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러시아 향수 시장 동향
- 상품DB
- 러시아연방
- 모스크바무역관
- 2025-07-21
- 출처 : KOTRA
-
니치 향수·러시아 브랜드 약진, 프리미엄 수요 지속
온라인 판매 비중 지속 확대... 비우호국 관세 변화는 韓 제품 수출 기회
상품명 및 HS Code
HS Code
제품명
3303.00
향수 및 화장수
시장동향
러시아 마케팅 기관 Gradus에 따르면 전체 향수 시장은 2,300억 루블(약 29억 달러) 규모로 추산된다. 최근 러시아 소비자들은 대중적인 제품에서 벗어나 개성 있는 니치 향수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다. 이러한 트렌드는 특히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등 대도시에서 두드러지며, Byredo, Le Labo 등 한정판과 독특한 원료를 앞세운 브랜드가 러시아 시장에서 입지를 넓혀가고 있다. 온라인 판매의 활성화도 시장 확대를 이끄는 요인이다.
러시아 향수 시장은 퍼퓸(Perfume), 오드 퍼퓸, 오드뚜왈렛, 오드코롱 등으로 구분되며, 2024년 전체 향수류 판매량은 전년 대비 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확한 판매액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퍼퓸(Perfume)의 비중이 2023년 12.3%에서 2024년 15.6%로 상승하며 주도적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퍼퓸(Perfume)의 매출은 전년 대비 35% 증가했으며, 특히 2024년 4분기에 21.7%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공급도 함께 확대돼 2024년 기준 퍼퓸(Perfume) 제품 진열량은 전년보다 49% 늘었다. 한편, 수입 향수 물량은 37% 감소한 650만 병으로 집계됐으며, 러시아 내 생산량은 두 배 이상 증가해 3060만 병에 달했다. 이는 현지 생산 확대와 고급 제품 수요 증가가 맞물린 결과로 해석된다.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2022-2024년 러시아의 향수(HS Code 3303.00) 수입 통계>
(단위: US$ 천, %)
순위
수출국
2022
2023
2024
증감률
('24/'23)
점유율
(2024)
전세계
330,089
513,697
461,363
-10.2
100
1
이탈리아
26,554
52,085
147,713
183.6
32.0
2
프랑스
56,833
57,727
73,702
27.7
16.0
3
스페인
43,328
39,107
67,135
71.7
14.6
4
폴란드
29,946
64,037
44,711
-30.2
9.7
5
라트비아
10,433
19,577
24,858
27.0
5.4
6
카자흐스탄
6,284
15,148
23,093
52.5
5.0
7
튀르키예
9,356
17,688
16,235
-8.2
3.5
8
독일
28,061
25,427
12,775
-49.8
2.8
9
리투아니아
87,139
165,213
12,081
-92.7
2.6
10
체코
6,167
23,946
11,578
-51.7
2.5
15
한국
55
1,710
2,768
61.8
0.6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06.16)]
Global Trade Atlas에 따르면, 2022년 러-우 사태 발발 이후 일시적으로 수입이 위축됐지만, 2023년 들어 빠르게 회복되며 수입액이 5억1400만 달러에 달했다. 그러나 2024년에는 국내 생산 확대의 영향으로 수입이 감소했으며, 전체 수입액은 전년 대비 10.2% 감소한 4억6136만 달러로 집계됐다.
2024년 주요 수입국 1위는 이탈리아로, 높은 증가율과 함께 전체 수입의 32%인 1억 4,771만 달러를 기록했다. 그 뒤를 프랑스(16%), 스페인(14.6%), 폴란드(9.7%), 리투아니아(5.4%)가 이었다.
한편, 러시아 화장품 유통망 레뚜알(L’Этуаль) 관계자는 현지 소비자들은 독특한 향 조합과 창의적인 디자인의 한국 향수, 그리고 동양적 향취에 높은 선호를 보인다고 밝혔다. 실제 지난해 한국의 대러시아 향수 수출은 60% 증가했으며, 기존 뷰티 시장에서의 입지를 활용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경쟁동향
2022년 이후 디올(Dior), 샤넬(Chanel), 라코스테(Lacoste), 겔랑(Guerlain) 등 다수의 글로벌 향수 브랜드가 러시아 시장에서 철수했다. 이후 일부 제품은 병행수입 형태로 여전히 유통되고 있지만, 이들 물량만으로는 현지 소비자들의 수요를 충분히 충족시키기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장 변화는 오히려 러시아 국내 향수 산업에 유리하게 작용했다. 향수 브랜드 Equivalent의 창립자 나데즈다 드로즈도바는 외국 브랜드의 이탈로 인해 러시아 향수업체들의 소매시장 진입 장벽이 크게 낮아졌다고 평가했다.
러시아 향수·화장품·생활위생용품 생산자 협회에 따르면, 러시아 내에서 향수 생산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은 약 40곳에 불과하다. 동 협회의 보브롭스키 대표는 향수가 알코올 함유 제품으로 분류되어 생산이 엄격하게 규제되며, 제조 환경에도 어느 정도 제약이 따른다고 덧붙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문가들은 국내 생산업체들이 향후 생산량을 확대할 수 있는 여지가 충분하다고 보고 있다. 보브롭스키 대표는 다수의 업체들이 자체 브랜드보다는 ODM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강조했다.
<주요 러시아산 향수 브랜드>
업체명
제품 사진
비고
브랜드명: Prime Minister, Pandora, 등
설립연도: 2004년
매출액: USD 1,706만 (2024년)
공식 홈페이지:
브랜드명: Marso
설립연도: 2009년
매출액: USD 311만 (2024년)
공식 홈페이지:
BEAUTY
브랜드명: Giardino Magico
설립연도: 2022년
매출액: USD 200만 (2024년)
공식 홈페이지:
PARFUME
브랜드명: Equivalent
설립연도: 2023년
매출액: USD 134만 (2024년)
공식 홈페이지:
https://xn--80adanmklr9bxg.xn--p1ai/
Pure Sense
브랜드명: Pure Sense
설립연도: 2020년
매출액: USD 51만 (2024년)
공식 홈페이지:
[자료: Forbes, RBC.ru, Spark-Interfax, 각 브랜드 홈페이지]
러시아 유통망 레뚜알(L’Этуал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해당 유통망 매장에서 판매 중인 러시아산 향수 브랜드 수는 2023년의 52개에서 80개로 증가했다. ‘러시아산 향수’ 카테고리에 속한 제품 수도 2023년 초 533개에서 2024년 약 700개로 크게 늘었으며, 해당 카테고리의 2024년 상반기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50% 증가했다.
또 다른 주요 유통망인 Gold Apple에서도 러시아 브랜드의 입점 확대와 함께 판매가 빠르게 늘고 있다. 동사의 통계에 따르면, 2023년 러시아산 향수 브랜드 수는 전년 대비 20% 증가했고, 매출은 71% 상승했다. 2024년 상반기에도 이러한 성장세가 이어져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했다. 특히 Fakoshima, Pure Sense, Flame Moscow 등 기존 브랜드들이 제품 라인업을 확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러시아 내 향수(HS Code 3303.00) 제품 가격>
제품(국가)
제품 사진
제품 용량
가격
DIOR Sauvage
(프랑스)
100ml
RUB 19,000
USD 241.4
Zielinski & Rozen
(이스라엘)
100ml
RUB 12,790
USD 162.5
Versace Versense
(이탈리아)
100ml
RUB 12,690
USD 161.2
BANANA REPUBLIC
(미국)
75ml
RUB 9,045
USD 114.9
GIARDINO MAGICO
(러시아)
50ml
RUB 8,150
USD 103.5
* 환율: 78.72루블/1달러 (러시아 중앙은행 2025.06.19)
[자료: Gold Apple]
러시아 향수·화장품 협회 이사 안나 디체바-스미르노바에 따르면, 수입된 중저가형 향수는 병당 평균 1,000~4,500루블, 프리미엄은 4,500~9,000루블, 럭셔리급은 9,000~27,000루블 사이에 가격이 형성되어 있다. 반면, 러시아산 향수는 모든 세그먼트를 통틀어 평균 평당 800~1,500루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구조
<러시아 향수 시장 유통구조>
러시아 향수 시장은 전자상거래 부문에서 빠른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2025년 기준 온라인 판매는 전체 향수 매출의 약 45~50%를 차지하며, 유통 구조에서 중요한 축으로 자리 잡았다. 주요 온라인 채널로는 판매량 기준 1위인 와일드베리즈(Wildberries), 프리미엄 제품군 강화를 추진 중인 오존(Ozon), 공식 유통에 집중하는 얀덱스 마켓(Yandex Market)이 있다. 오존과 와일드베리즈 측은 2024년 자사 플랫폼 내 화장품 및 향수 제품 수요가 각각 44%, 58% 증가했다고 밝혔다.
전문 향수 부문에서는 Gold Apple, 리브 고슈(Rive Gauche), 레뚜알(L’Этуаль) 등이 옴니채널 전략을 통해 안정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 레뚜알은 2024년 자사 웹사이트와 모바일 앱을 통한 주문 매출이 전년 대비 43% 증가했으며, 온라인 주문 건수는 9500만 건에서 1240만 건으로 30% 늘어났다고 밝혔다.
한편 오프라인 매장 역시 여전히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Gold Apple, 리브 고슈, 레뚜알, 세포라 그룹 산하 일 드 보테(Il de Beaute) 등 대형 전문점들이 대표적인 유통 채널로 자리잡고 있으며, 대중 제품군에서는 아샨(Auchan), 렌타(Lenta), 마그닛 코스메틱(Magnit Cosmetic) 등 전국 규모의 대형 유통망이 중저가 향수를 중심으로 판매를 이어가고 있다.
관세율
<적용 관세율 및 부가세>
(단위: %)
구분
기본 관세
프랑스
비우호국
3303.00
6.5
20
35*
유효 기간
-
2025년 12월 31일까지
* 대한민국, 헝가리, 슬로바키아, 프랑스 제외
[자료: EAEU 세관 홈페이지]
러시아 정부는 2025년 4월 22일 제529호 정부령을 통해, 2022년 12월 7일 제정된 제2240호 정부령(비우호국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 규정)의 일부를 개정했다. 이번 정부령 개정을 통해 2025년 5월 4일부로 비우호국 특별관세 대상 국가와 품목을 조정했다.
특히 EAEU HS Code 3303 00 100 0(향수), 3303 00 900 0(화장수), 3304 10 000(립 화장품) 등 6개 품목의 특별관세 대상국이 모든 비우호국으로 확대되는 동시에, 한국, 헝가리, 슬로바키아 등은 제외 대상으로 지정돼 기본관세율을 적용받게 됐다. 또한 프랑스산 제품의 수입 관세율은 한시적으로 기존 35%에서 20%로 인하됐다.
* KOTRA 해외시장뉴스 단신속보 참고: https://url.kr/5o19sl
인증
현행 러시아 법률에 따르면, 향수 제품(HS Code 3303.00)은 관세동맹 기술규정 TR CU 009/2011 「향수·화장품 제품의 안전성에 관한 규정」에 따라 적합성 선언서(Declaration of Conformity) 형식으로 의무 인증 취득이 필요하다.
해당 선언서는 제품이 해당 기준과 안전 요건을 충족했음을 입증하는 문서로, 러시아 전역에서 유효하다. 적합성 선언서는 국산 제품용과 수입 제품용 두 가지로 구분된다. 인증을 위해서는 러시아 내에서 인증 업무 수행 권한을 가진 공인 인증기관을 통해야 한다.
적합성 선언서는 러시아 국내 제조업체 명의로만 발급이 가능하므로, 수입 향수의 경우에도 선언서는 러시아 현지 수입업체 명의로 작성돼야 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한편, 해당 제품이 아동용이거나 나노입자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인증서인 국가등록증(Свидетельство о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регистрации)을 취득해야 한다. 이 등록증은 TR CU 009 기술규정 부속서 12에 근거하며, 러시아 소비자권리보호·복지감독청(Роспотребнадзор) 에서 발급한다. 해당 기관은 제품의 위생·역학적 안전성과 기준 적합 여부를 일련의 시험과 검사를 거쳐 확인한 후 등록증을 부여한다.
시사점
러시아 향수 시장은 국내 생산 확대, 프리미엄 및 니치 향수에 대한 꾸준한 수요, 온라인 유통 채널의 성장세에 힘입어 여전히 높은 시장 매력도를 유지하고 있다. 마케팅 전문기관 Tebiz는 희소성과 독창성을 중시하는 소비자 수요에 따라 향후 몇 년간 니치 향수 부문이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한다. 프리미엄 시장에서는 고객 경험과 향수 시향 기회 제공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병행수입과 현지 제조업체와의 협업을 통해 제품 공급 구조를 유연하게 재편하려는 움직임도 두드러지며, 이는 제재 상황 속에서도 서방 브랜드의 구색을 일정 부분 유지하기 위한 대응 전략으로 풀이된다. 이와 함께, 와일드베리즈(Wildberries), 오존(Ozon), 얀덱스 마켓(Yandex.Market) 등 대형 마켓플레이스를 자사 온라인몰 및 오프라인 부티크와 연계하는 옴니채널 유통 모델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한국은 2020년부터 러시아 뷰티 시장에서 수입 1위를 유지하고 있다. 그와 함께 한국 브랜드 간 경쟁이 심화되면서, 기초화장품 외 다른 분야로 시장을 다변화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러시아의 비우호국 특별관세 정책으로 상대적인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지금, 우리 향수 제품의 러시아 진출을 본격적으로 모색해볼 수 있을 것이다.
자료: RBC.ru, Vedomosti, Kommersant, Globus Trade Atlas (GTA), Globus VED, Spark-Interfax, Consultant Plus, 등 KOTRA모스크바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러시아 향수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러시아 건설기계 부품 시장 동향
러시아연방 2025-07-21
-
2
독일 바이오 항암제 시장 동향
독일 2025-07-21
-
3
불어권 서아프리카 뷰티 허브, 코트디부아르에서 찾은 기회
코트디부아르 2025-07-17
-
4
포르투갈 뷰티테크 기기 시장동향
포르투갈 2025-07-21
-
5
대만 자동차부품 시장동향
대만 2025-07-21
-
6
필리핀 MZ세대의 소비 트렌드 변화, 위조품을 대체할 Dupe 문화
필리핀 2025-07-07
-
1
2025년 러시아 조선산업 정보
러시아연방 2025-08-11
-
2
2024년 러시아 섬유 산업 정보
러시아연방 2024-12-10
-
3
2024년 러시아 농업 정보
러시아연방 2024-12-02
-
4
2024년 러시아 폴리머 산업 정보
러시아연방 2024-11-27
-
5
2024 러시아 극동 지역 농업 정보
러시아연방 2024-11-06
-
6
2024년 러시아 자동차 산업 정보
러시아연방 2024-10-02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