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미국 상업용 냉장고 시장 동향
  • 상품DB
  • 미국
  • 시카고무역관 조민주
  • 2025-07-09
  • 출처 : KOTRA

미국 상업용 냉장고 시장, 2030년까지 약 144억 달러 규모로 성장 예상

온라인 식재료 쇼핑, 대형 식자재 마트 성행으로 수요 증가

상품명 및 HS코드

 

HS CODE 8418.69은 상업용 냉장고 및 냉동고를 의미하며 식당, 카페, 마트, 숙박시설 등 상업 환경에서 사용되는 냉장 저장 장비를 포함한다.

 

시장동향

 

시장 조사기관 그랜드 뷰 리서치(Grand View Research)에 따르면 북미는 전 세계 상업용 냉장고 시장의 약 32%를 점유하며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미국의 상업용 냉장고 시장 규모는 2021년에 약 101억 달러였으며 연평균 4.3%씩 성장해 2030년에는 약 144억 달러가 될 전망이다.

 

이는 미국의 온라인 식료품 쇼핑과 음식 배달 앱 사용량의 증가로 냉장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미국의 온라인 식료품 시장 규모는 2029년까지 연평균 8.9%씩 성장할 것으로 보이며, 2024년에 온라인 식료품 매출액은 전년 대비 9% 증가했다. 시장조사기관 브릭 미츠 클릭(Brick Meets Click)은 온라인 식료품 매출이 오프라인 매장 매출보다 5.2배 더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고, 5년 후에는 온라인 식료품 매출액이 전체 매출액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것이라 전망한다.

 

전체 상업용 냉장고 시장에서는 51~100 입방피트(cu. ft) 용량의 중대형 냉장고가 가장 수요가 높다. 이는 중대형 냉장고가 대형 마트, 레스토랑, 학교 및 병원 식당, 물류 창고 등 다양한 업종에서 보편적으로 쓰이기 때문이다. 중대형 냉장고는 재고를 일정 수준 이상 보관하면서도 공간 활용이 효율적이어서 상업적 환경에서 인기가 많다.

 

<2020~2030년 미국 상업용 냉장고 시장 규모>

(: US$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a4b09d3e.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53pixel, 세로 332pixel

[자료: Grand View Research]

 

그랜드 뷰 리서치의 동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IoT 센서와 원격 모니터링 기능이 통합된 상업용 냉장고가 주목받고 있다. 스마트 상업용 냉장고는 실시간 온도 조절, 에너지 사용량 추적, 예측 유지보수 등이 가능하여 일반 냉장고보다 에너지 효율이 20% 더 높다.

 

또한, 환경을 중요시하는 소비자가 많아지면서 친환경 냉매재인 이산화탄소 CO(R-744), 암모니아(R-717), 프로판(R-290)을 사용한 제품이 인기가 많다. 플로리다주에 본사를 둔 캐리어(Carrier)의 냉장 제품은 친환경 냉매재인 CO를 활용한 시스템과 실시간 온도 모니터링 및 클라우드 기반 유지보수 시스템(Connected Cold Chain Monitoring)을 사용해 기존 제품 대비 환경 오염 배출량을 28% 줄인 것으로 알려졌다. 캐리어 냉장고는 슈퍼마켓 체인, 물류센터 등에서 많이 쓰이고 있다.

 

<이산화탄소 냉매를 사용하는 친환경 냉동 시스템>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7a206f7f.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93pixel, 세로 321pixel

[자료: Carrier Transicold]

 

수입동향

 

HS CODE 8418.69 기준, 2024년 미국의 상업용 냉장고 수입액은 전년 대비 16.1% 증가한 274억 달러를 기록했다. 주요 수입국으로는 멕시코, 중국, 캐나다 등이 있다. 수입액 1위 국가는 멕시코로 2024년 해당 품목의 멕시코산 수입액은 139000억 달러로 전체 수입액의 50% 이상을 차지했다. 한국은 미국의 제5위 수입국으로, 2024년 기준 수입액은 8억60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43.3% 증가한 수치로 주요 수입국 중 가장 큰 폭으로 성장했다.

 

<2022~2024년 미국의 상업용 냉장고 수입 동향>

(단위: US$ 백만, %)

순위

수입국명

2022

2023

2024

'24년 점유율

증감률

전체

2,173

2,361

2,740

100.0

16.1

1

멕시코

900

1,128

1,393

50.8

23.5

2

중국

535

418

528

19.3

26.3

3

캐나다

147

184

197

7.2

7.1

4

이탈리아

110

112

119

4.1

-6.7

5

한국

68

60

86

3.1

43.3

6

독일

72

90

63

2.0

-1.8

7

태국

15

43

50

1.8

16.3

8

일본

47

40

39

1.4

-2.5

9

베트남

32

29

33

1.1

3.4

10

말레이시아

19

40

30

0.7

-5.0

1: HS Code 8418.69 기준

2: 증감률은 '23년 대비 '24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4]

 

경쟁동향 및 유통구조

 

미국 상업용 냉장고 시장을 구성하는 주요 기업으로는 트루 매뉴팩처링(True Manufacturing), 캐리어 커머셜 레프리지레이션(Carrier Commercial Refrigeration), 써모 킹(Thermo King) 등이 있다. 특히 캐리어 커머셜 레프리지레이션은 대형 식품 체인점을 대상으로 한 CO기반 친환경 냉장 솔루션이 주력 상품이며, 써모 킹은 물류·배송용 이동형 냉장 기술에 특화된 장비를 개발하고 있다.

 

<써모 킹(Thermo King)의 물류용 이동형 냉장고>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121749d27.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00pixel, 세로 373pixel

[자료: Thermo King]

 

미국 시장에서의 상업용 냉장고의 유통은 일반적으로 직판과 대리점 판매가 병행된다. 대형 식품기업이나 프랜차이즈 체인은 제조사와의 직접 계약 방식으로 맞춤형 냉장 솔루션을 도입하는 경우가 많으며, 중소 리테일러 및 외식업체는 지역 기반의 유통 전문업자(Authorized Distributor) 또는 식품 서비스 전문 유통사를 통해 제품을 구매한다. 최근에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견적 비교 및 장비 도입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관세 및 인증

 

미국 국제 무역위원회(USITC)에 따르면, 상업용 냉장고(HS CODE 8418.69)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무관세가 적용돼 왔다. 다만, 20254월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기본관세 적용에 따라 현재 10%의 관세가 부과되고 있다. 다만, 상호관세 유예가 종료되는 시점의 협상 결과에 따라 적용 관세율이 변경될 수 있다.

 

상업용 냉장고의 경우, 인증에 있어 에너지 효율 기준과 안전 규격을 반드시 충족해야 한다. 특히, 냉장·냉동 장비의 전기 및 기계적 안전성을 평가하는 UL 471 인증이 중요하며, 이는 미국 내에서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안전 기준이다. 또한, 식품 위생 기준 충족 여부를 확인하는 NSF 인증도 필요하다. 그 중 NSF/ANSI 7은 상업용 냉장고 및 냉동고의 위생성과 온도 유지 성능을 입증하는 인증으로, 취득 시 제품 신뢰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아울러, 고효율 제품에 부여되는 친환경 인증 마크인 ENERGY STAR 인증을 획득하면 제품의 시장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이 인증은 공인 시험소(Third-party lab)에서 ENERGY STAR 규격에 따라 시험을 진행한 후, 미국 환경보호청(EPA)의 심사를 거쳐 발급된다.

*ENERGY STAR 웹사이트: https://www.energystar.gov/

 

시사점

 

미국에서 사업용 냉장고 시장은 높은 성장률로 전망이 밝은 시장이다. 대형 마트나 레스토랑, 학교 등 지속적 수요에 더해 일반 소비자들의 온라인 식자재 구매도 늘어나고 있어 관련 창고나 물류센터에서의 수요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수요가 다양한 만큼, 앞으로 상업용 냉장고 시장은 고객 맞춤형 솔루션이 중요한 경쟁 요소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냉장 장비의 핵심 사용처인 레스토랑, 슈퍼마켓, 병원 등은 설비 선택 시 제품의 기술적 신뢰성뿐만 아니라 법적 인증 충족 여부와 친환경 가치 부합성을 우선 고려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우리 기업들은 미국 내 유통업체 및 식품 서비스 업체들과의 파트너십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현지 유통 채널을 선점하고, 인증 취득을 제품 개발 초기부터 고려하는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사물인터넷(IoT) 기반 원격 점검 기능, 부품 교체 주기 예측 시스템 등 운영 데이터 기반 서비스 모델을 갖춘 제품으로 시장에 진입하는 것 역시 좋은 전략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자료: USITC, Brick Meets Click, Carrier Transicold, ENERGY STAR, Grand View Research, Global Trade Atlas, market.us, KOTRA 시카고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미국 상업용 냉장고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