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미래산업의 핵심 소재, 중국 갈륨(Ga) 글로벌 공급망 동향
  • 경제·무역
  • 중국
  • 광저우무역관
  • 2025-07-18
  • 출처 : KOTRA

한국, 금속갈륨 수입의 90% 이상을 중국에 의존

중국의 수출 관리 강화 속, 주요국은 공급망 다변화에 속도

개요 및 현황


갈륨(Ga, )은 회청색 또는 은백색의 부드러운 금속으로, 상온에서는 고체 상태지만 29.76에서 쉽게 액화되며, 고온에서도 증기압이 낮아 고온 안정성도 갖추고 있다. 갈륨은 자연계에서 대부분 보크사이트(铝土矿, 알루미늄 원광석)나 아연광석(闪锌矿)을 정제하는 과정에서 부산물 형태로 소량 존재하며, 순수한 형태로는 거의 산출되지 않는다. 이러한 점에서 갈륨은 전략적 희소 금속으로 분류되며, 반도체, 통신, 광전소자 등 첨단 산업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갈륨 품목별 주요 용도>

품목

용도

금속 갈륨

(Ga)

GaAs (갈륨비소), GaN (질화갈륨), GaP (인화갈륨) 웨이퍼 제조에 사용되는

    고순도 전구체로서 반도체 칩, 발광다이오드(LED), 고주파 통신소자 등의 핵심 소재로 활용

질화 갈륨

(GaN)

ㅇ 고전력·고주파 집적회로(IC), 고휘도 LED, 레이저, 무선통신 기기, 전력

    전자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며, 미국 내 갈륨 소비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

산화 갈륨

(GaO)

기존 실리콘 반도체 소재보다 고전압에서 반도체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고성능 반도체 소재로 차량용 반도체에서 활용도가 높음

인화 갈륨

(GaP)

LED 및 광센서 등 가시광 반도체 응용에 활용되며, GaAs·GaN과 함께 웨이퍼 형태로

    산업 수요에 포함(주로 정류기, 트랜지스터, 레이저 다이오드 및 냉각 소자 제조에 사용)

비소화 갈륨

(GaAs)

ㅇ 고속 통신용 칩, 적외선 센서, 고효율 태양전지, 레이저 다이오드, RF 전력

    증폭기 등 광전자 및 통신 분야에서 사용

인듐 갈륨 비소

(InGaAs)

반도체 신소재로 분류되며, 차세대 적외선 발광 재료, 광전자 반도체 칩, 적외선 레이저,

    고속 광통신용 포토디텍터, 근적외선(NIR) 및 중적외선(MIR) 광전자 소자에 사용

셀레늄화 갈륨

(GaSe)

에너지 소모가 낮은 반도체 소재로 초고감도 광검출기, 나노광전자소자,

    저소비전력 트랜지스터 등 연구 개발 분야에서 사용

갈륨 안티몬화물

(GaSb)

고성능 기판 재료로 적외선 탐측기, 레어저 기기, 발광 다이오드, 광통신, 태양광

    전지 등에 광범위하게 활용

[자료: 미국 지질조사국(USGS), Yole Intelligence SEMI Industry Reports 종합]

 

이러한 갈륨 품목 중 금속갈륨은 최종 제품으로 직접 사용되는 비중은 낮지만, 질화갈륨(GaN), 비소화갈륨(GaAs), 인화갈륨(GaP) 등 주요 화합물 반도체 소재의 핵심 원료로 활용된다. 특히 고순도 금속갈륨은 반도체 및 LED 제조 공정에서 에피택시 성장용 전구체로 사용되며, 웨이퍼 기반의 고주파·고출력 반도체 소자, 고효율 광전소자 등의 생산에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갈륨의 가격이나 수급을 논할 때는 이러한 금속갈륨을 기준으로 한다.


<갈륨 관련 국가표준>

표준 번호

GB/T14752022(GB/T는 권고성 비강제 표준 의미)

발표/시행일

2022-03-09 / 2022-10-01

대체 표준

기존 GB/T14752005 전면 대체

적용 범위

ㅇ 알루미나(氧化铝) 생산 과정에서 회수된 산업용 갈륨(순도 99.9~99.999%)

산업용 갈륨을 원료로 전기분해 및 정제를 통해 제조된 고순도 갈륨(99.9999% 이상)

주요 개정사항

ㅇ 불순물(수은Hg, 크롬Cr, 카드뮴Cd ) 중금속과 관련된 불순물 항목 강화

ㅇ 수은(Hg), 칼슘(Ca), 나트륨(Na), 주석(Sn) 불순물 항목 신규 도입

ㅇ 구리(Cu), (Pb), 아연(Zn), (Fe), 니켈(Ni) 등 기존 불순물의 허용치 기준 조정

ㅇ 시료 채취 기준(Batch sampling 기준) 및 시험 규정 구체화 등

[자료: 전국표준정보공공서비스플랫폼(全国标准信息公共服务平台)]

 

<갈륨 유통/수출 관련 정부정책>

정책명

Ga, Ge 관련 물품 수출관리통제공고(Ga, Ge相关物项出口管制公告)

관련 기관

중국 상무부 및 해관총서(商务部海关总署公告2023年第23)

발표/시행일

20230703 / 20230801

적용 대상

금속갈륨(金属镓), 질화갈륨(GaN, 氮化镓), 산화갈륨(GaO, 氧化镓),

인화갈륨(GaP, 磷化镓), 비소화갈륨(GaAs, 砷化镓), 인듐갈륨비소(InGaAs, 铟镓砷)

주요 내용

ㅇ 수출 허가증 사전 취득 필수(성급 상무국 및 중앙 상무부 심사 진행)

ㅇ 제출 서류 : 수출 계약서, 최종 사용자·용도 보증서, 기술 설명서 등

대미 직접 수출 원칙적으로 불허(3국 우회 수출도 엄격히 통제)

관련 법률

중화인민공화국 수출통제법(中华人民共和国出口管制法)

[자료: 중국 상무부 공식 홈페이지 및 수출관리통제 공고]

 

생산 현황 및 공급사슬


중국은 전 세계 갈륨 생산의 약 95%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주요 생산 기지는 산둥성(山东省), 허난성(河南省), 광시좡족자치구(广西壮族自治区), 윈난성(云南省) 등에 분포해 있다. 산업용 갈륨은 알루미나(氧化铝) 제조 공정 또는 아연 제련 과정에서 부산물로 추출되며, 이후 다양한 정제 및 전기분해 과정을 거쳐 고순도 갈륨으로 정제된다.


<글로벌 및 중국 갈륨 생산규모>

(단위메트릭톤저순도 기준)

연도

글로벌

생산량

중국

생산량

중국 비중

비고

(글로벌 고순도 정제 갈륨 생산량)

2019

351

338

96%

-

2020

346

336

97%

-

2021

434

423

97%

225,000 kg

2022

610

600

98%

290,000 kg

2023(추정)

610

600

98%

320,000 kg

2024(추정)

633

621

98~99%

320,000 kg

[자료: 미국 지질조사국(USGS, U.S. Geological Survey)]

 

이때 사용되는 정제 공정은 크게 산법(酸法)과 알칼리법(碱法)으로 구분된다. 산법은 보크사이트를 산처리하는 과정에서 갈륨을 회수하는 방식이며, 알칼리법은 알루미나 제조 중 용액에 포함된 갈륨을 이온수지로 흡착·탈착한 뒤, 전기분해를 통해 금속 형태로 회수하는 방식이다. 이후 킬레이트 수지(螯合树脂), 황산(硫酸), 과산화수소(过氧化氢), 공업염(工业盐), 액상 알칼리(液碱) 등 다양한 화학물질을 활용한 고순도 정제 과정을 거쳐 전자급 갈륨이 생산된다.

 

<중국 갈륨 공급사슬>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제목 없는 다이어그램.drawio.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91pixel, 세로 391pixel

[자료: BIINFO(百川盈孚)]


<중국 내 갈륨 주요 기업 정보>

지역()

소재지()

기업명

홈페이지

베이징

(北京)

베이징

(北京)

Aluminum Corporation Of China

(中国铝业集团有限公司)

https://www.chinalco.com.cn/

Beijing Jiya Semiconductor Material Co., Ltd.

(北京吉亚半导体材料有限公司)

http://www.jy-semi.com/

Beijing Mingjia Semiconductor Co., Ltd

(北京铭镓半导体有限公司)

https://www.gao-tec.com.cn/

산시

(陕西)

시안

(西安)

Sunresin New Materials Co., Ltd.

(西安蓝晓科技新材料股份有限公司)

http://www.sunresin.com/

허난

(河南)

싼먼샤

(三门峡)

EASTHOPE MIANCHI GALLIUM INDUSTRY CO.,LTD.

(东方希望渑池镓业有限公司)

-

Cayman Aluminum (Sanmenxia) Co., Ltd

(开曼铝业三门峡有限公司)

http://www.kmlygroup.com/

광둥

(广东)

주하이

(珠海)

ZHUHAI SEZ FANGYUAN INC.

(珠海经济特区方源有限公司)

-

선전

(深圳)

Shenzhen Zhongjin Lingnan Nonferrous Metals Co., Ltd

(深圳市中金岭南有色金属股份有限公司)

https://www.nonfemet.com/

윈난

(云南)

린창

(临沧)

Yunnan Lincang Xinyuan Germanium Industrial Co.,Ltd.

(云南临沧鑫圆锗业股份有限公司)

http://www.sino-ge.com/

취징

(曲靖)

Yunnan Chihong Zinc Germanium Co., Ltd

(云南驰宏锌锗股份有限公司)

https://chxz.chinalco.com.cn/

장쑤

(江苏)

쑤저우

(苏州)

Jiangsu Nata Opto-electronic Material Co., Ltd.

(江苏南大光电材料股份有限公司)

http://www.natachem.com/

저장

(浙江)

원저우

(温州)

ZHEJIANG FUDAR ALLOY MATERIALS CO., LTD.

(福达合金材料股份有限公司)

http://www.fudar.com/

[자료: 기업별 홈페이지, 톈옌차(天眼查) 종합]

 

가격 동향


2025년 상반기 중국 내 금속갈륨 가격은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1월 초 현물 기준 2,000위안/kg 수준에서 시작하여, 3월에는 일시적으로 투기성 자금이 유입되면서 금속갈륨 가격이 2,250~2,300위안/kg까지 상승했다. 그러나 이후 투자자의 이탈과 전반적인 수요 부진으로 인해 가격은 다시 하락세로 전환됐다. 6월에는 1,725위안/kg까지 하락하였으며, 상반기 평균가는 1,798위안/kg으로, 전년도 동기 평균가(2,257위안) 대비 20% 이상 하락한 수치다.

 

<중국 금속갈륨 현물가격 현황>

(단위위안/kg)


[자료: BIINFO(百川盈孚)]


가격 하락의 주요 원인은 공급 과잉이다. 2024년부터 신규 설비가 순차적으로 가동되면서 생산능력이 확대됐고, 가동률도 높은 수준으로 유지됐다. 이에 반해, 자석 소재(磁材), 반도체, 광전자소자(光电子器件) 등 주요 수요 산업의 경기 침체와 수출 제한 조치로 인해 수요는 부진했다. 특히 자석 소재 산업은 중희토류 수출통제의 영향으로 해외 주문이 감소했고, 이에 따라 관련된 갈륨 소비도 크게 줄었다. 수출 물량이 내수로 전환되지 못한 일부 기업은 생산량 감축에 들어갔으며, 이는 전반적인 갈륨 수요 위축으로 이어졌다.

 

수출 현황


중국은 세계 최대 금속갈륨(HS코드 8112.92) 생산·수출국이다. 주요 수출 대상국은 홍콩, 한국, 네덜란드, 영국, 말레이시아 등이며, 최근 3년간 수출 규모가 꾸준히 증가해 2024년 수출량은 약 39만 톤, 수출액은 17630만 달러를 기록했다.

 

한편, 202373일 발표된 Ga, Ge 관련 물품 수출관리통제공고(商务部公告2023年第23)에 따라 금속갈륨 및 관련 화합물은 202381일부터 전량 수출허가제(出口许可证) 대상에 포함돼, 대외 수출에 일정 부분 제약이 따르는 상황이다.

 

<중국 금속갈륨 수출(HS코드 : 8112.92) 현황>

(단위 : , 천불)

국가

/지역명

2022

2023

2024

2025.1-5

중량

금액

중량

금액

중량

금액

중량

금액

홍콩

42,761

199

100,383

397

242,762

824

4,698

12

한국

71,127

359

75,116

370

80,785

368

41,499

161

말레이시아

1,291

8

2,024

10

15,193

51

2,593

7

네덜란드

12,803

52

14,389

148

10,632

124

5,881

57

미국

6,549

41

5,251

49

9,638

64

1,665

11

캐나다

1,742

42

4,200

88

7,539

56

2,062

17

독일

5,563

26

3,718

28

4,850

35

2,326

14

영국

4,325

53

5,328

86

4,447

56

2,227

26

일본

7,157

45

2,113

28

4,111

36

1,735

10

벨기에

-

-

74

0

3,415

11

570

3

전 세계

171,193

931

295,840

1,679

392,721

1,763

73,363

430

[자료: Global Trade Atlas]

 

한국의 금속갈륨 주요 수입 국가/지역은 중국, 일본, 대만, 미국 등이며, 2024년 기준 총 수입액은 약 422천 달러로 집계됐다. 이 중 중국 수입은 약 391천 달러로 전체의 92.7%를 차지했으며, 202284.6% 202387.2% 202492.7%로 매년 중국의 비중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 금속갈륨 수입(HS코드 : 8112.92) 현황>

(단위 : , 천불)

국가

/지역명

2022

2023

2024

2025.1-5

중량

금액

중량

금액

중량

금액

중량

금액

중국

65,870

351

67,844

355

93,483

391

40,568

142

일본

3,902

19

4,138

25

3,673

13

602

2

대만

2,102

6

2,332

13

1,311

5

210

1

미국

746

1

820

12

692

8

91

0

말레이시아

231

2

167

1

346

2

183

1

전 세계

73,891

415

75,656

407

99,791

422

42,311

156

[자료: Global Trade Atlas]


시사점


2025년 상반기 기준, 한국의 금속갈륨 수입 중 약 91.0%가 중국산이며, 최근 3년간 그 비중은 85%에서 93%까지 꾸준히 상승했다. 이처럼 공급이 특정 국가에 편중된 상황에서, 2023년 이후 시행된 수출허가제도(出口许可证制度)2024미국 수출 제한 조치 등 전략물자에 대한 통제가 강화되며, 중장기적으로 수급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확대되고 있다.

 

한편, 중국 내에서는 갈륨 가격 하락에 따라 일부 중소 정제업체가 감산에 나서는 등 공급 구조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글로벌 반도체 및 소재 기업들은 장기공급 계약 체결, ()중국권 공급망 다변화, 재활용 기반 확충 등으로 대응에 나서고 있다. EU 역시 ‘핵심원자재법(CRMA)*을 통해 관련 프로젝트에 대한 제도적 지원을 확대 중이다.

*핵심원자재법(CRMA) : EU가 희토류·갈륨 등 전략 자원의 채굴·정제·재활용을 유럽 내에서 일정 비율 확보하도록 규정한 법률(공급 다변화, 승인 절차 간소화, 민간 투자 유도 등을 통해 EU의 전략자원 자급률을 높이는 것이 핵심 목표)

 

국내 산업계 역시 갈륨 공급의 과도한 중국 의존도를 줄이고, 중장기적으로 공급망을 안정화하기 위한 구조적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 특히 2023년부터 중국이 갈륨 수출을 허가제로 전환됨에 따라, 수출허가 경험이 있고 행정 대응 역량이 있는 중국 공급업체와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중장기적으로는 제3국으로의 공급선 다변화, 재자원화 기술 협력 등을 통해 수급 불확실성을 줄여나갈 필요가 있다.


#참고사항 : 중국 수출통제품목 수출허가 절차

 

절차

비고

1

신청서 제출 및 예비 심사

(提交申请并由商务厅进行预审)

중국 측 수출 기업에서 지방 상무청 시스템을 통해 신청서 제출

지방 상무청에서 형식적 요건 및 자료 구비 여부 예심

2

상무청 상무부 상신

(商务厅上报至商务部)

예심 통과 후 중앙 상무부로 정식 상신(上报)

3

중앙 상무부 최종 심사 및 허가증 승인

(商务部审核审批)

상무부에서 서류 정합성, 쿼터 여부 등 심사

* 상무부가 접수(受理)한 이후 일반 신청은 45영업일 이내에 처리됨

* 일부 민감 품목, 전략 품목은 전문가 심의 절차가 추가되어, 45영업일을 초과할 수 있음

4

수출 허가증 발급

(签发出口许可证)

상무부에서 허가증 발급 여부 결정

중앙 승인 후, 기업이 지방 상무청 시스템에 접속하여 허가증 출력

[자료: 중국 상무부 수출허가제도 운영 규정 및 공고문 정리]



 자료미국 지질조사국(USGS), Yole Intelligence, SEMI Industry Reports, Global Trade Atlas(GTA), BIINFO(百川盈孚), 전국표준정보공공서비스플랫폼(全国标准信息公共服务平台), 중국 상무부(MOFCOM), 국가법률법규데이터베이스(国家法律法规数据库), 중국 유색금속산업협회(CNIA), KOTRA 광저우무역관 종합 정리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미래산업의 핵심 소재, 중국 갈륨(Ga) 글로벌 공급망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