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아제르바이잔 자동차부품 시장
  • 상품DB
  • 아제르바이잔
  • 바쿠무역관 고충성
  • 2025-07-14
  • 출처 : KOTRA

제조기반이 없어 수입에 전적으로 의존, 차량 수요 증가로 AS용 부품 시장 성장 예상

중국산이 높은 시장점유율 차지하는 가운데 품질 평가 높은 한국부품도 시장 개척 여지 높음


HS 코드

구분

VAT

수입 관세

870899

HS코드 8701~8705자동차의 부품 및 액세서리

18%

5%

 

시장 동향


아제르바이잔에서는 개인용, 영업용 차량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정부 차원에서 추진되는 국토 전반에 걸친 지방 도로 개발과 교통 인프라 정비는 그간 도시부에 집중됐던 자동차 수요가 전국으로 확산되는 계기가 되고 있다. 제조업 기반이 취약한 아제르바이잔에서는 자동차가 생산되지 않기 때문에 자동차부품 수요는 AS용 제품이 주를 이룬다. 한편 시장에서는 차령 10년 이상의 중고차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아제르바이잔 국가통계청에 따르면, 2023 기준 아제르바이잔에는 약 150만 대의 자동차가 등록돼 있다. 이 중 10 이상된 자동차의 비중은 84.4%에 이르렀다. 노후화된 자동차는 수리, 교체가 자주 필요하기 때문에, 브레이크, 서스펜션 시스템, 엔진 예비 부품에 대한 수요가 많다. 아제르바이잔의 중고차 수입현황을 살펴보면, 중국, 일본, 한국, 독일로부터의 수입 비중이 높다. 2024년에는 9만 1838대의 자동차가 아제르바이잔으로 수입됐다.

 

<2024년 아제르바이잔 수입 자동차 현황>

(단위: US$ 만, 대)

HS코드

구분

수량

금액

8702

10인 이상 수송용 자동

405

6,806

8703

승용차와 그밖의 차량

82,434

156,660

8704

화물 자동차

8,430

14,102

8705

특수용도 차량

569

6,846

[자료: 아제르바이잔 통계청]

 

노후차량의 수리와 더불어, 수입 중고차는 현지 상황에 맞게 수리, 개조, 액세서리 추가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들 수요가 현지 자동차 부품 시장을 활성화시킨다. 자동차 부품 제조 기반이 없는 아제르바이잔에서는 이들 제품을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해외 공급업체에게 기회가 되고 있다.

 

수입 동향


<아제르바이잔 자동차부품(HS코드 870899) 수입 추이>
(단위: US$, 톤)

 

[자료: 아제르바이잔 통계청]


2024년 기준 아제르바이잔 자동차 부품 수입액은 3174만 달러를 기록했다. 2024년 기준 주요 수입국은 러시아(24.7%), 중국(21.3%), 튀르키예(20.2%)였으며 같은 해 한국은 전체 자동차 부품 수입 금액 중 5.4%의 비중을 차지했다. 시장 내 브랜드 다양성은 소비자들이 가격, 성능, 내구성 등을 기준으로 선택할 수 있는 폭을 넓혀주고 있다.


<아제르바이잔의 국별 자동차부품 (HS 코드 870899) 수입 현황>

(단위: US$ 만)

순위

(24년 기준)

2023

2024

국가

금액

금액

1

러시아

1,073

러시아

785

2

중국

861

중국

677

3

튀르키예

596

튀르키예

640

4

이란

381

독일

356

5

독일

350

이란

177

6

한국

160

한국

172

7

일본

137

일본

137

8

미국

63

이탈리아

238

9

벨라루스

52

영국

226

10

이탈리아

20

벨라루스

224


합계

3,868

합계

3,174

[자료: 아제르바이잔 통계청]

 

2025 4월까지 아제르바이잔은 한국으로부터 99.2톤, 약 80만 달러의 자동차 부품을 수입했다. 이는 전체 자동차 부품 수입액(약 931만 달러)중 12.5% 비중으로 한국이 자동차 부품의 주요 교역국 하나로 존재감을 나타냈다.

 

경쟁 동향


2024년 기준 아제르바이잔의 자동차부품 수입국 상위 3개국인 러시아, 중국, 튀르키예로부터의 물량이 전체 수입 중 약 2/3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 국가는 지리적 접근성 및 물류 코스트 면에서의 장점과 아제르바이잔과의 국가 차원 통상 관계의 이점을 보유하고 있다. 아제르바이잔의 자동차 부품 가격은 원산지, 브랜드 인지도, 품질, 성능 사양, 제품 유형 등 여러 주요 요소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되고 있다. 아제르바이잔 소비자는 가격에 민감한 특징이 있는데, 특히 중국, 튀르키예 제품은 이러한 소비 트렌드를 겨냥한 저가 시장 중심으로 판로를 개척하고 있다.   

 

중국산 부품은 현재 가장 저렴하고 쉽게 구할 수 있는 제품 중 하나로, 가격에 민감한 소비자들에게 경쟁력 있는 선택지를 제공한다. 반면 가장 고가의 부품은 주로 유럽 및 일본 브랜드에서 수입되며 이들 부품은 내구성, 브랜드 가치, 다양한 주행 조건에서의 성능으로 잘 알려져 있다.

 

반면, 독일, 일본, 한국 등 프리미엄 제조업체의 부품은 기술 우수성, 긴 수명, 높은 신뢰성을 반영하여 고가 시장에 위치하고 있다. 아제르바이잔의 노후 차량 비중이 높고 중고차 사용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기본적이고 경제적인 부품에 대한 수요는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다. 안전성 연료 효율성, 제품 인증 기준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국제 인증을 갖춘 고품질 자동차 부품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유통 구조 및 주요 브랜드


아제르바이잔의 자동차 부품은 다양한 국제 공급업체로부터 수입되며 주요 수입업체 및 도매 유통망을 통해 국내 시장에 유통되고 있다. 국내 시장에서 활동하는 주요 기업으로는 정품 및 애프터마켓 부품을 폭넓게 취급하는 Auto Azerbaijan, 승용차 및 상용차 부품을 전문으로 하는 ShargMotors 그리고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와 구축된 공급망 네트워크로 잘 알려진 Sektor M LLC 등이 높은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 외에도  Active Group와 Auto City 또한 다양한 차량 브랜드의 부품을 소매 및 도매 형태로 유통하며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Araz Motors와 MagTwins는 특히 서스펜션 및 엔진 부품에 특화되어 있다. Okean LLC, Performance Center 등 폭넓은 튜닝 액세서리 라인업에 집중하는 기업도 있다. 한편 아제르바이잔은 한국에 비해 수입업 허가를 득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직접 수입이 가능한 기업의 경우 그만큼 신뢰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국가별 현지 시장의 주요 수입 자동차 부품 브랜드>

브랜드명

원산지

Hyundai Genuine Parts, Onurri, Korea Star, KAP, Sangshin Brakes, Hyundai Mobis, CTR, NPR, Parts Mall 등

한국

SWAG, FAG, INA, LUK, Optimal, LemForder, Elring, Mahle

독일

Delphi, GMB

미국

Brembo, LPR

이탈리아

Delsa, Filder

튀르키예

HUCO

아일랜드

Tomex

폴란드

AirTex

스페인

Pilenga

러시아

Febest

에스토니아

[자료: KOTRA 바쿠무역관]


OEM 부품과 애프터마켓 제품 간의 시장 구성을 분석해 보면 애프터마켓 부문의 점유율이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OEM 부품은 주로 최신 차량 소유자가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공식 유통업체의 공인 서비스 센터를 통해 공급된다. 애프터마켓 부품은 더 폭넓은 가용성과 더 저렴한 가격으로 더 많은 차량 소유자가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널리 사용된다. 현지 소규모 서비스 센터를 중심으로 애프터마켓 부문의 확장이 가속화되고 있다. 한편 아제르바이잔 자동차 부품 시장의 주요 문제 중 하나는 위조 부품의 존재다. 이러한 제품들은 정품 또는 애프터마켓 부품과 동일한 이름과 브랜드를 표시하고 있지만 품질은 현저히 낮고 가격은 훨씬 저렴하다. 한국 정품 부품의 위조품이 발각되는 사례도 종종 있다.    

 

관세율

 

한국으로부터 자동차 부품(HS 코드 870899) 수입 시 5%의 관세가 부과된다. 또한 관세 가치, 운송비, 보험료를 포함된 수입가격에 대해 부가가치세(VAT) 18%가 부과된다.


시사점


아제르바이잔 자동차부품 수입 업체(Sektor M LLC)의 조달 총괄 관리자 Mr. Sabuhi 따르면 아제르바이잔 자동차부품 시장은 2024년도에 비해 활기를 띠고 있다고 한다. 이는 노후화된 차량과 도로에 운행되는 수입 차량의 증가에 기반한다. 2024 전체 자동차 부품 수입은 감소했지만,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오히려 증가한 바 있는데 2025년에 접어 들면서, 다시 감소세에 접어들었다고 한다. Sabuhi 씨는 이러한 변화가 주로 특정 부품의 공급과 물류난에 따른 것으로 보고 있다. 아제르바이잔 현지에서 현대 및 기아의 제품은 브랜드 선호도가 높고 품질이 뛰어난 것으로 정평이 나 있어 수요는 꾸준할 것으로 내다보았다. 앞으로의 시장 전망과 관련해 향후 5년 동안 시장 구조에 상당한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가장 큰 이유는 중국 자동차 브랜드의 아제르바이잔 내 급증세다. 2024년 경부터 저가 하이브리드 차량을 중심으로 중국산 신차가 아제르바이잔 시장을 석권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 자동차부품에 대한 수요도 자연스럽게 확대될 수밖에 없는 구도라고 한다. 다만, 동시에 중국 자동차의 유지보수 문제에 대한 우려도 높다. 중국 자동차는 아제르바이잔 시장에서 단기간에 급속도로 확산돼, AS 대응에 큰 제약을 보이고 있다. 이에 다시 한국 자동차 및 부품에 대해 수요 회복을 예상하는 업계 목소리도 높다고 한다.



자료: 아제르바이잔 통계청, 아제르바이잔 바이어 인터뷰 및 KOTRA 바쿠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아제르바이잔 자동차부품 시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