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포르투갈 뷰티테크 기기 시장동향
  • 상품DB
  • 포르투갈
  • 리스본무역관 오유진
  • 2025-07-21
  • 출처 : KOTRA

최근 5년간 역동적인 변화를 보이는 포르투갈 뷰티테크 기기 시장

가정용 기기는 SNS · 이커머스 중심, 의료용 기기는 전문 딜러 중심으로 브랜드 확산… 접근성 확보가 관건

팬데믹 이후 온라인 유통 급성장 ··· 오프라인 중심 구조 점차 재편

상품명 및 HS 코드


상품명

HS Code

그 밖의 기기 (가정형 이온정수기. 미용기기. 오디오믹서. 오존발생기. 전자사전, 고주파증폭기. 디텍터 등)

854370

 

시장 개요 및 배경


포르투갈 스킨케어 시장은 최근 몇 년 사이 눈에 띄는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Euromonitor에 따르면, 포르투갈 스킨케어 시장은 2024년 기준 전년 대비 7% 성장하며 뷰티 및 퍼스널케어 부문에서 가장 두드러진 성과를 기록했다. 피부 관리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특히 팬데믹 이후 홈케어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 소비자들은 단순 화장품 소비를 넘어 고기능성 전자기기를 활용한 피부 관리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따라 유럽 주요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후발주자인 포르투갈에서도 ‘뷰티테크’에 대한 수요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Statista에 따르면, 2025년 포르투갈의 뷰티테크 시장은 약 3294만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특히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돼 개인 맞춤형 피부 관리가 가능한 기기나, AI 분석을 통해 최적의 루틴을 추천하는 제품 및 서비스 등이 유통 시장에 다수 등장하고 있다. 가르니에(Garnier), 비쉬(Vichy), 이브로쉐(Yves Rocher) 등 다국적 브랜드들도 AI 기반 피부 진단 서비스를 적극 도입하며 소비자 경험을 확장하고 있다.


<포르투갈 뷰티테크 시장 규모 추이>

(단위: US$ 백만)

[자료: Statista]


이와 함께, 포르투갈의 미용 의료 시장도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Global Data에 따르면, 최근 특히 필러나 화학 박피 등 비수술적 시술의 수요가 많이 증가하고 있으며, 주요 도시에서는 병원과 전문 클리닉에서 다양한 비침습적 미용 시술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Statista에 따르면, 포르투갈의 성형 수술 · 시술 시장은 2025년 약 1억3947만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이후에도 꾸준히 한 자릿수의 안정적인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수입 동향


포르투갈의 뷰티테크 기기 수입은 기능과 용도에 따라 크게 세 가지 HS코드로 나눠 관리하고 있다.


① HS 854370: 가정용 미용기기를 포함한 기타 전자기기

② HS 901890: 피부 재생기, 마이크로니들링 장비, 고주파 치료기 등 기타 의료 기기

③ HS 901820: 자외선 및 적외선 기반 LED, RF, HIFU 응용기기

 

<포르투갈 뷰티테크 기기 수입액 추이>

(단위: US$ 백만, %)

분류

2020

2021

2022

2023

2024

854370

(가정형
미용기기)

수입액

98.9

147.3

143.5

102.4

75.8

증감률

-

49

-2.6

-28.6

-26

901820

(자외선 · 적외선 
응용기기)

수입액

0.38

0.87

0.82

1.45

0.86

증감률

-

128.9

-5.7

76.8

-40.7

901890

(기타의료기기)

수입액

262.4

286.3

280.7

324.2

397.3

증감률

-

9.1

-2

15.5

22.6

[자료: UN Comtrade]


포르투갈의 뷰티테크 기기 시장은 최근 5년간 다양한 제품군에서 역동적인 변화를 보인다. HS 코드 854370(가정용 미용기기)은 2021년에 급성장했으나, 이후 조정 국면에 접어들었다. 2024년 수입액은 약 7589만 달러로, 2022년 대비 절반 수준에 그쳤다. 이는 수요 과잉에 따른 시장 조정 과정으로 해석되며, KOTRA 리스본무역관에서 접수되는 문의 내용을 종합할 때 홈케어 제품에 대한 소비자 수요는 여전히 유효한 것으로 보인다.


HS 코드 901820(자외선 · 적외선 응용기기)의 수입 규모는 상대적으로 작으며, 연도별 증감 폭이 큰 것으로 보아 특정 목적에 한정된 수요가 비정기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KOTRA 리스본무역관 자체 조사 결과, 특히 피부 관리 분야에서는 유행 제품 및 시술의 영향이 커 불균형적인 수요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HS 코드 901890(기타 의료기기)은 전문 시술용 장비 수요에 힘입어 성장세를 보인다. 특히 2024년에는 수입액이 전년 대비 22.6% 증가해 3억9735만 달러에 달했다. 이는 병원 및 에스테틱 클리닉을 중심으로 고가 장비 수요가 지속 확대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주요국 수입 현황


<포르투갈의 가정형 미용기기(HS 854370) 수입 동향>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수입액

점유율 (%)

증감률 '23/'24

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

전체

143,502

102,484

75,889

100

100

100

-26.0

1

스페인

28,808

27,371

21,110

20.07

26.71

27.82

-22.9

2

독일

15,531

18,162

14,451

10.82

17.72

19.04

-20.4

3

프랑스

15,753

15,680

8,775

10.98

15.30

11.56

-44.0

4

중국

14,535

11,947

7,968

10.13

11.66

10.50

-33.3

5

네덜란드

46,458

5,225

6,890

32.37

5.10

9.08

31.9

6

이탈리아

8,362

5,329

3,592

5.83

5,20

4.73

-32.6

7

벨기에

2,407

2,955

2,809

1.68

2.88

3.70

-4.93

8

덴마크

621

841

1,223

0.43

0.82

1.61

45.4

9

영국

1070

1,944

1,175

0.75

1.90

1.55

-39.5

10

미국

886

3,220

1,101

0.62

3.14

1.45

-64.8

19

한국

291

459

268

0.20

0.45

0.35

-41.7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06.23. 기준]


가정형 미용기기 수입은 2022년 1억4350만 달러에서 2024년 7589만 달러로 감소하며 큰 내림세를 보였다. HS 854370 수입에서 스페인과 독일은 2024년 기준 합산 47% 이상의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으며, 프랑스, 중국, 네덜란드 등이 뒤를 잇고 있다. 특히 네덜란드로부터의 수입액은 2024년에 전년 대비 31.85% 증가해, 주요국 중 유일하게 수입액이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포르투갈의 자외선 · 적외선 응용기기 (HS 901820) 수입 동향>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수입액

점유율 (%)

증감률 '23/'24

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

전체

830.67

1,452.16

870.88

100

100

100

-40.0

1

스페인

192.26

889.51

279.23

23.1

61.2

32.1

-68.6

2

일본

14.00

27.57

240.37

1.7

1.9

27.6

771.9

3

독일

16.32

50.03

89.44

2.0

3.4

10.3

78.8

4

스위스

7.05

0.83

70.60

0.8

0.1

8.1

8319.6

5

이탈리아

87.12

309.44

43.37

10.5

21.3

5.0

-86.0

6

미국

65.47

92.58

42.96

7.9

6.4

4.9

-53.6

7

프랑스

399.65

7.63

34.44

48.1

0.5

4.0

351.2

8

벨기에

1.60

0.37

27.27

0.2

0.03

3.1

7150.7

9

중국

14.31

22.87

21.65

1.7

1.6

2.5

-5.3

10

네덜란드

0.81

1.94

10.81

0.1

0.1

1.2

456.0

13

한국

4.61

-

231

0.6

-

0.03

-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06.25. 기준]


자외선·적외선 응용기기 수입 시장은 앞선 두 시장에 비해 규모가 작아, 수입액과 국가별 점유율 순위의 변동 폭이 큰 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페인은 최근 3년간 20% 이상의 안정적인 점유율을 유지하며, 최대 수출국으로 자리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포르투갈의 기타 의료기기(HS 901890) 수입 동향>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수입액

점유율 (%)

증감률 '23/'24

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

전체

280,790

324,215

397,357

100

100

100

22.6

1

스페인

98,549

117,132

142,953

35.1

36.1

36.0

22.0

2

독일

59,447

62,952

91,567

21.2

19.4

23.0

45.5

3

네덜란드

47,062

63,694

69,396

16.8

19.6

17.5

9.0

4

벨기에

19,083

16,254

16,272

6.8

5.0

4.1

0.1

5

일본

2,253

7,431

14,049

0.8

2.3

3.5

89.1

6

이탈리아

8,092

7,886

13,032

2.9

2.4

3.3

65.3

7

프랑스

9,336

11,976

10,609

3.3

3.7

2.7

-11.4

8

중국

5,946

6,157

9,121

2.1

1.9

2.3

48.2

9

슬로베니아

4,962

5,471

4,721

1.8

1.7

1.2

-13.7

10

미국

4,411

4,446

3,762

1.5

1.4

0.9

-15.4

17

한국

1,098

1,170

1,215

0.7

0.4

0.3

3.9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06.23. 기준]


기타의료기기 수입은 2024년 기준 전년 대비 22.6% 증가해 3억9735만 달러를 기록하며 뚜렷한 성장세를 보였다. 스페인, 독일, 네덜란드 3개국이 전체 수입의 75% 이상을 차지해 유럽 역내 공급 중심 구조를 보이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한국 제품의 점유율은 아직 낮지만, 기술 기반 경쟁력을 바탕으로 충분한 성장 가능성을 지닌 것으로 평가된다.


경쟁 동향


<포르투갈 뷰티 기기 시장의 주요 브랜드 비교>

기업명

브랜드명

국가

주요 제품

분야

FOREO

FOREO

스웨덴

·  LUNA 시리즈

실리콘 진동 클렌저

APR Co., Ltd

메디큐브

한국

·  AGE-R 시리즈

고주파와 미세전류 복합 피부 관리 기기

Braun GmbH

Braun

독일

·  Braun Face Spa
시리즈

클렌징, 얼굴 제모, 피부 관리 겸용 기기

TUMAKOU

TUMAKOU

중국

·  High Frequency
Facial Machine

고주파 피부 관리 기기

Lumenis Ltd.

Lumenis

이스라엘

·  triLift

·  STELLAR M22

·  ULTRApulse® 등

얼굴 근육 자극, 피부 활력 개선, 흉터 치료 등을 위한 마이크로니들링 및 레이저 기기

InMode Ltd.

InMode

이스라엘

·  Morpheus8

·  Lumecca

·  Forma I 등

피부 활력 개선, 염증완화,
착색 치료 등을 위한 레이저 · 고주파 · 마이크로니들링 기기

BTL

BTL Aesthetics

체코

·  EXILIS

·  EXILIS ULTRA 360

·  EMSCULPT NEO

·  EMTONE 등

얼굴 리프팅, 피부 활력 개선, 셀룰라이트 감소, 근육강화 및 바디라인 개선 등을 위한 고주파 기기

Arosha Aesthetic Science

Arosha

이탈리아

·  Wave Shape

·  AROSHA LX9 등

탄력 강화, 림프 배출 촉진, 혈액순환 개선 및 근육 마사지 등을 위한 초음파 및 공기압 마사지 기기

[자료: 기업별 홈페이지, KOTRA 리스본무역관 정리]


포르투갈 가정용 미용기기 시장에서는 글로벌 및 아시아 브랜드가 가격대별로 서로 다른 포지셔닝을 하고 있다. 고가 프리미엄 시장은 스웨덴의 포레오(FOREO), 독일의 브라운(Braun), 한국의 메디큐브 등이 주도하며, 중저가 시장은 중국 브랜드들이 공세를 펼치고 있다.


스웨덴의 포레오 제품들은 포르투갈의 여러 뷰티 및 전자제품 판매 사이트에서 강력한 브랜드 인지도를 보이며 프리미엄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한국의 메디큐브 제품은 기능 면에서는 경쟁력이 높으나, 아직은 니치 마켓 중심의 유통망을 확보하고 있으며 브랜드 인지도는 제한적인 편이다. 그러나 최근 SNS를 통해 외국 인플루언서들의 사용 영상이 주목을 받으며 인기를 끌고 있다. 반면 중국 브랜드들은 알리익스프레스(AliExpress)나 아마존(Amazon)과 같은 전자상거래 채널을 통해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대량 판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한편, 레이저 피부 재생 장비와 같은 고가 · 고기능 의료기기 시장은 인모드(InMode), 루메니스(Lumenis), BTL등 글로벌 기업이 주도하고 있다. 이들 제품은 주로 병 · 의원 및 전문 클리닉에 공급되며, 임상적 신뢰성과 첨단 기술력을 바탕으로 프리미엄 시장 내 확고한 입지를 구축하고 있다.

 

유통구조


Statista에 따르면, 2024년 기준 포르투갈 내 뷰티테크 제품의 매출은 오프라인에서 46.4%, 온라인에서 53.6% 발생했다. 2019년에는 오프라인이 64.9%, 온라인이 35.1%였던 점을 고려하면, 팬데믹을 거치며 온라인 시장이 크게 성장했음을 알 수 있다.


<포르투갈 뷰티테크 시장의 온오프라인 매출 비중>

(단위: %)

* 주: 바 그래프 중 상부의 옅은 파란색은 온라인, 하부의 짙은 남색은 오프라인

[자료: Statista]


화장품 유통업체의 경우, 세포라(Sephora), 퍼퓨메스 앤 콤파냐(Perfumes & Companhia), 플루리코스메티카(Pluricosmética) 등이 온오프라인의 주요 채널로 자리 잡고 있다. 워튼(Worten)과 같은 가전·전자기기 종합 쇼핑몰에서도 일부 제품을 온오프라인에서 취급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포르투갈 시장 내에서 한국 화장품이 인기를 얻음에 따라 오케이션투스마일(Occasion2Smile)과 같은 한국 화장품만 취급하는 온오프라인 유통업체가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상당수의 한국 뷰티 기기가 해당 업체들을 통해 공급되고 있다.


전문 레이저 의료기기는 주로 포르투갈에 지사를 둔 공식 브랜드 대리점, 전문 의료기기 유통업체, 또는 전문 에스테틱 기기 유통업체를 통해 공급된다. 인모드, 루메니스, BTL등 글로벌 공급사는 현지 의료기기 전문 딜러와 협력하거나, 직접 법인을 통해 B2B 공급망을 구축하고 있다. 일부 고가 장비는 수입 대리점 및 현지 의료기기 전시회를 통한 프로모션도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관세율


EU와 한국의 한-EU FTA에 따라, HS 코드 854370, 901820, 901890 모두 무관세 혜택을 받는다.

 

인증


ㅇ HS 코드 854370

- CE 인증: 대부분의 전기 · 전자기기는 EU 시장에서 판매되기 위해 CE 인증이 필요하다. 이는 제품이 EU의 안전, 건강, 환경 보호 기준을 준수함을 증명하는 것이다. 해당 HS 코드에 속하는 모든 제품은 전자기적합성(EMC) 지침(2014/30/EU)을 준수해야 하며, 이는 제품이 전자파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거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품에 Wi-Fi, 블루투스 등 무선 통신 기능이 포함돼 있다면, 무선기기지침(RED, 2014/52/EU)도 준수해야 한다. 두 지침 모두 CE 인증 절차의 일부로 통합된다.

(EMC 안내 링크, RED 안내 링크)

- 제품 시험: 제품은 EU 기준에 따라 시험 및 인증을 받아야 하며, 보통 IPAC(포르투갈 인증기관) 등공인시험기관을 통해 진행된다.

- 품질경영시스템(QMS): 필수 사항은 아니나, ISO 9001 또는 의료용 제품의 경우 ISO 13485 인증을 받을 경우 시장 진입 시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다.

 

ㅇ HS 코드 901820, 901890

-  CE 인증: 해당 HS 코드에 속하는 모든 의료기기는 EU의 의료기기 규정(MDR)에 따라CE 인증을 필수적으로 받아야 한다.

-  품질경영시스템(QMS): ISO 13485 인증은 강력히 권장되며, 실제로 많은 경우 요구된다.

-  INFARMED 등록: 의료기기로 분류되는 모든 제품은 포르투갈 보건 당국 (INFARMED)에 사전 등록돼야 시장에 진입할 수 있다. (INFARMED 링크)

- 제품 시험: 해당 HS 코드 제품은 적합성 평가 절차를 반드시 거쳐야 하며, 기기의 분류에 따라 공인기관(Notified Body)이 평가에 참여할 수 있다.

 

ㅇ 공통 요건 (모든 HS 코드 해당)

-  원산지 증명서: 한-EU 자유무역협정(FTA)의 혜택을 받기 위해, 상업 송장에 원산지 증명 문구를 포함해야 한다. 단, 6000유로 초과 수출 시에는 승인수출자번호(Customs Authorization No.)를 포함해야 한다.

-  기타 요구사항: 포르투갈 세관의 제한 · 금지 품목 목록을 사전에 확인해, 해당 제품의 수출 가능 여부를 점검해야 한다. (금지목록 링크)

 

시사점


포르투갈 뷰티테크 시장은 고기능 기기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홈케어 트렌드는 중장기적으로도 지속될 전망이다. 전문 클리닉 중심의 고가 장비 수요 증가와 더불어, 소비자용 스마트 디바이스 시장도 점차 회복세에 진입하고 있다.


한국 기업의 경우, 일부 제품은 성능과 디자인에서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으나 시장 점유율은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특히 경쟁 제품들이 뚜렷한 가격 포지셔닝과 기능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는 만큼, 한국 기업들은 기술력 기반의 고부가가치 전략을 통해 브랜드 프리미엄을 구축해야 한다. 더불어 피부 관리 제품 및 시술의 수요는 유행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SNS를 활용한 지속적인 홍보와 소비자 반응 관리가 필수적이다. 또한, 유럽 내에서 제품 인증, AS 체계 등 신뢰 기반 요소 확보가 중요해지고 있는 만큼, 관련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것도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자료: Euromonitor, Statista, Global Data, 360 Compliance, INFARMED, CTT, 기업별 홈페이지, KOTRA 리스본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포르투갈 뷰티테크 기기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