

2024

2025

2023

2024

2025


전 세계

282,023

245,393

281,629

100.0

100.0

100.0

14.8

1

중국

149,442

137,923

156,558

53.0

56.2

55.6

13.5

2

한국

97,448

63,693

75,037

34.6

26.0

26.6

17.8

3

태국

15,739

12,975

25,479

5.6

5.3

9.0

96.4

4

베트남

6,134

8,485

7,006

2.2

3.5

2.5

-17.4

5

캐나다

1,733

10,049

5,812

0.6

4.1

2.1

-42.2

6

대만

3,424

2,707

3,966

1.2

1.1

1.4

46.5

7

인도

1,884

2,948

2,492

0.7

1.2

0.9

-15.5

8

필리핀

1,926

1,456

1,227

0.7

0.6

0.4

-15.8

9

독일

1,020

1,399

879

0.4

0.6

0.3

-37.2

10

룩셈부르크

329

408

778

0.1

0.2

0.3

90.9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8.1.)]

 

경쟁 기업

 

플라스틱 제품 제조사가 자체적으로 금형을 내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금형 전문 업체의 사업 규모를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렵다. 또한, 중소기업 비중이 높아서 매출액이나 종업원 수 등 경영 정보가 공개되지 않은 기업도 다수 존재한다. 따라서, 경쟁 기업을 파악할 때는 일본금형공업회 정회원 정보가 유용하다. 2025년 8월 5일 기준, 일본금형공업회 정회원은 425개사이며, 이 중 플라스틱 금형을 취급하는 기업은 220개사다.

 

<플라스틱금형 및 부품 재조사 예>

기업명

본사

종업원 수 (명)

제조 품목

일본금형공업회 회원

PUNCH INDUSTRY

도쿄

3,463

플라스틱 금형용 부품, 기계 부품 외

비회원

FUJITSUKA PRECISION MOLD

오사카

28

플라스틱 금형/정밀금형(내제 100%)

비회원

COSMO SEIKI

에히메

42

플라스틱 금형, 플라스틱 제품

비회원

hakkai

도쿄

190

정밀 플라스틱용 금형

회원

HIZIMA

도야마

45

사출성형 금형, 블로우성형 금형, 컴프레션 금형

회원

IIDA

오사카

70

플라스틱 금형용 몰드베이스

회원

enplas

사이타마

770

플라스틱 금형/사출성형, 인젝션

회원

Nishinihon Seiki

후쿠오카

56

플라스틱용 금형, 성형 가공

회원

[자료: 일본금형공업회, 기업 홈페이지]

 

유통구조

 

금형은 주문 생산 방식이기 때문에 무역상사 등 중간 유통사가 적은 것이 특징이다. 다만, 무역상사 중에서도 오랜 기간 전문 무역상사로서 중국 등 해외 제조사와 거래하며 다양한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기업들이 많다. 기본적으로 금형 제조사와 완제품 제조사 간에 직접 거래가 이루어지지만, 금형 제조사가 해외 기업에 외주를 맡기고 직접 수입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또한 일본 내에서 생산하더라도 협력 공장과의 분업을 거치거나, 해외에서 생산한 후 수입해 일본에서 조립·마무리 작업을 하는 사례도 많다.

 

관세율 및 인증

 

HS Code 8480.71 기준 WTO 협정 관세율은 무세이며 통관 시 소비세 10%가 부가된다. 특별한 수입 규제나 인증 요건은 없다.


<관세율>

HS Code

기본

WTO협정

RCEP

8480.71

Free

Free

Free

[자료: 일본 재무성 무역통계 실행 관세율표]

 

시사점

 

일본 플라스틱 금형 시장은 자동차 분야를 중심으로 안정적인 수요를 유지하고 있으나, 해외 기업과의 가격 경쟁, 일손 부족 문제 등 다양한 과제에 직면해 있다. 이에 앞으로는 고정밀·고기능 금형 등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으로 전환할 것으로 예상되는 바, 생산 효율화가 생존의 핵심 요소가 될 전망이다.


한편, 바이어들은 한국 제품에 대해 품질 면에서는 일본 제품과 큰 차이가 없다고 평가하고 있다. 다만 해외 제품은 초기 비용이 저렴하더라도 품질 관리 비용, 운송 비용, 조정 비용 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금형 단가만으로 판단하기 어렵다는 점을 지적한다. 1990년대부터 한국 금형 산업을 지켜봐 온 플라스틱 금형 제조사 K사 대표는 KOTRA 오사카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가격 면에서 일본 제품보다 높은 경우도 있다”라면서, “한국 역시 분업이 진행되고 있어 결함이 발생하면 문제 해결에 시간이 걸린다”라는 단점을 언급했다. 납기가 짧거나 높은 정밀도가 요구될 때는 일본 내에서 거래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결국 가격 외적인 측면에서 일본 기업이 만족할 수 있는 조건을 제시하고 신뢰를 확보할 수 있는지가 일본 기업과의 거래 성사 여부를 가르는 핵심이 될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관련 전시회>

전시회명

INTERMOLD(금형가공기술전)/금형전/금속가공 기술전

개최장소

TOKYO BIGSIGHT(일본 도쿄)

INTEX Osaka (일본 오사카시)

PORT MESSE NAGOYA(일본 나고야)

개최기간

도쿄: 2025.4.16.(수)~18.(금) (3일간)

오사카: 2026.4.15.(수)~17.(금) (3일간)

나고야: 2026.5.20.(수)~22.(금) (3일간)

홈페이지

https://www.intermold.jp/

개최 주기

지역별로 2년에 한 번 (2025년: 도쿄, 2026년: 오사카, 나고야)

주최

일본금형공업회

개최규모

 

도쿄(‘25)

오사카(‘24)

나고야(‘24)

참가기업 수

525개사 745부스

395개사 699부스

391개사 544부스

참관객 수

41,461명

37,057명

38,998명

주요 품목

・금형 제조 기술 (공작 기계, 방전 가공, 절삭·연삭, 마무리 가공, 주변 장치)

・로봇, 자동화 장치, 노동력 절감 장치

・절삭 공구

・기계 공구, 연마, 연마석

・툴링·도구 고정 장치, 치구

・IoT 솔루션, AI

・금형 설계

・CAD/CAM/CAE

・측정기, 계측기

・시제품 제작·모델링

・금형, 성형 샘플

・금형 재료, 강재, 금형 부품

・성형 재료

・정밀 마무리, 연마 가공

・세척, 수리, 유지 보수

・열처리, 표면 처리

・유제, 화학 제품

・생산 관리 시스템, 디지털 전환(DX), 인력 절감

・각종 부품 가공 기술 등

・각종 성형 가공 (금속 프레스 가공, 플라스틱 성형, 고무 성형, 유리 성형, 단조, 주조, 다이캐스팅)

・환경 친화적 제품, 소재

・3D 프린터, 금속 적층 조형, 수지 적층 조형 등

・프레스 가공 기계 : 서보 프레스, 기계 프레스, 유압 프레스, 트랜스퍼 프레스, 파인 블랭킹, 심압 프레스, 분말 성형 프레스, 냉·온·열간 단조 프레스 등

・주변 장비 : 트랜스퍼 시스템, 언코일러, 레벨러, 피더, 안전 장치, 기타 관련 장비

・로봇·자동화 시스템 

・프레스 금형·프레스 금형 부품 

・각종 금속 프레스 가공품·성형 샘플 외

[자료: 전시회 홈페이지]

 


자료: 일본 재무성, 한국 관세법령정보포털, GTA, 경제산업성, 기업 홈페이지, 업종별 심사사전, 일본금형공업회, KOTRA오사카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일본 플라스틱 금형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