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내수시장을 타깃하는 대표 박람회 : 제20회 중국 국제 중소기업 박람회 참관기
- 현장·인터뷰
- 중국
- 광저우무역관
- 2025-07-21
- 출처 : KOTRA
-
전정특신 중소기업·AI·디지털 전환 등 중국 산업정책 흐름을 한눈에
중소기업 기술력과 글로벌 교류 기회를 동시에 확보하는 현장 중심 박람회
박람회 개요
<박람회 개요>
박람회명
2025 제20회 중국 국제 중소기업 박람회 (CISMEF)
The 20th China International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Fair
개최기간
2025.6.27.(금)~6.30. (월), 총 4일간
개최장소
캔톤페어 전시장 D 구역(Canton Fair Complex, Area D)
개최연혁
2004년 최초 개최, 올해로 20회차
주최
중국 공업정보화부 (MIIT)
전시면적
8만 ㎡
참가업체 수
2000여 개 기업
전시 분야
소비재, 첨단 장비, 로봇 등 종합 품목
홈페이지
https://www.cismef.com
[자료: 박람회 공식 홈페이지]
제20회 중국 국제 중소기업 박람회(CISMEF 2025)는 중국 공업정보화부가 주최하고, 이집트 중소기업청(MSMEDA) 및 유엔산업개발기구(UNIDO)가 주빈국 및 주빈기구로 참여한 국제 행사로, 2025년 6월 27일부터 30일까지 광저우 캔톤페어 전시장 D 구역에서 개최됐다. 이번 박람회는 ‘협력 강화, 교류 확대, 상호이익, 공동발전’을 주제로, 글로벌 중소기업 간 전시, 협력, 혁신을 촉진하는 플랫폼 구축을 목표로 기획됐다.
참가 현황 및 성과
총 전시면적은 약 8만㎡로 구성됐으며, 전 세계 50여 개국 및 지역, 국제기구 소속 2000여 개 기업이 참여했다. 개막식을 포함해 60여 회의 부대행사가 동시 진행됐으며, 4일간 약 1000억 위안 상당의 상담 성과를 기록하는 등 실질적인 비즈니스 성과가 두드러졌다.
<전시회 도면>
[자료: 박람회 공식 홈페이지]
현장 이모저모
이번 중소기업 박람회는 ▲테마전시관(主题展) ▲ 제조업 디지털 전환 특별전(制造业数字化转型专题展) ▲산업디자인전(工业设计展) ▲스마트 웨어러블 및 시계전(智能穿戴与现代钟表展) ▲전통 브랜드 특별전(老字号企业展) ▲미래산업 특별전(未来产业专区) ▲온라인 전시관(网上中博会)의 총 7개 전시관으로 구성됐다.
<2025 중국 국제 중소기업 박람회 전시관 구성>
구분
내용
테마전시관(主题展)
2층에 마련된 테마전시관은 국제전시관(国际展区), 홍콩·마카오·대만 특별관(港澳台展区), 전정특신* 특별관(省区市专精特新展区)으로 구성됐다. 총 전시면적은 약 1만8000㎡에 달하며, 전 세계 50여 개국과 지역, 국제기구가 참여했다.
*전정특신(专精特新): 전문화(專)‧정밀화(精)‧특성화(特)‧혁신성(新)을 갖춘 첨단제조 분야 중국 강소기업
국제전시관에는 이집트, 한국, 캐나다, 스페인, 그리스, 노르웨이,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네팔, 베트남, 피지 등 550여 개 해외기업이 참가해 850여 개 부스를 운영했다.
홍콩·마카오·대만 특별관에서는 지역별 혁신 소비재와 기술 기반 제품이 함께 소개됐으며, 전정특신 특별관은 각 성·시·자치구의 전정특신 기업들을 한데 모아 전시하는 공간으로 구성됐다.
제조업 디지털 전환 특별전(制造业数字化转型专题展)
총 7500㎡ 규모로 조성된 해당 구역은 디지털 전환 및 스마트 팩토리 관련 기술을 보유한 55개사가 참가했다. 대표적인 기업으로 Zhongke Yunchuang(中科云创)은 인공지능(AI)과 혼합현실(MR)을 결합한 ‘MR+AI 스마트 안경’을 선보여 큰 호응을 얻었다.
산업디자인전(工业设计展)
‘스마트 제조 기반의 웨강아오대만구(GBA) 산업 고도화(湾区智造 越来越好)’를 주제로 구성된 전시관으로, 약 2500㎡ 공간에 국제 디자인 어워드 수상작 150여 점이 전시됐다. 총 178개 전시 부스에서 산업디자인 기반의 혁신 솔루션이 소개됐다.
미래산업 특별전
(未来产业专区)
AI, 로봇, 항공우주, 해양기술 등 차세대 산업에 특화된 중소기업 제품을 집중 전시한 구역이다. Muji(广东木几科技), Livefan(深圳乐凡电子), Zhiyuan(上海智元机器人), Ligong(广州里工智能科技), Yuejiang(深圳越疆科技), Dongfang Space(东方空间技术), Huitian Aerospace(广州小鹏汇天航空科技) 등 약 200개 기업이 현장에서 홍보관을 운영했다.
[자료: KOTRA 광저우무역관 정리]
<중국 국내관 전시 현장>
[자료: KOTRA 광저우무역관 자체 촬영]
<국제관 전시 현장>
[자료: KOTRA 광저우무역관 자체 촬영]
<한국관 현장>
한국관 위치 (캔톤페어 전시장 17.2홀)
한국관(414sqm) 전경
* 한국관 참가 연혁 및 면적: 2025년 제1회 참가 / 414m²
** 참가 규모: 130개사(한국 첨단제조, 생활가전, 뷰티, 식품 등)
[자료: KOTRA 광저우무역관 자체 촬영]
홍보‧체험관
K-뷰티, K-Food, 생활가전을 중심으로 한류 콘텐츠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홍보‧체험관이 운영됐다. LG디스플레이, 한국관광공사, 인생네컷 등 주요 기업·기관이 공동 참여했으며, 메이크업과 두피케어 시연, 포토존 등 다양한 현장 프로그램을 통해 관람객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내고 현장 체험 효과를 제고시켰다. 또한 광둥성 유통망과 연계한 K-Food 홍보 및 시식 행사로 현지 소비자와 바이어의 관심을 끌었으며, 전문무역상사와 협력한 생활가전·조명 체험 부스를 통해 실질적인 구매로 이어질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다.
전시상담 프로그램
소비재 분야 한국 기업을 대상으로 현장 1:1 비즈니스 상담회를 진행하고, 중국 전정특신(專精特新) 기업과 한국 ICT·소재·부품 기업 간 화상상담회를 개최하여 기술 협력 및 수출 확대를 도모했다. 아울러 308㎡ 규모의 한국 지자체 통합 특별관을 운영해 지역 중소기업의 현지 시장 진출과 판로 개척을 지원하고, 한중 산업 협력의 기반을 구축했다.
<한국관 체험관 현장>
[자료: KOTRA 광저우무역관 자체 촬영]
박람회 부대행사
박람회 기간 산업별 트렌드를 반영한 60여 개의 부대행사가 열렸으며, 아래와 같이 구성됐다.
1
중소기업 디지털 전환 실무 교류 포럼(中小企业数字化转型城市经验交流会)
디지털 전환 시범도시 간 정책 및 사례 공유, 혁신 지원 연계 행사 개최
2
APEC 중소기업 산업 클러스터 포럼(APEC中小企业产业集群论坛)
아태지역 중소기업의 산업협력 방안 및 공동 발전 전략 논의
3
AI 기반 신형 산업화 심층 포럼(人工智能赋能新型工业化专题论坛)
AI 기반 산업 고도화 기술 및 적용 사례 중심 발표
4
신제품 발표회 및 글로벌 유통사 초청 상담회(新品发布暨全球采购对接会)
기업 신제품 발표 및 글로벌 유통망 바이어 초청 1:1 비즈니스 상담 병행
5
‘유엔 중소기업의 날’ 기념 포럼(联合国中小企业日论坛)
유엔산업개발기구(UNIDO) 주관, 글로벌 중소기업 발전 전략 공유
[자료: 박람회 공식 홈페이지]
이 외에도 정책 브리핑, 산업 기술 발표, 글로벌 진출 관련 세미나 등 중소기업 간 네트워크 형성과 정책·기술 협력 기반 마련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함께 운영됐다.
<부대행사 현장>
[자료: KOTRA 광저우무역관 자체 촬영]
현장 인터뷰
Q1: 이번 박람회에 참가한 목적은 무엇인가요?
A1: (인공지능 브랜드 L 사) 이번 박람회를 통해 우리 브랜드의 국제 인지도와 영향력을 높이고, 해외 시장 진출 기회를 모색하고자 했습니다. 동시에 업계의 최신 동향을 파악하고, 글로벌 협력 기반을 넓히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Q2: 박람회 참가를 통해 어떤 성과를 거두었나요?
A2: (웨어러블 기기 제조사 I 사) 우리 기업의 대표 제품인 AR 동시통역 스마트 안경은 출시 7개월 만에 누적 판매량 10만 대를 기록했습니다. 이번 박람회를 통해 업·다운스트림 공급망을 확대하고, 국내외 협력 파트너와의 협업 기회를 넓혔으며, 실제 주문도 증가하는 등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었습니다.
시사점
최근 많은 기업들이 원자재 가격 상승, 기술 변화, 경기 침체 등 다양한 불확실성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열린 이번 박람회는, 중국 정부가 중소기업을 어떻게 지원하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자리였다.
박람회는 스마트 제조, 소비재, 디지털 기술, 친환경 산업 등 다양한 산업 분야를 포함해 구성됐고, 각 전시관과 포럼은 산업별 전략과 기술 흐름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기획됐다. 특히 전정특신(专精特新) 중소기업의 비중이 높았다는 점은 중국 정부의 육성 정책이 실제 산업 현장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였다. 이같은 점에서, 중국의 중소기업 지원 정책과 산업 트렌드에 관심 있는 우리 기업이라면 중국 국제 중소기업 박람회를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자료: 중국신문망(中国新闻网), 남방플러스(南方plus), 광저우시인민정부 공식 홈페이지(广州市人民政府官网), 박람회 공식 홈페이지 및 WeChat 계정 및 KOTRA광저우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내수시장을 타깃하는 대표 박람회 : 제20회 중국 국제 중소기업 박람회 참관기)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일본 바이어, 한국으로 송금은 이렇게 한다
일본 2025-07-21
-
2
중국 저장성, 첨단기술 외국인투자 유치에 주력
중국 2025-07-21
-
3
쿠바, 2025년 상반기 경제위기 심각한 수준… 정부, 구조 개혁 및 외화 확보 총력
쿠바 2025-07-21
-
4
2025 중국(난징) 국제 스마트 농업 박람회 참관기
중국 2025-07-21
-
5
2025 독일 자동화·로봇 트렌드 리포트: 현장에서 직접 읽는 변화의 신호
독일 2025-07-21
-
6
허난성, 중국의 부엌에서 글로벌 푸드 허브로의 도약
중국 2025-07-21
-
1
2025년 중국 실버산업 정보
중국 2025-07-22
-
2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3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4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5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6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
중국 2024-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