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리핀 MZ세대의 소비 트렌드 변화, 위조품을 대체할 Dupe 문화
- 트렌드
- 필리핀
- 마닐라무역관 정윤서
- 2025-07-07
- 출처 : KOTRA
-
글로벌 위조품 리스크의 확산 속에서 필리핀 정부는 위조품 유통 집중 단속 중
가치 중심 소비 확산이 필리핀 소비재 시장 내 'Dupe 문화' 가속화 견인
글로벌 공급망 속 위조품 리스크의 확산
글로벌 공급망 구조의 고도화는 유통 네트워크의 발전을 기반으로 교역 확대, 시장 진출 기회 창출, 소비자 수요 충족 등 세계 경제 전반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그러나 공급망이 다국적·다층적으로 복잡해짐에 따라 지식재산권 침해 및 위조품 유통과 같은 새로운 유형의 글로벌 리스크가 대두되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이하 OECD)와 유럽연합 지식재산청(European Unio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이하 EUIPO)이 공동으로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위조 및 불법 복제 상품은 전 세계 무역의 최대 2.3%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장의 건전성과 공급망의 보안, 국제 규범의 안정성에 지속적인 위협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필리핀 위조품 시장 규모 및 현황
OECD-EUIPO의 Mapping Global Trade in Fakes 2025 보고서에 따르면, 필리핀은 2020~2021년 기간 동안 위조상품 압수 건수 기준 세계 4위에 올라, 중국, 튀르키예, 홍콩(중국)에 이어 위조품 유통의 주요 거점으로 부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필리핀 국가지식재산권위원회(National Committee o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이하 NCIPR)와 필리핀 지식재산청(Intellectual Property Office of the Philippines, 이하 IPOPHL)이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2024년 한 해 동안 압수된 위조상품 규모는 총 409억9000만 페소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52% 증가한 수치이며, 전체 압수 실적 중 대부분은 필리핀 관세청(Bureau of Customs, 이하 BOC)이 담당해 약 347억 페소 상당의 위조품을 적발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0~2021년 위조품 거래 주요국>
[자료: OECD-EUIPO (2025), Mapping Global Trade in Fakes 2025]
<연도별 필리핀 위조품 단속 총액>
(단위: 억 PHP)
[자료: IPOPHL (2025)]
<2024년 필리핀 기관별 위조품 압수 실적>
(단위: %)
[자료: IPOPHL (2025)]
2024년 상반기부터 BOC, 국립수사국(National Bureau of Investigation, 이하 NBI), 경찰청(Philippine National Police, 이하 PNP) 등 관계 기관이 도심 내 불법 창고 급습 및 대형 쇼핑몰 단속 등 강도 높은 권한 집행을 전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위조품 유통 경로는 점차 정교화되고 다변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실제로 디비소리아(Divisoria), 그린힐스(Greenhills), 바클라란(Baclaran) 등 도심 오프라인 상권뿐만 아니라 쇼피(Shopee), 라자다(Lazada) 등 주요 온라인 플랫폼을 중심으로 고가 명품 모조품을 비롯한 전자기기, 향수, 의류 등 다양한 유형의 위조상품 유통이 여전히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필리핀 주요 위조상품 유통지>
구분
유통지명
위치
주요 품목
오프라인
Greenhills Shopping Center
San Juan City
명품 가방·시계, 전자기기, 향수, 신발 등
오프라인
Divisoria Mall
Binondo, Manila
의류, 신발, 가방, 시계, 향수, 장난감, 전자기기 등
오프라인
Baclaran Market
Paranaque City
저가 의류, 액세서리, 신발, 향수, 미용 제품 등
온라인
Shopee
온라인 플랫폼
화장품, 향수, 의류·잡화, 전자기기, 유아용품 등
온라인
Lazada
온라인 플랫폼
화장품, 향수, 의류·잡화, 전자기기, 유아용품 등
[자료: KOTRA 마닐라 무역관 정리]
새로운 소비 트렌드, Dupe 문화의 확산
필리핀 정부의 위조상품 집중 단속은 소비자 인식 변화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며 시장 내 새로운 소비 흐름을 형성하고 있다. 과거에는 고가 브랜드에 대한 선망이 불법 위조품 소비로 이어지는 경향이 강했으나, 최근에는 MZ세대를 중심으로 단순한 모조품 대체를 넘어 브랜드 의존에서 벗어나 개인의 기준에 따라 윤리성과 안전성까지 고려한 가치 중심 소비가 확산되고 있다.
‘Dupe(듀프)*’문화는 이러한 윤리적 가치 소비의 확산 속에서 주목받고 있다. Dupe는 유명 브랜드 제품과 유사한 디자인이나 기능을 갖추었으나, 합법적으로 생산 및 유통되는 저가형 대체재로, 위조품과는 명확히 구별된다. 필리핀 MZ세대 소비자들은 ‘Look for Less’, ‘Budget-friendly Finds’ 등의 해시태그를 활용해 SNS 상에서 관련 정보를 적극적으로 공유하며, 브랜드의 정통성을 고수하지 않더라도 실용성과 감성적 만족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는 합리적 선택지로 Dupe 제품을 소비하고 있다. ‘현명한 소비’, ‘윤리적 소비’라는 가치관이 새로운 소비 기준으로 자리잡아가면서, Dupe 문화는 위조품 소비의 대안이자 신흥 소비 트렌드로 빠르게 부상하고 있다.
*주 : ‘Duplication’의 줄임말로, 고가 브랜드 제품과 유사하지만 합법적인 저가 대체재를 소비하는 것을 의미
구글 트렌드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5년 6월까지 필리핀 내 ‘Dupe’ 관련 검색량은 점진적인 상승세를 이어오다 2025년 상반기에 들어 급격한 증가세를 보였다. 이는 Dupe 문화가 단순한 틈새 소비 현상을 넘어, 이제는 주류 소비 트렌드로 자리 잡았음을 시사하는 지표로 해석된다. 특히 ‘Dupe’ 키워드를 검색한 이용자들이 함께 조회한 연관 주제들을 통해 Dupe 소비의 구체적인 양상을 보다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검색자들은 향수, 핸드백, 립스틱 등 패션 및 뷰티 분야의 소비재에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동시에 크리스찬 디올, 샤넬, 조말론, 입생로랑, 돌체 앤 가바나 등 글로벌 명품 브랜드를 함께 검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MZ세대를 중심으로 명품 브랜드의 감성은 추구하되, 합리적인 가격과 윤리적 소비를 중시하는 Dupe 제품 소비가 실질적인 소비 행태로 자리 잡았음을 보여준다.
<필리핀 내 ‘Dupe’ 키워드 검색 추이>
[자료: Google Trends (2025)]
다음은 마닐라무역관이 소비자 인사이트 관점에서 Dupe 문화를 파악하고자 실시한 현지 20~30대 소비자 및 인플루언서 인터뷰를 종합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리한 필리핀 Dupe 트렌드 분석 내용이다:
1. 최근 필리핀의 소비 트렌드와 변화 양상
필리핀의 소비 트렌드는 여전히 ‘유행’과 ‘트렌드’를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인스타그램, 틱톡 등 SNS를 기반으로 트렌디한 제품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형성되고 확산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단순히 유행을 따라가는 소비에서 벗어나, 개인의 가치관에 기반한 신중하고 책임 있는 소비 태도가 점차 확산되고 있다.
필리핀 소비자들은 이제 단순한 가격 경쟁력 외에도 브랜드가 지닌 윤리적 기준, 지속가능성, 제품의 실질적 필요와 개인적 취향까지 고려해 구매를 결정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특히 MZ세대를 중심으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소비가 단순한 소유를 넘어 자기 표현과 가치 실현의 수단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2. 필리핀 소비 트렌드 내 Dupe 문화의 위상에 대한 개인적인 견해
필리핀에서도 패션 및 뷰티 트렌드는 SNS를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며 소비자들의 민감한 반응을 이끌어내고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낮은 소득 수준과 소득 격차로 인해 고가 브랜드 제품을 직접 구매하기 어려운 소비자들이 많은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위조품 소비에 대한 대안으로 ‘Dupe 문화’가 주목을 받고 있으며, 특히 MZ세대를 중심으로 확산되는 추세다.
SNS 피드에서는 “Inspired by [브랜드명]”, “It’s just like [브랜드명], but affordable” 등과 같은 문구와 함께 Dupe 제품을 소개하는 콘텐츠가 흔히 등장하고 있으며, 합리적인 가격으로 트렌디한 소비를 실현하려는 소비자들의 심리를 반영하고 있다. 이는 위조품이 아닌 합법적인 대체재를 찾으려는 윤리적 소비 경향과 맞물려 Dupe 제품이 시장 내에서 점차 입지를 넓혀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 기성세대 소비자층에서는 사회적 지위, 체면, 외적 이미지에 대한 인식이 여전히 강하게 작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문화적 요인으로 인해 명품 브랜드 로고와 외형을 강조한 위조품에 대한 수요가 비교적 높은 편이다. 이는 세대 간 소비 인식 차이를 보여주는 한 단면으로, 향후 소비자 교육과 윤리적 소비문화 확산이 필요한 영역으로 평가된다.
3. Dupe 제품을 직접 구매하거나 사용한 경험
필리핀의 20~30대 소비자들은 실제로 Dupe 제품을 자주 구매하고 있으며, 생활용품, 의류, 향수 등 일상 밀접형 소비재에서 특히 활발한 소비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오리지널 브랜드에서 영감을 받은 저가형 제품을 선택함으로써, 한정된 예산 내에서도 유사한 제품 경험을 가능하게 해주는 ‘현실적 대안’으로 Dupe를 인식하고 있었다.
Dupe 제품의 주요 구매처로는 SHEIN, Shopee 등 온라인 쇼핑 플랫폼이 다수 언급되었으며, 특히 접근성과 트렌디한 상품 구색, 후기 기반의 구매 결정 환경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외에도 ZARA와 같은 글로벌 SPA 브랜드의 오프라인 매장 역시 Dupe 제품을 찾는 소비자들에게 인기가 높은 유통 채널로 지목되었다. 이는 MZ세대를 중심으로 가격과 품질, 감성의 균형을 고려한 실용적 소비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4. 향후 Dupe 제품에 대한 수요에 대한 개인적인 전망
필리핀 내 Dupe 제품에 대한 수요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된다. Dupe 제품은 합리적인 가격대와 일정 수준의 품질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중간 지점으로 인식되며, 고가의 정품과 불법 위조품 사이에서 현실적이고 윤리적인 대안으로 자리잡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가치 소비와 자기표현 욕구가 결합된 새로운 소비 트렌드로 확산되면서, Dupe 시장의 성장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Dupe 문화가 주로 MZ세대를 중심으로 형성된 제한된 소비층에서 출발했다는 점, 그리고 위조품 소비문화가 여전히 사회 전반에 깊게 뿌리내려 있고 규모 또한 상당하다는 현실은 Dupe의 확산에 있어 구조적 한계로 작용할 수 있다. 실제로 기성세대를 중심으로 브랜드 로고와 외형 중심의 과시적 소비 심리가 여전히 유효하게 작동하고 있는 만큼, Dupe 문화가 위조품 소비를 전면적으로 대체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과 세대 간 인식 전환, 그리고 소비자 교육이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자료: KOTRA 마닐라 무역관]
소비재 항목별 Dupe 사례 및 제품 리스트
다음은 필리핀 소비재 시장에서 주목받는 카테고리별 대표적인 Dupe 사례 및 제품 리스트이다. 각 Dupe 제품은 고가 브랜드 제품과의 디자인, 품질, 기능 유사성과 함께, 현저한 가격 차이를 기반으로 소비자에게 합리적 대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화장품 분야는 필리핀에서 Dupe 문화가 가장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대표적인 영역 중 하나이다. 고가 브랜드 제품과 유사한 저가형 대체재들이 빠른 속도로 시장에 확산되고 있으며, 특히 립스틱, 블러셔, 아이섀도우 팔레트 등 색조화장품을 중심으로 높은 수요가 형성되고 있다. 현지 소비자들은 Watsons, Shopee, Lazada 등 온‧오프라인 채널을 통해 Dupe 제품을 구매하고 있으며, 해당 제품의 품질, 발색력, 사용감에 대한 정보를 담은 후기와 사용자 콘텐츠가 Dupe 제품의 인지도를 높이는 주요 촉매 역할을 하고 있다.
<화장품 분야 Dupe 제품 리스트>
세부 카테고리
고가 브랜드 / Dupe 브랜드
가격
내용
립스틱
MAC Cosmetics
PHP 1,400
유사점: 매트 립스틱의 색상 및 질감
가격 차이: 약 6~10배
Ever Bilena Cosmetics
PHP 150
블러셔
Rare Beauty
PHP 1,450
유사점: Rare Beauty의 리퀴드 블러셔와 Detail Cosmetics의 크림 블러셔의 발색력
가격 차이: 약 4~6배
Detail Cosmetics
PHP 249
아이섀도우
Huda Beauty
PHP 1,915
유사점: 아이섀도우 팔레트 색상 구성 및 발색력
가격 차이: 약 5배
Careline Cosmetics
PHP 365
쿠션 파운데이션
Laneige
PHP 2,350
유사점: 쿠션 파운데이션의 얇은 밀착감과 상품 디자인
가격 차이: 약 2.5~3배
Blk Cosmetics
PHP 749
[자료: 각 브랜드 홈페이지, KOTRA 마닐라 무역관 종합]
<주요 화장품 제품>
MAC Cosmetics
Ever Bilena Cosmetics
[자료: MAC Cosmetics, Ever Bilena Cosmetics]
패션 부문에서도 Dupe 트렌드가 확고하게 자리 잡은 양상을 보이고 있다. 글로벌 럭셔리 브랜드뿐만 아니라, ZARA·H&M 등 SPA 브랜드의 인기 디자인을 모티브로 한 저가 브랜드 제품들이 다양한 형태로 유통되고 있으며, 특히 필리핀 내에서는 트렌디한 감성과 합리적인 가격을 중시하는 소비자층을 중심으로 꾸준한 수요가 이어지고 있다.
<패션 분야 Dupe 제품 리스트>
세부 카테고리
고가 브랜드 / Dupe 브랜드
가격
내용
신발
Nike
PHP 6,200
유사점: World Balance의 운동화와 Nike의 Air Force의 상품 디자인 및 형태
가격 차이: 약 3배
World Balance
PHP 2,000
드레스
ZARA
PHP 5,500
유사점: 드레스의 패턴, 소재, 디자인 디테일 등 전반적인 스타일과 분위기
가격 차이: 약 2~4배
Forever 21
PHP 1,300
액티브웨어
Lululemon
PHP 6,000
유사점: Boohoo의 액티브 레깅스와 Lululemon의 Align 레깅스의 소재와 착용감
가격 차이: 약 4~5배
Boohoo
PHP 1,100
[자료: 각 브랜드 홈페이지, KOTRA 마닐라 무역관 종합]
<주요 패션 제품>
Nike
World Balance
[자료: Nike, World Balance]
필리핀에서 Dupe 문화가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또 다른 주요 분야는 향수 시장이다. Jo Malone, Maison Francis Kurkdjian, Yves Saint Laurent 등의 프리미엄 브랜드의 향수를 모티브로 한 저가형 향수 제품이 SNS를 통해 지속적으로 회자되고 있다. 이들 Dupe 향수는 유사한 향취와 잔향을 바탕으로 고가 브랜드 향수와의 차이를 최소화하면서도, 합리적인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어 소비자들로부터 높은 만족도를 얻고 있다. 특히, ZARA 향수의 경우 합법적인 유통망을 통해 구매할 수 있으며, 세련된 패키지와 고급스러운 브랜드 이미지로 인해 인기 Dupe 제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향수 분야 Dupe 제품 리스트>
품목명
고가 브랜드 / Dupe 브랜드
가격
내용
Wood Sage & Sea Salt Cologne
(100ml)
Jo Malone London
PHP 9,900
특징: ZARA의 Ebony Wood는 Jo Malone CBE가 ZARA와 협업해 만든 컬렉션 중 하나
유사점: 미니멀하고 자연주의적인 향조
가격 차이: 약 4배
Ebony Wood
(100ml)
ZARA
PHP 2,295
Baccarat Rouge 540
(70ml)
Maison Francis Kurkdjian
PHP 15,600
특징: SNS에서 가장 인기 있는 Dupe 제품
유사점: 향조와 잔향
가격 차이: 약 4배
Red Temptation
(100ml)
ZARA
PHP 4,590
LIBRE Eau de Parfum
(90ml)
Yves Saint Laurent
PHP 9,076
유사점: 향수의 노트 구성
가격 차이: 약 4배
Golden Decade
(100ml)
ZARA
PHP 2,118
[자료: 각 브랜드 홈페이지, KOTRA 마닐라 무역관 종합]
<주요 향수 제품>
Jo Malone London
ZARA
[자료: Jo Malone London, ZARA]
시사점
필리핀은 여전히 세계 4위 수준의 위조품 유통 규모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저소득층과 기성세대를 중심으로 위조품 소비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정부의 강력한 단속 정책과 MZ세대를 중심으로 한 가치 중심 소비 성향의 확산은 시장의 소비 패턴을 빠르게 변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Dupe 제품은 단순한 저가 대체재를 넘어, ‘가격 대비 만족도’를 중시하고 ‘합법적’인 합리‧윤리적 소비의 선택지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는 필리핀 소비재 전반의 경쟁 구도와 유통 전략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SNS 콘텐츠, 리뷰 문화, 디지털 플랫폼의 활성화는 Dupe 트렌드를 가속화시키는 핵심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Dupe 제품은 이제 단순히 고가 브랜드의 저렴한 모방품이 아니라, 가성비, 취향, 윤리적 소비를 아우르는 새로운 소비 기준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이는 MZ세대의 라이프스타일 전반에 지속가능한 대안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우리 기업이 필리핀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가격 경쟁력만을 내세우는 전략에서 벗어나야 한다. 현지 MZ세대의 소비 가치관과 SNS 기반의 소비 생태계를 면밀히 분석하고, Dupe 트렌드가 내포한 소비자 니즈의 다층적 의미를 반영한 제품 기획과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자료: OECD, EUIPO, NCIPR, IPOPHL, BOC, Lazada, MAC Cosmetics, Ever Bilena Cosmetics, Rare Beauty, Detail Cosmetics, Huda Beauty, Careline Cosmetics, Laneige, Blk Cosmetics, Nike, World Balance, ZARA, Forever 21, Lululemon, Boohoo, Jo Malone London, MAison Francis Kurkdjian, Yves Saint Laurent, 현지 언론 및 KOTRA 마닐라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필리핀 MZ세대의 소비 트렌드 변화, 위조품을 대체할 Dupe 문화)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꿀잠 자고 싶은 중국인들의 지갑을 열게 하는 수면 보조 제품
중국 2025-07-07
-
2
2024년 필리핀 프랜차이즈 산업 정보
필리핀 2024-12-23
-
3
'건강 챙김 소비'하는 미국 MZ, 코티지 치즈와 케피어 인기
미국 2025-07-07
-
4
필리핀 통신산업 정보
필리핀 2020-06-11
-
5
2021년 필리핀 산업 개관
필리핀 2021-07-02
-
6
필리핀 관광산업
필리핀 2019-08-21
-
1
2024년 필리핀 프랜차이즈 산업 정보
필리핀 2024-12-23
-
2
2021년 필리핀 BPO 산업 정보
필리핀 2021-11-05
-
3
2021년 필리핀 산업 개관
필리핀 2021-07-02
-
4
필리핀 부동산 산업
필리핀 2020-07-06
-
5
필리핀 통신산업 정보
필리핀 2020-06-11
-
6
필리핀 관광산업
필리핀 2019-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