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글라데시 CCTV 카메라 시장동향
- 상품DB
- 방글라데시
- 다카무역관 이성훈
- 2025-07-14
- 출처 : KOTRA
-
최근 10년 연평균 50% 성장률로 커지고 있는 방글라데시 CCTV카메라 시장 동향
시장 개요
지난 10년간 방글라데시는 연평균 6.6%의 경제 성장을 지속해왔다. 도시화와 산업화가 가속화되면서 도시와 공장 내 보안 이슈에 대한 관심도 크게 커지고 있다. 전체 보안 시장은 2025년 약 1억 2750만 달러 규모로 추산되며, 향후 5년간 연평균 14.46%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주목할 점은 CCTV 카메라 시장의 급성장이다. 2015년 연간 약 20만 대 수준이었던 방글라데시 CCTV 카메라 시장은 2024년 기준 160만 대 이상으로 증가해 연평균 약 50%의 놀라운 성장률을 기록했다.
최근에는 통합관제센터(IOCC)로 운영하는 스마트 시티 이니셔티브가 주목받고 있다. 2025년 기준 약 8890만 달러 규모인 스마트 보안카메라(IP, AI) 부문은 5년 후 약 1억 4870만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추세에 힘입어 Walton 등 현지 가전 대기업들은 기존 수입산 CCTV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자국산 고성능 기술 개발에 대한 투자도 늘리고 있는 상황이다.
<은행, 병원 등 실생활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CCTV>
[자료: 무역관 직접 촬영]
수출입 동향
방글라데시 통계청 기준, 공식적으로 확인 가능한 가장 최신 CCTV 수입 규모는 FY 2022-23이다. 이를 기준으로 최근 5년간 CCTV 수입 규모는 급격한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며 큰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 이는 15년간 독재정권을 유지하다가 2024년 8월 물러난 이전 정부가 FY2022부터 겪은 외환보유고 부족과 수입제한 조치 등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FY 2018-23 방글라데시 CCTV 수입규모 (HS코드: 8525.80.90)>
(단위: US$, %)
HS 코드: 8525.80.90
FY 18-19
FY 19-20
FY 20-21
FY 21-22
FY 22-23
HS Code: 8525.80.90 (CCTV Camera)
8,048,793
5,983,686
4,421,742
6,121,800
102,004
Growth Rate
19.08%
-25.66%
-26.11%
38.43%
-98.33%
[자료: 방글라데시 통계청]
<FY 2018-23 방글라데시 CCTV 수입규모 성장률 (HS코드: 8525.80.90)>
(단위: 백만 US$, %)
[자료: 방글라데시 통계청]
동 기간 동안 국가별 수입 규모를 각 연도별로 보면 아래 표와 같다. 매년 수입 규모는 큰 변동성을 보이지만, 중국, 홍콩, 싱가포르에서 가장 많이 수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한국에서도 최근 5년간 약 5% 비중으로 평균 약 27만 달러 규모를 수입해왔다.
<FY 2018-23 방글라데시 CCTV 국가별 수입동향(HS코드: 8525.80.90)>
(단위: 백만US$, %)
국가
FY 2018-19
FY 2019-20
FY 2020-21
FY 2021-22
FY 2022-23
최근 5년
시장점유율
중국
4,020,456
914,365
1,287,373
1,728,291
71,522
33%
홍콩
576,629
921,141
1,213,348
1,108,303
2,228
15%
싱가포르
701,958
3,613
390,259
2,383,138
28,104
14%
인도
374,780
902,432
378,317
92,134
-
7%
독일
559,024
741,275
165,717
92,883
-
6%
한국
105,049
1,117,622
2,838
100,539
-
5%
아랍에미리트
187,281
455,605
366,255
19,383
-
4%
영국
110,342
25,861
14,444
390,816
-
2%
캐나다
230,435
34,234
74,475
2,302
-
1%
미국
198,763
82,914
20,493
-
21
1%
말레이시아
15,834
82,117
126,771
12,593
-
1%
태국
87
169,927
831
233
-
1%
일본
123,873
851
7,281
30,554
-
1%
대만
93,773
19,229
19,354
9,121
-
1%
네덜란드
34,594
3,657
2,264
-
-
0%
이탈리아
10,817
-
19,357
2,784
-
0%
호주
26,550
376
480
561
561
0%
스웨덴
347
349
9,334
362
947
0%
스페인
32
61
48
-
0%
기타 국가
678,201
508,083
322,488
147,755
620
7%
합계
8,048,793
5,983,686
4,421,741
6,121,800
104,004
100%
[자료: 방글라데시 통계청]
<FY 2022-23 방글라데시 CCTV 국가별 수입 비중(HS코드: 8525.80.90)>
(단위: %)
[자료: 방글라데시 통계청]
방글라데시 통계청 기준, 방글라데시는 아직 현지에서 제조된 CCTV를 수출하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확인된다.
현지 유통 채널 및 동향
방글라데시에서는 대부분의 CCTV 제품이 현지 수입업체 및 도소매업체를 통해 유통되고 있다. 또한 시청, 군, 각 정부부처에서 발주하는 조달 프로젝트의 경우 현지 에이전시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수입산 CCTV를 공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도소매업체들은 제품 설치 및 애프터서비스를 함께 제공하고 있다. 일부 직접 해외에서 구입해 수입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애프터서비스 문제로 인해 현지 도소매업체를 통해 구입하는 비중이 여전히 큰 상황이다.
<방글라데시 수입산 CCTV 유통채널>
[자료: KOTRA 다카무역관]
<방글라데시 수입산 CCTV 유통채널>
[자료: CCTV Accessories BD 수입 및 유통업체]
현재 방글라데시에서 유통중인 CCTV 카메라 모델 및 브랜드와 시중 판매가는 아래 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주로 Hikvison, Dahua와 같은 중국계 브랜드가 약 60% 이상 시장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며, 대만계 브랜드인 Avtech는 약 3%, 한국 삼성 CCTV는 약 2%의 시장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방글라데시 내 CCTV 브랜드별 시장점유율 및 유통업체>
(자료: %)
브랜드
시장점유율(%)
수입 및 유통업체
Hikvision
35%
Rons Tech, AhujaBD
Dahua
25%
Smart Technologies (BD) Ltd.
CP Plus
10%
Computer Solutions Inc
Uniview
8%
Access Tech BD
ZKTeco
5%
Rons Tech
Jovision
4%
LogicGo
Avtech
3%
Kazi Trade & Communication
Samsung
2%
Shift Tech BD
Others
8%
Various Distributors
[자료: Rons Tch, Access Tech BD, Rons Tech 등 수입업체 직접 인터뷰]
시장 점유율이 높은 중국계 브랜드는 보통 시중 판매가가 10달러 초반부터 70달러 대까지 형성돼 있는 반면, 한국 삼성 CCTV, Axis, ZKteco 등 일부 하이엔드급 제품들은 80달러에서 245달러대로 현지에 유통 중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CCTV는 주거, 상업, 공공 부문 전반에 걸쳐 수요가 늘고 있으며, 특히 최근 보안 문제 증가로 인해 급격히 시장이 커지는 추세이다.
<방글라데시 내 CCTV 브랜드별 주요 모델 및 가격대>
(단위: US$)
브랜드
주요 모델명
시중가격
Hikvision
DS-2CE76D0T-ITPF, DS-2CD2021I
$12.30 – $69.67
Dahua
HAC-HFW1200TP, IPC-HFW1230S
$16.39 – $61.48
CP Plus
CP-UVC-TG10L3, CP-UNC-TA40 00
$16.39 – $57.38
Uniview
IPC2122LR3-PF40-C
$49.18 – $73.77
ZKTeco
ZK-DL04
$40.98 – $245.90
Samsung
SNB-6004, PNB-9000
$81.97 – $245.90
Xiaomi
Mijia Smart Camera
$24.59 – $40.98
VStarcam
C16S
$16.39 – $36.89
Reolink
Argus 3 Pro
$69.67
Axis
M2025-LE
$122.95 – $409.84
Avtech
AVN257Z
$24.59 – $81.97
Jovision
JVS-ND6632-H1
$24.59 – $65.57
Lorex
Various Models
$65.57 – $245.90
[자료: Daraz, Samsung, Axis, Startech, Rons Tech]
관세율 및 인증
2025년 기준, 방글라데시에는 인증 외 CCTV 카메라에 대한 특정 수입 제한이 없으며, 아래 관세율은 CIF(운임, 보험료 포함 인도) 기준으로 적용된다. CCTV 제품 수입 시 적용되는 HS 코드 8525.80.90 기준으로 총 관세율(TTI)은 38.47%이며, 세부적으로는 관세, 부가가치세, 사전 소득세, 사전세가 있다.
<방글라데시 내 CCTV 브랜드별 주요 모델 및 가격대>
(단위: %)
HS Code
품목 상세설명
CD
RD
SD
VAT
AT
AIT
TTI
8525.80.90
TELEVISION CAMERAS, DIGITAL CAMERAS AND VIDEO CAMERA
RECORDERS, EXCLU. WEB CAM AND DI
10.00
0.00
15.00
5.00
0.00
5.00
38.47
[자료: 방글라데시 관세율표]
방글라데시에 CCTV 카메라 수입 시에는 수입등록증(IRC)이 필요하며, 무선 또는 네트워크 기능이 있는 카메라의 경우 방글라데시 통신 규제 위원회(BTRC)로부터 NOC(No Objection Certificate) 서류를 받아야 한다. 수입 제품에 대해서는 CE 및 FCC와 같은 국제 기술 표준 준수가 요구되며, 도착 시 서류 확인 및 통관 절차가 진행된다. 필수 수입 서류는 아래 목록을 참고하면 된다.
- 신용장 승인 양식(Letter of Credit Authorization Form)
- 선하증권 또는 항공 운송장(Bill of Lading or Airway Bill)
- 상업 송장(Commercial Invoice)
- 포장 목록(Packing List)
- 원산지 증명서(Certificate of Origin)
- 수입 신고서(Import Declaration Form)
시사점
FY 2023년 전후로 방글라데시는 외환보유고 부족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CCTV 수입 규모가 급감한 상황이었다. 하지만 FY 2024년 이후 기존 200억 달러 미만이던 외환보유고는 다시 증가해 약 300억 달러 규모까지 늘어났고, 작년 8월 15년간 독재를 해오던 전 총리가 물러난 뒤 들어선 과도정부에서 점차 경제 상황도 안정되고 있다.
최근 10년간 동아시아 평균인 연평균 4%의 경제성장률을 상회하는 약 6.6%의 경제 성장을 해온 방글라데시는 급격한 도시화와 산업화가 진행되고 있다. 향후 10년간 도시 내 메트로 운영, 신도시 개발, 산업단지 및 제조설비 유치 확대 등 주거, 상업, 산업 외 정부 인프라 전반에 걸쳐 CCTV 카메라 수요가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이미 저가 제품의 경우 중국 브랜드들이 큰 점유율을 갖고 있으나, 한국 삼성 CCTV의 경우 하이엔드급 제품으로 약 2%의 시장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중간 가격대 부문에서도 한국 기업들은 방글라데시 CCTV 시장의 잠재력에 관심을 갖고 진출을 시도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유망 수입 및 유통 파트너들을 통해 주거, 상업용 CCTV 시장으로 진입하는 방향과 동시에 정부 주도 조달 프로젝트에 전문성을 갖춘 에이전트들을 통한 공공조달용 제품 납품에도 관심을 가져볼 만하다.
자료: 방글라데시 은행, 방글라데시 관세청, 방글라데시 통계청, Daraz, Startech, Rons Tech, Access Tech, BD, KOTRA 다카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방글라데시 CCTV 카메라 시장동향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아제르바이잔 자동차부품 시장
아제르바이잔 2025-07-14
-
2
러시아 열 교환기 시장동향
러시아연방 2025-07-14
-
3
인도, AR·VR 기술로 미래를 설계하다
인도 2025-07-14
-
4
전문매장을 중심으로 확산되는 파나마의 K-뷰티 열풍
파나마 2025-07-14
-
5
페루 빈곤율과 시장 진출 시 참고 사항
페루 2025-07-14
-
6
러시아 시럽 시장동향
러시아연방 2025-07-14
-
1
2024 방글라데시 섬유봉제산업 정보
방글라데시 2024-10-11
-
2
2021년 방글라데시 건설 산업 정보
방글라데시 2021-06-10
-
3
2021년 방글라데시 섬유 산업 정보
방글라데시 2021-05-27
-
4
2021년 방글라데시 철강 산업 정보
방글라데시 2021-05-24
-
5
2021년 방글라데시 산업 개관
방글라데시 2021-05-20
-
6
2021년 방글라데시 제약 산업 정보
방글라데시 2021-05-20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