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인도 모니터 시장 동향
  • 상품DB
  • 인도
  • 뉴델리무역관 한종원
  • 2025-07-21
  • 출처 : KOTRA

인도, 고사양 모니터 수요 급증…게이밍·재택근무 시장이 견인

고해상도·대화면 선호 확대, 한국산 수입 대폭 증가

상품명 및 HS code

 

PC 모니터 및 프로젝터는 컴퓨터에서 생성된 이미지와 영상을 출력하는 데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HS Code 852852에 해당한다. PC 모니터는 데스크톱이나 노트북 컴퓨터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독립형 화면 장치로, 기본적인 문서 작업부터 전문가용 디자인 및 게이밍 용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크기와 해상도의 제품이 시판되고 있다. 반면, 프로젝터는 벽면이나 스크린과 같은 넓은 표면에 영상을 투사하는 장치로, 프레젠테이션, 홈시어터, 게임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두 제품 모두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컴퓨터와 연동이 가능하며, 설치 위치나 사용 환경에 따라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시장 동향

 

인도 PC 모니터 및 프로젝터 시장은 정보통신(IT) 산업의 빠른 성장, 재택근무의 확산, 그리고 게이밍 인구의 증가에 힘입어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특히 고해상도 및 대화면 모니터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주요 수요지는 벵갈루루(Bengaluru), 하이데라바드(Hyderabad), 델리(Delhi) 등 인도 내 주요 IT 허브로 꼽히는 대도시 지역이다. 해당 지역은 다수의 첨단기술 기업이 입지해 있고, 디지털 친화적인 소비자층이 밀집해 있어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이들 지역의 우수한 인프라와 높은 가처분 소득 또한 시장 성장을 견인하는 요인이다.

 

Statista에 따르면, 인도의 PC 모니터 및 프로젝터 시장은 2025년 기준 약 18900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5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은 1.96%로 추산되며, 이는 세계 평균 대비 다소 높은 수준이며, 판매량은 2030년까지 약 2580만 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2026년에는 물량 기준으로 1.9%의 성장률이 예상되며, 2025년 기준 인도 국민 1인당 평균 보유량은 약 0.016대 수준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재택근무와 온라인 교육의 확산은 인도 내 모니터 및 프로젝터 수요를 급격히 증가시킨 요인으로 작용했다. 특히 1920×1080 해상도(FHD, Full HD) 제품군은 가격 대비 성능이 우수해 개인 소비자와 기업 모두에게 선호도가 높다. 디스플레이 패널 유형 중에서는 IPS(광시야각) 패널이 우수한 색상 정확도와 넓은 시야각 특성으로 인해 디자인, 미디어 등 전문 분야 종사자를 중심으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인도 PC 및 디스플레이 시장의 성장을 견인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는 전통적인 PC 시장의 회복세다. 국제데이터공사(IDC)에 따르면, 인도의 전통 PC 시장(데스크톱, 노트북, 워크스테이션 포함)20251분기 동안 전년 동기 대비 8.1% 성장하며 총 330만 대를 출하했다. 이는 7분기 연속 성장 기록이다. 특히 노트북 부문은 13.8%, 워크스테이션은 30.4%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며, 프리미엄 노트북(1000달러 이상)8% 증가했다. 인공지능(AI) 기반 노트북은 아직 물량 비중은 작지만 전년 대비 185.1%의 폭발적인 성장률을 기록했다. 반면 데스크톱 부문은 2.4% 감소했다.

 

소비자 부문은 공휴일 및 3월 유통망 출하 증가에 힘입어 8.9% 성장했고, 이커머스(e-tail) 채널은 21.9% 성장하며 견조한 흐름을 이어갔다. 기업용 노트북 수요 확대로 상업 부문도 7.5% 증가했으나, 정부 부문 수요 감소로 상업용 데스크톱은 2.5% 감소했다. PC 브랜드들은 브랜드 매장 확대, 대형 유통망 채널 확보, 온라인 캐시백 혜택 등을 통해 접근성을 강화하고 있다. 다만 유통 채널 재고 증가 문제는 단기적으로 시장의 리스크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한편, 인도 게임 산업의 성장도 모니터 수요를 자극하는 또 다른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IMARC에 따르면 인도의 게임 시장 규모는 2024년 기준 43억 달러에 달하며, 2033년까지 152억 달러로 성장할 전망이다(CAGR 15.2%). 고속 인터넷 보급 확대, 이스포츠 리그와 커뮤니티 구축, 프로게임팀 양성 등이 시장 확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현재 인도에는 약 200만 명의 게이밍 노트북 사용자가 있으며, 더 큰 화면 경험을 위해 고성능 모니터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뷰소닉(Viewsonic) 등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인도 게이밍 모니터 시장은 144Hz 165Hz 제품이 주를 이뤘으나, 올해 들어 180Hz, 2K 해상도 기반 240Hz 제품 출시 이후 전 가격대에서 수요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인도 소비자들은 27인치를 기본 크기로 인식하고 있으며, 최소 180Hz 이상을 기본 사양으로 요구하고, 240Hz는 사실상 필수 사양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일부 헤비 유저의 경우 360Hz 또는 520Hz 제품까지 요구하는 트렌드도 관찰되고 있다.

 

수입 동향

 

한국산 PC 모니터 및 프로젝터(HS Code 852852)의 인도 수입은 최근 몇 년간 뚜렷한 증가세를 보여주고 있다. 2022년 기준 수입액은 1297,000달러였으나, 2023년에는 전년 대비 약 276% 증가한 4891,000달러로 급증했다. 다만, 2024년에는 소폭 조정되며 4727,000달러를 기록해 전년 대비 소폭 감소세를 나타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장기적으로는 한국산 고사양 디스플레이 제품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이는 프리미엄 게이밍 모니터와 업무용 고해상도 제품에 대한 인도 시장 내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는 점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인도 모니터(HS 코드: 852852) 수입 동향>

(단위: US$ 천, %)

순위

교역국

수입 금액 수입 비중

증감률

’24/’23

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세계

620,994

520,294

544,577

100.00

100.00

100.00

4.67

1

중국

461,428

342,237

370,392

74.30

65.78

68.01

8.23

2

베트남

11,614

41,793

46,437

1.87

8.03

8.53

11.11

3

대만

43,504

39,038

37,647

7.01

7.50

6.91

-3.56

4

홍콩

28,160

28,950

24,953

4.53

5.56

4.58

-13.81

5

말레이시아

38,953

16,102

21,022

6.27

3.09

3.86

30.55

6

싱가포르

18,762

19,596

13,789

3.02

3.77

2.53

-29.63

7

인도네시아

4

4,062

5,038

0.00

0.78

0.93

24.04

8

대한민국

1,297

4,891

4,727

0.21

0.94

0.87

-3.35

9

미국

3,275

6,263

3,996

0.53

1.20

0.73

-36.19

10

벨기에

2,253

2,947

3,573

0.36

0.57

0.66

21.26

[자료: Global Trade Atlas]

 

관세율 및 인증

 

PC 모니터 및 프로젝터(HS Code 852852)에 대해 인도 정부는 CEPA(-인도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 적용 여부에 따라 상이한 관세 체계를 운용하고 있다. 우선 CEPA가 적용되지 않는 일반 수입의 경우, 기본 관세 10%에 더해 사회복지세(Social Welfare Surcharge, 이하 SWS) 10%와 통합간접세(Integrated Goods and Services Tax, 이하 IGST) 28%가 부과된다. 이를 모두 합산한 총 과세율은 약 42.08%에 달한다. 이는 전체 수입가에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관세 회피 전략이 중요하다.

 

반면, 한국과 인도 간 체결된 CEPA 협정을 적용할 경우, 기본 관세가 면제(0%)되며, SWSIGST는 각각 10%, 28%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CEPA 적용 시 관세율은 28%로 대폭 낮아지며, 우리 기업 수출 시 유리한 조건을 확보할 수 있다. 다만 CEPA 혜택을 적용받기 위해서는 일정한 원산지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이처럼 CEPA 적용 여부에 따라 관세 부담이 최대 14%p까지 차이 나기 때문에, 한국 기업은 인도 수출 시 원산지 기준과 관련 서류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하며, 특혜 관세 활용 전략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경쟁 동향

 

<인도 모니터 주요 기업>

연번

기업명

홈페이지

국가

주요 제품

1

Dell Technologies

https://www.dell.com/en-in/shop/everyday/sac/monitors/everyday-monitors

미국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95pixel, 세로 500pixel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6pixel, 세로 500pixel

2

HP Inc

https://www.hp.com/in-en/monitors-accessories/computer-monitors.html

미국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00pixel, 세로 526pixel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59pixel, 세로 560pixel

3

Lenovo Group

https://www.lenovo.com/in/en/computer-monitors/

중국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85pixel, 세로 585pixel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05pixel, 세로 505pixel

4

Samsung Electronics

https://www.samsung.com/in/monitors/?srsltid=AfmBOoqcxr0Gni3MygtGv2YVpDwLkbjKadhjhxRwfcUlNSIn6g8zlrUw

한국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16pixel, 세로 216pixel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16pixel, 세로 216pixel

5

LG Electronics

https://www.lg.com/in/monitors/?srsltid=AfmBOooQszPNQFclok38P4Zj6oH4B8RR-9PQY4Mc2ipnaQyVLdwZYWiA

한국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4pixel, 세로 401pixel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67pixel, 세로 442pixel

6

Zebronics

https://zebronics.com/

인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81pixel, 세로 542pixel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33pixel, 세로 452pixel

[자료: 각 기업 홈페이지]

 

유통 구조

 

인도의 컴퓨터 모니터 시장은 복잡한 유통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제조사에서 시작된 제품은 전국 유통업체, 지역 유통업체, 소매상으로 이어지는 전통적인 계층적 구조(Tiered Distribution System)를 따르고 있으며, 최근에는 온라인 채널의 비중이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먼저, 제조사 또는 OEM 단계에서는 Dell, HP, Lenovo, LG, 삼성(Samsung), Acer, ASUS, ViewSonic, BenQ, MSI 등 글로벌 브랜드와 함께 Zebronics, Intex, iBall 등 인도 내 로컬 브랜드가 공존하고 있다. 일부 글로벌 브랜드는 인도 현지 생산을 확대하고 있으며, 중국, 베트남, 대만 등지에서 조립된 제품을 수입하는 형태도 병행하고 있다.

 

이후 OEM으로부터 직접 제품을 공급받아 유통업체가 전 인도 지역 혹은 특정 권역의 유통을 담당한다. 대표적인 업체로는 Redington India, Ingram Micro, Rashi Peripherals, Supertron Electronics, Savex Technologies 등이 있으며, 이들은 물류, 재고 보관, 하위 유통망에 대한 신용 공급 등을 수행한다.

 

다음 단계인 지역 유통업체(Regional/Sub-distributors)는 인도의 북부, 남부, 동부, 서부 등 지역 단위로 활동하며, 지역 소매상 또는 IT 채널과의 유기적 관계를 바탕으로 시장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이들은 일반 소비자 대상 IT 리테일 채널 또는 기업용 B2B 채널에 특화된 경우가 많다. 소매상(Dealers/Retailers)은 전통적인 오프라인 상점부터 대형 가전 유통망까지 다양하게 존재한다. 이외에도 학교, 기업, 정부기관을 대상으로 연 단위 유지보수계약(AMC)을 포함한 대량 납품을 수행하는 기업형 리셀러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최근에는 전자상거래 플랫폼(E-commerce)의 성장세가 두드러지며, 전통 유통 구조에 변화를 주고 있다. Amazon India, Flipkart, Reliance Digital Online, Croma Online 등을 통해 소비자는 손쉽게 고성능 모니터를 구매할 수 있으며, 해당 채널은 직배송, 공격적 가격 정책, 전국 단위 유통망 확보 등의 장점을 기반으로 급성장하고 있다.

 

인도 시장은 가격 민감도가 높은 반면, 소비자는 해상도, 화면 크기, 주사율, 품질보증 등 제품 스펙에도 민감한 반응을 보이기 때문에, 제조사 및 유통업체는 이러한 수요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유통 전략을 병행하고 있다. 특히 교육(EdTech), 재택근무, 게이밍, 사무용 시장이 수요 확대를 주도하고 있다.

 

<모니터 시장 유통 구조>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c7c2e5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87pixel, 세로 625pixel

 [자료: KOTRA 뉴델리무역관]

 

인도 PC 모니터 시장은 원격근무, 온라인 교육, 게이밍 수요 증가에 힘입어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되는 유망 시장으로, 한국 기업에도 새로운 진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시장에서는 Dell, HP, Lenovo, 삼성, Acer 등 글로벌 브랜드들이 이미 입지를 확보하고 있으나, 고사양·특화 제품군을 중심으로 새로운 기업의 진입 여지가 여전히 존재한다.

 

특히 게이밍 모니터, 고해상도 전문가용 모니터 등 특정 분야에 집중하는 전략이 유효할 수 있다. 인도 정부는 교육기술(EduTech) 산업에도 관심을 높이고 있어, 교육용 보급형 모니터 수요 또한 중장기적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27인치 이상 대화면, 고주사율(240Hz 이상), 4K 해상도, 인체공학적 설계 등 첨단 디스플레이 기술이 적용된 신제품에 대한 수요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일부 게이머 소비층은 1~2년 단위로 하드웨어를 교체하며 프리미엄 제품에도 아낌 없는 지출을 보이고 있다.

 

인도는 전통적으로 가격 민감도가 높은 시장이기 때문에 가격경쟁력 확보가 필수적이다. 이와 함께, 현지 유통 파트너와의 협력을 통해 기존의 물류·판매 인프라를 활용하는 것도 효과적인 시장 진입 전략으로 꼽힌다. 대형 유통망 제휴를 통해 소비자 신뢰도를 높이고, 제품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제품의 주요 기능과 장점을 강조하는 적극적인 마케팅 및 브랜드 인지도 제고 전략이 중요하다. 특히 온라인 판매 플랫폼과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소비자 대상 커뮤니케이션이 시장 내 반응을 이끌어내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인도 모니터 시장은 고기능 제품 중심의 수요 확대와 디지털 환경 변화에 발맞춘 맞춤형 진입 전략이 뒷받침된다면, 한국 기업에게 매우 유의미한 수출 및 성장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시장이다.

 


자료: Statista, IDC India, IMARC, ViewSonic India, Bureau of Indian Standards(BIS), Ministry of Electronics and IT(India), Redington India, Ingram Micro, KOTRA 뉴델리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인도 모니터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