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환경보호 산업의 녹색·저탄소 전환 정책 및 사례 분석
- 트렌드
- 중국
- 난징무역관
- 2025-08-06
- 출처 : KOTRA
-
2025년 6월 6일, 옌청에서 한중(옌청 산업단지) 기술 설명회 및 수출상담회 개최
장쑤성, 녹색·저탄소 전환 적극 추진…한국과의 심층 교류·협력 기대
2025년 6월 6일, ‘2025 한중(옌청 산업단지) 기술설명회 및 수출상담회’가 중국 장쑤성(江苏省) 옌청시(盐城市)에서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대한민국 환경부와 중국 생태환경부 해외환경협력센터(FECO, 对外合作与交流中心)가 공동 주최했으며, 한중 양국의 정부 관계자와 환경산업 관련 유관기관 및 기업인 등 약 100명이 참석했다. 6월 4일부터 6일까지 상하이에서 개최된 환경 보호 및 에너지 절약 박람회(WieTec 2025)의 연계 프로그램으로 마련됐으며, WieTec 박람회 참가 이후 한국 방문단이 장쑤성 옌청시로 이동하여 중국 정부 및 유관기관, 기업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기술설명회와 수출상담회를 진행했다. 이번 행사를 통해 한·중 양국의 기업들은 환경 산업 관련 기술과 적용 사례 등을 교류하며 실질적인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2025 한중(옌청 산업단지) 기술설명회 및 수출상담회 현장 사진>
[자료: KOTRA 난징무역관 촬영]
딩후이(丁辉) 중국 해외환경협력센터 서기는 “이번 행사는 양국 정부가 합의해 이행하고 있는 ‘맑은 하늘 계획(晴天计划)*’의 일환으로, 양국 간 환경산업 협력을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양국의 환경 기술 기업들이 실질적인 협력을 통해 상호 윈윈하는 성과를 만들어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맑은 하늘 계획’(晴天计划): 한중 양국이 미세먼지 문제 해결과 저탄소 녹색전환 등을 위해 협력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양국간 협약으로, 2019년 한국 환경부 장관과 중국의 생태환경부 부장이 각기 서명했음.
또한, 한국 환경산업협회와 옌청시 팅후구(亭湖区)는 각각 ‘옌청 산업단지의 녹색·저탄소 발전 현황’과 ‘한국 환경산업 동향 및 발전을 위한 협회의 역할’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며 양국 환경산업의 발전 방향과 협력 가능성을 공유했다.
중국 환경보호 산업 시장 규모 및 관련 정책
최근 중국은 ‘2030년 탄소 배출 정점(碳达峰), 2060년 탄소 중립(碳中和) 실현’이라는 국가 전략을 중심으로, 녹색·저탄소 전환을 핵심 발전 방향으로 설정하며 에너지 절약 및 환경보호 산업을 적극 육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산업 규모도 빠르게 확대되고 있으며, 에너지 절약·환경보호 산업은 단순한 경제 영역을 넘어 국가 에너지 안보와 지속가능 발전을 이끄는 핵심 산업으로 자리잡고 있다.
《2025-2030년 글로벌 및 중국 에너지 절약·환경보호 산업 시장 현황 조사와 발전 전망 분석 보고서》(이하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중국 에너지 절약·환경보호 산업의 생산 규모는 8조 위안(약 1480조 원)을 넘어섰으며, 연평균 성장률은 10% 이상에 달했다. 2023년에는 약 9조 위안(약 1665조 원)에 근접했으며, 2024년에는 9조8000만 위안(약 1813조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2030년에는 약 15조 위안(약 2775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같은 성장세를 뒷받침하기 위해, 중국 정부는 에너지 효율 향상, 오염물 저감, 녹색 전환 가속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연이어 발표하고 있으며, 주요 정책은 아래와 같다.
<중국의 주요 에너지 절약 및 환경보호 정책>
발표 시기
정책명
정책 목표
<제14차 5개년 에너지 절약 및 배출 감축 종합 추진방안>
《“十四五”节能减排综合工作方案》
2025년까지 국내총생산(GDP) 대비 에너지 소비량을 2020년 대비 13.5% 감축하고, 에너지 소비 중 비화석에너지 비중을 약 20%까지 확대. 정책·제도 정비를 통해 경제·사회 전반의 녹색 전환을 촉진하고, 탄소 정점 및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뒷받침.
2023년 12월
<하수 처리 분야의 오염물 감축 및 탄소 저감 시너지 제고를 위한 실행 방안>
《关于推进污水处理减污降碳协同增效的实施意见》
2025년까지 에너지와 자원을 효율적으로 순환 활용하는 녹색·저탄소 하수처리 시범 시설 100곳 구축.
2024년 5월
<2024~2025년 에너지 절약 및 탄소 저감 실행계획>
《2024—2025年节能降碳行动方案》
2024년까지 GDP 대비 에너지 소비량을 약 2.5%,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약 3.9% 줄이는 것이 목표. 2025년까지 비화석에너지 소비 비중을 약 20%로 확대.
2024년 8월
<경제·사회 발전의 전면적인 녹색 전환 가속화에 관한 중공중앙·국무원 의견>
《中共中央国务院关于加快经济社会发展全面绿色转型的意见》
2030년까지 에너지 절약 및 환경보호 산업 규모를 약 15조 위안(약 2775조 원)으로 확대하고, 비화석에너지 소비 비중을 25% 이상으로 높이며, 양수발전 설비 용량을 1.2억 kW 이상 확보하는 등 정량 목표 제시.
[자료: KOTRA 난징무역관 자료 정리]
이러한 국가 전략은 지역 단위의 실천 사례로도 이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장쑤성 이싱(宜兴)의 환경과학기술산업단지는 환경보호 산업을 주제로 조성된 국가급 하이테크 산업단지로 주목받고 있다. 현재 이 단지에는 3800여 개의 환경 관련 기업이 입주해 있으며, 이 중 규모 이상 기업(영업수입 2000만 위안 이상 기업)은 120개에 달한다.
2024년 기준, 이싱 산업단지의 녹색산업 총 생산액은 단지 전체 GDP의 35%를 차지하고 있으며, 에너지 소비량은 2021년 대비 40% 이상 감소, 산업용수 재이용률은 85%, 고형폐기물 종합 활용률은 98%, 총 탄소 배출량은 45.23% 감소하는 등 환경 성과와 경제성을 동시에 달성하고 있다. 이는 중앙정부의 녹색 정책 기조와 연계된 지역 실천 모델로, 향후 다른 지역의 확산 가능성도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중국 지역의 환경 보호 및 오염 복원 사례
1. 양저우시(扬州市) 한지앙구(邗江区) 밍웨후(明月湖) 수생태복원사업
최근 몇 년간 밍웨후(明月湖)의 수질이 점차 악화됨에 따라, 한지앙구(邗江区) 생태환경국은 현장 조사와 연구를 거쳐 수생태 복원 공사를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복원 공사는 기초 지반 복원, 침수식물 복원, 건강한 먹이사슬 구축 등 주요 생태 복원 기술을 활용해 호수 내의 오염 부하를 저감하고, 건강한 수생태계를 회복함으로써 밍웨후의 생태 정화 기능을 더욱 강화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하류의 이양허(仪扬河) 둥칭차오(冻青桥) 국가 지표수 평가 단면(国考断面)의 수질이 안정적으로 기준을 충족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 국가 지표수 평가 단면(国考断面): 중국 정부가 전국 주요 하천과 호수에 설정한 공식 수질 측정 지점으로, 국가 차원에서 수질 기준 달성 여부를 평가하는 핵심 관리 지표로 활용된다.
복원 공사 완료 후, 밍웨후의 수질은 기존 Ⅳ급수에서 Ⅲ급수 수준으로 향상돼 일반 어류 보호구역과 수영 가능 구역의 수질 기준을 충족하게 됐다. 특히, 암모니아성 질소와 총인(TP)* 항목은 Ⅱ급수 수준에 도달했다. 이 사업은 2025년 '아름다운 중국 건설 실천 사례'에 선정돼 전국 5대 대표 사례 중 하나로 꼽혔다.
* 총인(TP, Total Phosphorus): 물속에 포함된 모든 형태의 인(Phosphorus)을 의미하며, 조류 번식 등 부영양화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 수질 평가의 핵심 지표 중 하나임
<중국 현행 『지표수 환경 질량 기준(地表水环境质量标准)』에 따른 수질 등급별 용도>
수질 등급
수질 수준
주요 용도 및 설명
Ⅰ급수
최고 수준
지하수는 소독만으로 사용 가능, 지표수는 간단한 정화 및 소독 후 생활용수로 공급 가능
Ⅱ급수
경미한 오염
일반적인 정화 처리 후 생활용수로 사용 가능
Ⅲ급수
보통 수준
어류 월동장, 회유 통로, 수산양식장, 수영구, 생활용수 2급 보호구역 등, 정화 후 생활용수 가능
Ⅳ급수
낮은 수준
일반 산업 보호구역, 인체 비접촉 레저 수역*에 적합
Ⅴ급수
최저 수준
농업용수 구역 및 일반 경관 수역에 적합
*레저 수역: 수영, 낚시, 카약, 보트, 수상스키 등 여가 및 오락 활동을 위해 지정되거나 사용되는 수역
[자료: KOTRA 난징무역관 자료 정리]
2. 난징(南京) 푸커우(浦口) 생태환경 저공 스마트 감시관리 플랫폼
2025년, 난징시 푸커우구 생태환경국은 푸커우구가 선도하고 있는 저공경제 산업 기반을 바탕으로, ‘지능화, 집적화, 실시간화, 간편화’를 핵심 개념으로 삼아 푸커우 하이테크구와 협력하여 시 최초의 ‘생태환경 저공 스마트 감시관리 플랫폼’을 구축했다.
이 플랫폼은 인공지능(AI), 65개 고정된 모니터링 지점에서 수집된 데이터, 드론 기술을 결합해 ‘공중–지상–우주 통합형’ 스마트 감시 네트워크를 형성했으며, 생태환경 통합지도 구축과 저공 감시 기능을 갖추고 있다. 특히 ‘드론 + AI 인식’을 통해 PM2.5, COD 등 11가지 오염 인자에 대해 지능형 사전 경보가 가능하며, 대기질, 수질, 생태, 고형 폐기물 등 다양한 분야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지능형 긴급 대응, 주기적 그리드* 순찰, 일상 자율 순찰로 구성된 입체적인 3단계 순찰 체계를 도입해, 감시·대응·단속 전 과정을 자동화했다.
* 그리드(Grid): 도시·농촌·행정 마을 등 특정 지역을 세분화한 기초 관리 단위로, 환경·안전·행정 등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설정된 최소 단위 구역을 의미함.
이 플랫폼은 감시 관리의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렸다. 예를 들어, 한 건설 현장에서 발생한 비산먼지 사례는 식별부터 증거 확보까지 단 8분 만에 처리돼, 기존 방식보다 10배 빠른 대응이 가능했다. 또한 고형 폐기물 순찰의 일일 커버 범위는 사람의 20배에 달해, 은밀한 오염 사각지대를 효과적으로 줄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 감시 방식의 한계를 뛰어넘어, 광범위한 수역 스캔과 주요 지역의 24시간 전방위 모니터링을 실현함으로써 오염 방지와 통제를 위한 정밀한 데이터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 이는 생태환경 관리의 지능화 전환을 촉진하는 동시에, 향후 생물다양성 모니터링, 탄소 배출 평가 등 다양한 분야로의 확장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3. 중커허우투룬쩌 환경과학기술회사(中科厚土润泽环境科技公司) 알칼리성 토지 개량 사업
2022년 중커허우투룬쩌 환경과학기술회사(中科厚土润泽环境科技公司)는 옌청시(盐城市) 셔양현(射阳县)의 6000묘(亩)* 규모 폐염전에서 토지 개량 사업을 시작했다. 당시 이곳은 지표면에 염분이 떠 있는 ‘백색 황무지’ 상태였다. 이들은 ‘암거(暗管)** 배염 + 생물균제’ 복합 기술을 적용해 토양 염분 농도를 8‰에서 3‰ 이하로 낮추는 데 성공, 국가 농지 기준을 충족시켰다. 개량된 토지는 그해 바로 벼 수확량이 묘당 1000근을 넘어서며, 장쑤성의 대표적인 염지 개량 시범 사례가 됐다.
* 묘(亩): 중국의 토지 면적 단위로 한국의 약 200평(약 666.7㎡)에 해당함.
** 암거(暗管): 지하에 매설하는 배수관 또는 관개관으로, 농업에서는 염분 제거 및 토양 수분 조절 등에 사용됨.
2023년에는 셔양 경제개발구(射阳经济开发区)와 하이허진(海河镇) 일대 8000묘의 알칼리성 토지가 개량 사업으로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했다. 볏짚 심층 환원 방식과 미생물 균총의 복합 작용을 통해 토양 유기물 함량이 1.2%에서 1.6%로 증가하며, 장강삼각주 지역에서 알칼리성 토지 개량의 새로운 기록을 세웠다. 2025년 6월 현재, 개량된 이 토지에는 12개 농업 선도기업이 입주해 ‘토지 개량–작물 재배–가공’으로 이어지는 전(全) 산업 생태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4. 중국-프랑스 수처리 및 폐기물 자원화 프로젝트 협력 사례
프랑스 환경기업 수에즈(SUEZ)는 최근 몇 년간 중국과의 환경 분야 협력을 확대하며, 수처리·자원화·재생에너지 분야에서 여러 대형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특히 동관(东莞), 충칭(重庆), 산둥(山东), 상하이(上海), 장쑤(江苏) 등 주요 도시 및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폐기물 에너지화, 유기용매 재활용, 해수 담수화, 플라스틱 회수와 같은 실증 기반 프로젝트를 집중 전개 중이다.
2025년 4월, 산둥성(山东省) 옌타이시(烟台市) 펑라이(蓬莱) 지역에서 발전소 온배수를 활용한 해수 담수화 시범 프로젝트인 ‘완화(万华) 해수 담수화 플랜트’가 정식 가동됐다. 프랑스 수에즈(SUEZ)가 총괄 시공 및 기술 파트너로 참여한 이 시설은 하루 10만 톤의 담수 생산, 연간 3600만 톤의 수자원 절감, CO₂ 배출 저감 및 에너지 절감 성과를 달성했으며, 국내 최초로 무인 자동화 운영 시스템(블랙팩토리*)과 ‘여열+멤브레인*’ 기술을 결합한 고효율 설비로 평가받는다. 총 투자 규모는 18억 위안(약 3330억 원)이며, 수에즈(SUEZ)는 현지 수질 특성에 맞춘 설계와 자동제어 시스템을 통해 중국 해수 담수화 산업의 표준화·산업화·지속가능성 전환을 견인하고 있다.
* 블랙팩토리(Black Factory): 조명 없이 24시간 무인 자동 운영이 가능한 공장 시스템으로, 고도의 디지털 제어·감시·AI 기반 유지관리 시스템을 의미함. 에너지 효율성과 안전성, 인건비 절감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차세대 스마트팩토리 개념임.
** 멤브레인(Membrane): 물리적 반투과막을 이용해 염분과 불순물을 걸러내는 수처리 핵심 기술. 해수 담수화에서 주로 역삼투(RO) 방식에 사용되며, 에너지 소비가 낮고 품질 높은 담수 확보가 가능함.
이보다 앞서 2024년 5월 수에즈(SUEZ)는 광둥성(广东省) 동관시(东莞市)에서 하루 2000톤 규모의 슬러지를 처리해 연간 약 96GWh의 전력을 생산하는 슬러지 에너지화 플랜트 건설 협력 협정을 체결했다. 2025년 말 완공 예정인 이 시설은 5만 5000톤 이상의 이산화탄소(CO₂) 배출을 줄일 수 있으며, 슬러지를 단순 폐기물이 아닌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으로 전환한 대표 사례로 평가받는다.
수에즈는 또한 장쑤성(江苏省) 창수시(常熟) 청둥(城东) 폐수처리장에 2023년부터 약 7700장의 태양광 패널을 설치해 연간 400만 kWh 이상의 전력을 생산하고 있으며, 표준 석탄 1300톤, 이산화탄소 3400톤을 감축하는 성과를 내고 있다.
시사점
중국은 탄소 정점(碳达峰)과 탄소 중립(碳中和) 달성을 국가 전략으로 설정하고, 생태환경 보호 및 오염 복원 분야에 대한 정책적·재정적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장쑤성은 수질 개선, 스마트 환경 감시, 염지 토양 복원 등 다양한 환경 관련 프로젝트를 지역 단위에서 추진하고 있으며, 녹색·저탄소 전환과 관련된 시범 사례들이 일부 지역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지역별 실천은 중앙정부의 정책 방향과 연계되어 환경 기술에 대한 수요 형성과 맞물려 있으며, 수처리, 대기오염 감시, 자동화 감시 시스템, 토양 복원 등 여러 분야에서 구체적인 기술 적용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2025년 6월 6일 중국 옌청시에서 개최된 ‘한중(옌청 산업단지) 기술설명회 및 수출상담회’에서는 양국 기업 및 기관 간 환경 기술 관련 정보 교류가 진행됐됐는데, 현장에서 처음 만난 한중 두 기업이 특정 환경분야 기술 개발 연구를 공동으로 수행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기도 했다.
향후 장쑤성을 포함한 중국 내 지역에서는 환경산업과 관련된 정책 연계형 프로젝트가 추가적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외국계 기술 보유 기업과의 협력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
자료: 《상학원(商学院)》 잡지, 이싱시 녹색저탄소산업협회(宜兴市绿色低碳产业协会), 장쑤성 생태환경청(江苏省生态环境厅), 옌청시 인민정부(盐城市人民政府), 신민만보(新民晚报), 장쑤성 인민정부(江苏省人民政府) 등 KOTRA 난징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환경보호 산업의 녹색·저탄소 전환 정책 및 사례 분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네덜란드 전력의 절반, 재생에너지로 생산
네덜란드 2025-08-05
-
2
체코, 정책·기금 활용 강화로 재생에너지 확대 본격화
체코 2025-08-06
-
3
남아공 전력시장 동향 및 기회요인
남아프리카공화국 2025-08-05
-
4
영국, 풍력 에너지 관련 '이스턴 그린 링크' 프로젝트 추진! 한국 기업에 찾아온 수출 기회
영국 2025-08-04
-
5
2025년 남아공 ICT 산업 정보
남아프리카공화국 2025-08-06
-
6
대만 전력시장 동향과 시장진출 기회요인
대만 2025-08-04
-
1
2025년 중국 실버산업 정보
중국 2025-07-22
-
2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3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4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5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6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
중국 2024-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