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UAE 클렌징 제품 시장 동향
  • 상품DB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무역관 박미진
  • 2025-08-06
  • 출처 : KOTRA

중동 뷰티 허브 UAE, 클렌징 제품 수요 지속 확대

디스트리뷰터 확보와 인증 획득이 시장 진입의 핵심

상품명 및 HS 코드

 

ㅇ 상품명: 클렌징 제품(얼굴 세안용)

ㅇ HS 코드: 340130 – 피부세척용 유기계면활성제품과 조제품(액체나 크림 형태의 소매용으로 한정하며, 비누를 함유한 것인지에 상관없다)

 

시장 동향

 

2024년 UAE 스킨케어 제품 시장 규모는 17억5000만 디르함(약 6950억 원)을 기록, 이 중 클렌징 제품 시장은 2억 디르함(약 775억 원) 규모로 전체 스킨케어 제품 시장의 11.8%를 차지했다.

 

UAE 스킨케어 제품 시장은 높은 가처분 소득과 뷰티에 대한 큰 관심을 바탕으로 팬데믹 시기를 제외하고 경기 변동과 관계없이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왔다. 2019년부터 2024년 사이 스킨케어 제품의 연평균 성장률은 4.9%에 달했으며, 클렌징 제품의 경우 스킨케어 제품의 성장률을 능가하는 연평균 6.4%의 성장을 나타냈다.

 

<UAE 스킨케어 및 클렌징 제품 시장 규모>

(단위: AED 백만)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스킨케어

1,370.2

1,262.6

1,347.6

1,493.7

1,614.1

1,744.3

클렌징 제품

150.6

143.7

152.4

171.7

187.2

205.6

*주: 1AED=377.98원(2025년 7월 22일 기준)

[자료: 유로모니터]

 

클렌징 제품 시장은 2024년 이후에도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Euromonitor)에 따르면, UAE 내 클렌징 제품 시장은 2029년까지 연평균 5.0%의 성장률을 기록, 2029년에는 시장 규모가 2억6200만 디르함(약 984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UAE 스킨케어 및 클렌징 제품 시장 규모 전망>

(단위: AED 백만)


2025

2026

2027

2028

2029

스킨케어

1,813.2

1,886.5

1,964.4

2,044.1

2,126.5

클렌징 제품

215.5

226.0

237.3

249.1

262.0

*주: 1AED=377.98원(2025년 7월 22일 기준)

[자료: 유로모니터]

 

시장 성장에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불안에 기인한 일부 부정적 요소가 존재함에도 UAE 경제는 비석유 부문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나가고 있다. 아울러 거주 인구 및 관광객 증가, 고가·프레스티지 브랜드에 대한 소비 수요 확대가 맞물리며 시장 확대를 견인하고 있다.

 

사막기후로 보습 중심의 스킨케어에 관심이 많고 두터운 메이크업을 즐기는 UAE 소비자의 성향 또한 클렌징 제품 수요로 이어지고 있다. 피부 노폐물과 메이크업 잔여물을 제거하는 점을 중요하게 생각해, 클렌징 제품은 UAE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3대 스킨케어 제품 품목으로 보습제, 자외선 차단제와 함께 꾸준히 이름을 올리고 있다. 특히 세정효과와 더불어 안티에이징, 미백, 진정, 보습 등 부가기능을 강조한 제품이 주목받는 편이다. 일반적으로 기능성과 가성비를 모두 갖춘 중가의 글로벌 브랜드 제품 인기가 높은 편이며 소비자는 피부에 자극이 적고 과학적 근거가 뒷받침된 안전한 성분의 제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재국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 규모

 

2024년 기준 UAE의 클렌징 제품 수입액은 약 1억3753만 달러로 전년 대비 약 20% 이상 증가했다. 주요 수입국은 미국, 프랑스, 이탈리아 등이며 이들 3개 국가로부터의 수입이 전체 수입액의 5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미국으로부터 수입은 3000만 달러로 집계되어, UAE의 최대 수입국이지만 점유율은 22.1%로 전년의 27.2% 대비 다소 하락한 모습을 보였다. 반면 프랑스(1793만 달러, 13.0%)와 이탈리아(1536만 달러, 11.2%)는 예년 수준을 유지, 對싱가포르 수입액은 2022년 330만 달러에서 2024년 1368만 달러로 급증, 주요 수입국으로 부상했다.

 

2022년 67만 달러에 머물렀던 우리나라로부터의 수입은 2024년 560만 달러로 8배가량 급증했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2024년 UAE 클렌징 제품 수입 시장 점유율 4.1%를 차지하며 7대 수입국에 올랐다.

 

이 밖에도 영국, 독일, 인도, 폴란드, 중국 등이 UAE 클렌징 제품 주요 수입국에 이름을 올렸다.

 

<UAE 국가별 클렌징 제품 수입 현황>

(단위: US$ 천, %)

순위

국가명

수입액

비중

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94,875

114,533

137,530

-

-

-

1

미국

28,049

31,155

30,381

29.6

27.2

22.1

2

프랑스

11,619

16,076

17,929

12.2

14.0

13.0

3

이탈리아

9,291

11,051

15,364

9.8

9.6

11.2

4

싱가포르

3,305

6,366

13,681

3.5

5.6

9.9

5

영국

6,625

9,461

9,354

7.0

8.3

6.8

6

독일

5,929

7,114

8,134

6.2

6.2

5.9

7

대한민국

670

1,201

5,635

0.7

1.0

4.1

8

인도

2,955

2,854

4,193

3.1

2.5

3.0

9

폴란드

3,225

3,549

3,914

3.4

3.1

2.8

10

중국

3,604

2,919

3,807

3.8

2.5

2.8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년 7월]

 

경쟁동향

 

UAE 스킨케어 시장에는 전 세계 모든 브랜드가 진출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다수의 글로벌 브랜드, 프리미엄 브랜드들이 진출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UAE 스킨케어 시장 상위 5개 브랜드는 바이오더마(Bioderma), 니베아(Nivea), 올레이(Olay), 바셀린(Vaseline), 로레알(L'Oréal)로 글로벌 브랜드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인도계 인구에 기반한 더모비바(DermoViva) 또한 한 자릿수 점유율을 나타냈다. 아울러 클라란스(Clarins), 크리니크(Clinique), 랑콤(Lancôme), 키엘(Kiehl's)등 프리미엄 브랜드 및 우리나라 브랜드인 더페이스샵(The Face Shop)이 1~2% 수준의 시장을 점유 중이다.

 

<UAE 시장에서 판매 중인 주요 제품 현황>

브랜드명

제품 상세

클라란스

(Clarins)

· 제품명 : Hydrating Gentle Foaming Cleanser, 125ml

· 가격 : 135.0 AED

크리니크

(Clinique)

· 제품명 : 3-Step Skin Care System- Step 1: Liquid Facial Soap, 200ml

· 가격 : 125.0 AED

키엘

(Kiehl)

· 제품명 : Ultra Facial Cleanser with Squalane, 150ml

· 가격 : 115.0 AED

닥터 자르트

(Dr. Jart+)

· 제품명 : Cicapair Gentle Cleansing Foam, 150ml

· 가격 : 120.0 AED

로레알

(L'Oreal Paris)

· 제품명 : Innovation Glycolic-Bright Glowing Daily Cleanser Foam White, 100ml

· 가격 : 36.79 AED

올레이

(Olay)

· 제품명 : Olay Natural White Cleansing Face Wash, 100g

· 가격 : 18.79 AED

더모비바(Dermoviva)

· 제품명 : Face Wash Green Tea, 150ml

· 가격 : 18.29 AED

* 주: 1AED=377.98원(2025년 7월 22일 기준)

[자료: Sephora UAE, Carrefour]

 

유통구조

 

클렌징 제품을 포함하는 UAE 스킨케어 제품 시장은 주로 디스트리뷰터 중심의 유통망을 기반으로 형성돼 있다. 일부 글로벌 브랜드를 제외하고 대다수의 해외 기업들은 현지 디스트리뷰터와의 수출 계약을 통해 납품하고, 디스트리뷰터는 백화점, 하이퍼마켓, 슈퍼마켓, 온라인 쇼핑몰, 홈쇼핑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최종 소비자에게 판매한다.

 

디스트리뷰터는 현지 인증 취득부터 통관, 물품 보관, 재고 관리, 사후 서비스에 이르는 수입과 유통의 전 과정을 대행함으로써 해외 기업의 UAE 시장 진출 전반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현지 디스트리뷰터를 통한 현지 진출은 복잡한 규제와 시장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규모가 작은 신생 브랜드의 경우, 디스트리뷰터를 통한 진출이 비용이나 유통 조건 등에서 오히려 부담이 될 수 있어 진입 장벽이 되기도 한다.

 

<UAE 클렌징 제품 유통구조 요약>

[자료: 두바이무역관 정리]

 

관세 및 인증

 

HS 코드 340130에 대한 UAE의 수입관세율은 5%이며, 부가가치세(VAT) 5%가 추가 적용된다.

 

클렌징 제품을 UAE로 수입, 유통하는 현지 디스트리뷰터는 통관 이전에 UAE 산업첨단기술부(MOIAT, Ministry of Industry and Advanced Technology)가 규정하는 ECAS(Emirates Conformity Assessment Scheme)를 획득, 해당 제품이 UAE 규격 기준에 부합함을 증명해야 한다. 실질적 인증 심사와 발급 과정은 MOIAT가 지정한 인증기관(Notified Body)에서 대행하는데 이때 UAE 사업자등록증이 필수 제출 서류이어서 해외 제조기업은 현지 디스트리뷰터에게 인증 과정을 위임하는 구조다.

 

<2025년 3월부 변경된 신규 ECAS 로고>

[자료: MOIAT]

 

<ECAS 인증 취득 절차 및 구비서류>

ㅇ 인증 취득 절차 요약

 - (해외 기업) 수출 계약 통한 현지 수입업체(바이어, 디스트리뷰터) 선임 혹은 현지 법인 설립 

 - (디스트리뷰터) 인증기관 문의 및 신청서 제출 → MOIAT 인증비용 및 인증기관 수수료 납부 

 - (인증 기관) 인증 심사 완료 및 인증 발급

 

ㅇ 구비서류

 - 유효한 UAE 사업자등록증 (Valid UAE Industry/Trade License)

 - 산업측정시스템 등록 인증서 (Registration certificate for Industrial Measurement System)

 - 걸프 표준 UAE.S GSO 1943에 따라 공인된 실험실에서 발급한 시험성적서 (Test Report from accredited and recognized laboratory according to UAE.S GSO 1943)

 - 제조사가 발급한 제품 원료 및 구성에 대한 보고서 (Formula Declaration with ingredients and percentage issued by the manufacturer)

 - 수입제품의 경우 자유판매 증명서 (For Imported Products : Free sale certificate on the manufacturer letterhead)

 - 라벨 디자인 예시 (Representative artwork, Label of the product. according to Annex No. 1 of the cabinet resolution No. 18 of 2014)

 - 제품 안전성 보고서 (Product safety report according to Annex No. 3 of the cabinet resolution No. 18 of 2014)

 - 적합성 선언 (Electronic Declaration of Conformity)

 - 수수료

[자료: MOIAT]

  

시사점

 

물류와 관광의 역내 허브라는 명성에 걸맞게 UAE에는 무수히 많은 스킨케어 제품 브랜드가 진출해 있다. 한편 UAE 소비자들은 새로운 제품에 대한 수용도가 높고 기능성과 향기에 대한 기대치가 높은 편이다.

 

중동 지역 최대 뷰티 디스트리뷰터는 KOTRA 두바이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UAE 소비자들이 스킨케어 제품을 활용하는 가장 큰 이유로 보습감 있고 광이 나는 피부결을 원하기 때문이며 세정제품이라 하더라도 안티에이징이나 미백 등 추가 기능을 갖춘 제품을 선호한다고 전한 바 있다.

 

이에 따라 UAE 진출을 희망하는 우리 기업은 K-뷰티가 가진 저자극 성분, 우수한 품질과 기능, 다채로운 향 등의 강점을 적극 홍보해야 한다. 특히 제품의 효과와 안전성을 뒷받침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 기반의 브랜드 홍보 전략 또한 미리 준비해 두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현지 소비자의 높은 기대 수준에 부응하고 신뢰를 얻어 성공적인 시장 안착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자료: Euromonitor, Fitch Solutions, Global Trade Atlas, MOIAT, 현지 언론 및 KOTRA 두바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UAE 클렌징 제품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