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저장성, 첨단기술 외국인투자 유치에 주력
- 투자진출
- 중국
- 항저우무역관
- 2025-07-21
- 출처 : KOTRA
-
2024년 외국인투자 전년 대비 감소... 첨단기술 투자는 증가
주요 투자분야는 IT, 기계설비, 바이오의료, 금융 순
2024년 저장성 외국인 투자액은 전년 대비 감소했으나, 첨단기술분야 외국인 투자액은 증가했다. 주요 투자분야는 IT, 기계설비, 바이오의료, 금융 순으로, 저장성 정부는 AI, 로봇, 바이오, 신소재 등 첨단산업 분야의 프로젝트에 대해 보조금 지급, 인재유치 및 정주환경 개선 등의 투자유치 정책을 펼치고 있다.
2024년 저장성 외국인투자, 첨단기술 분야에 중점
<저장성 FDI 및 투자프로젝트(2020~2024년)>
(단위: US$ 억, %, 개)
[자료: 저장성 통계국 및 KOTRA 항저우무역관 정리]
2024년 저장성 외국인 투자액은 전년 대비 24.4% 감소한 152억7000만 달러로, 장쑤성, 광둥성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저장성의 첨단기술 분야 외국인 투자액은 전년 대비 18.3% 증가한 80억9000만 달러로 고부가가치 산업 투자유치에 중점을 두고 있다. 주요 투자 분야는 IT, 기계설비, 바이오의료, 금융 등이 있다.
* 저장성 분야별 투자기업 수: IT(1964개사), 기계설비(1792개사), 바이오의료(570개사), 금융(1045개사)
2024년 저장성 신규 외국인 투자법인 수는 전년 대비 7.7% 증가한 4794개로, 그 중 항저우 내 신규법인 수는 전년 대비 11.4% 증가한 1187개다. 3000만 달러 이상의 대형 프로젝트는 103개로, 총 94억7000만 달러가 유치돼 전체 외국인 투자액의 62%를 차지했다. 성도 항저우의 2024년 외국인 투자액은 65억4200만 달러로, 이는 저장성 전체 투자액의 42.8%에 해당한다. 제조업 투자는 39억 달러이며, 그중 첨단기술 제조 투자가 33억3600만 달러다. 세계 500대 기업 중 124개 기업이 항저우에 투자하고 있다. 최근 10년간 저장성 첨단기술 기업 수 역시 지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24년 기준, 전년 대비 12% 증가한 4만7453개사로, 이는 중국 성 전체 3위에 해당한다.
<저장성 첨단기술 기업 수 추이>
(단위: %, 개사)
[자료: 저장성 공업정보화 연구원]
저장성 주요 글로벌기업 투자유치 사례
(1) 페로텍(Ferrotec): IoT 기반 자동화 솔루션 투자
2024년 12월, 일본 반도체 장비기업 페로텍은 기술전문 자회사인 저장푸라더(浙江富乐德传感技术有限公司)를 통해 약 4억 위안을 투자, 리쉐이에 반도체 부품 생산 공정에 들어가는 IoT 기반 자동화 센서 시스템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2) 스텔란티스(Stellantis):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로 지분 취득
2023년 글로벌 자동차그룹 스텔란티스는 약 15억 유로를 투자해 항저우에 소재한 링파오 자동차(零跑汽车)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 링파오 자동차의 지분 20%를 취득했다. 양사는 49%와 51%의 지분 비율로 '링파오 인터내셔널(Leapmotor International)' 합작회사를 설립해 중국 및 유럽 지역을 타깃으로 전기차 제조 및 판매를 추진하고 있다.
(3) ZF 프리드리히스하펜 AG: 산업기계 유압∙동력전달 시스템* R&D 센터 설립
독일의 글로벌 자동차부품 제조기업 ZF그룹은 2024년 쟈싱에 3000만 달러를 투자해 건설, 농업 및 산업기계의 유압∙동력전달 시스템 R&D 센터를 설립했다. 해당 프로젝트는 지방급 대형 외자 프로젝트로 분류되고 있으며, ZF그룹은 비자동차 분야의 핵심부품(유압펌프, 모터, 제어장치 등) 기술개발 사업을 중국 내에서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유압∙동력전달 시스템: 주로 포크레인, 트럭, 공장 자동화 로봇 등에 쓰이며, 액체(주로 오일)의 압력 에너지를 이용해 힘을 전달하고 제어하는 시스템
(4) 노바티스(Novartis): 의약품 생산기지 건설
스위스에 본사를 둔 바이오의료 기업 노바티스는 2024년 7월부터 저장성 해염(海盐)에서 방사성 의약품 생산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투자금액은 총 6억 위안(약 8400만 달러)으로, 암 치료에 사용되는 방사성 의약품*을 생산할 계획이다.
* 방사성 의약품: 암세포에 방사선을 직접 전달해 표적 치료하는 정밀 항암제
(5) 머스크(MAERSK): 스마트 물류 인프라 구축
덴마크의 글로벌 해운대기업 머스크는 2023년 화물 항공 자회사인 머스크 에어카고를 통해 항저우 샤오산 국제공항에 2개의 직항 전용 화물노선을 개설해 중국 내 물류망을 구축하고 있다. 2024년에는 저장해강그룹(浙江省海港集团), 닝보저우산항그룹(宁波舟山港集团)과 투자협력을 체결해 스마트∙친환경 물류센터 등 인프라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저장성 정부의 첨단기술 분야 외자유치 정책
저장성 정부는 2023년 4월 1일 <저장성 인민정부 외자유치 및 활용에 관한 일련의 조치(浙江省人民政府办公厅关于印发更大力度吸引和利用外资工作若干措施的通知)>를 발표해 AI, 로봇, 바이오, 신소재 등 첨단산업 분야의 민간경제 및 과학기술 혁신에 맞춰 외자 및 외국인재 유치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 해당 정책은 프로젝트 성과에 기반한 고액 보조금 지급 중심의 인센티브 지원으로 돼 있다. 제조업은 프로젝트별 외자 유치액의 3%, 서비스업은 1% 보조금을 지급한다.
<저장성 외국인투자유치 인센티브 정책 내용>
구분
항목
주요 내용
투자프로젝트 보조금 지급
첨단 제조업 외자 프로젝트 유치 강화
- 총 투자액 1억 달러 이상 및 투자 첫 해 3천만 달러 이상인 첨단 제조업 프로젝트에 연간 도착 금액의 3%에 해당하는 보조금 지급(누적액 최대 2억 위안)
주요 서비스업 프로젝트
유치 강화
- 당해 연도 외자유치 1억 달러 이상인 첨단기술 서비스업 프로젝트에 연간 유치 금액의 1% 보조금 지급(누적액 최대 1억 위안)
- 기타 서비스업 외자 프로젝트의 경우 0.7% 보조금 지급(누적액 최대 1억 위안)
글로벌 500대 기업 및
다국적기업 본부 유치 강화
- 글로벌 500대 또는 다국적기업이 저장성에 독립 회계 법인격 본부, 연구개발 센터 등 기능성 기관을 설립할 경우, 인증 후 실제 유치 금액의 3% 보조금 지급(누적액 최대 5000만 위안)
* 단, 중국 내 본부가 있는 500대 기업은 제외
산업 펀드를 통한
외자 유치 지원
- 지방정부 산업 펀드가 주요 외자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것을 장려하고, 수익 배분에서 양보하도록 유도
- 인프라 구축을 위한 자금 조달 시, 이자 보전 등 방식으로 지원
인재유치 및 정주환경 개선
외투기업 고급인재(고위 경영자 및 고급 연구개발 인력) 지원
- 최대 100만 위안 주택보조 및 연간 임대비 최대 5만 위안(최대 10년) 지원
영구거류증(그린카드) 신청절차 간소화
- 외투기업 고급인재의 지역 기여도에 따른 인센티브 제공
- 자녀 유치원 및 초/중등학교 진학 시 편의 제공
해외인재 창업 지원
- 창업경진대회 우승 시 1등~결선 및 본선 진출자에 단계별 현금지원
- 창업허가증 소지 외국인 유학생 대상 창업공간 제공, 시드 펀드 제공
- AI, 로봇, 블록체인 등 전략산업 분야 외국인창업자 대상 보조금 및 세제혜택 우선배정
[자료: 저장성 상무청 및 KOTRA 항저우무역관 정리]
시사점
저장성은 AI, 로봇, 바이오, 신소재 등 첨단산업 분야의 민간경제와 과학기술 혁신에 맞춰 외국인투자 및 외국인재 유치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 이를 위해 프로젝트 성과에 기반한 고액 보조금 지급, 주택보조 및 연간 임대비 지원, 스타트업 인큐베이팅 및 국제창업대회 지원 등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저장성 상무청 투자촉진센터에 따르면, 저장성은 올해 성(省)내 글로벌 투자유치 행사인 ‘투자저리(投资浙里, 인베스트 저장)’를 통해 집적회로, 바이오의료, 신에너지 등 분야에서 연간 총 투자액이 1억 달러를 초과하는 대형 프로젝트 30개 이상 유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 앞으로도 저장성의 첨단기술 분야 투자유치 움직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자료: 저장성 통계국, 저장성 인민정부, 저장성 상무청, 치차차, ig-china 및 KOTRA 항저우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저장성, 첨단기술 외국인투자 유치에 주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5 중국(난징) 국제 스마트 농업 박람회 참관기
중국 2025-07-21
-
2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의 미래, 독일 프랑크푸르트 ‘EUROBIKE 2025’ 참관기
독일 2025-07-18
-
3
말레이시아, ‘페로실리콘’ 新공급망 허브로 부상
말레이시아 2025-07-18
-
4
미국 Z세대 듀프 트렌드, 법정 다툼까지 확산
미국 2025-07-21
-
5
미래산업의 핵심 소재, 중국 갈륨(Ga) 글로벌 공급망 동향
중국 2025-07-18
-
6
2025 푸드타이베이 참관기
대만 2025-07-18
-
1
2025년 중국 실버산업 정보
중국 2025-07-22
-
2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3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4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5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6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
중국 2024-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