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중국 맥주 시장 동향
  • 상품DB
  • 중국
  • 하얼빈무역관
  • 2025-07-09
  • 출처 : KOTRA

로컬 업체 경쟁에 글로벌 업체도 가세, 고급 맥주 시장 경쟁 심화

젊은 소비자층의 증가, 수제 맥주 시장이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

중국은 세계 맥주 총 소비량의 20.1%를 차지하는 글로벌 최대 맥주 소비 시장이다. 그럼에도 1인당 맥주 소비량이 전 세계 35위권에도 들지 못한 점은 중국 맥주 시장의 성장 잠재력이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 국내외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맥주 업체들이 어떤 전략으로 시장에서 살아남을 있을 고민이 필요한 시기이다.


<2022~2023년 국가별 맥주 소비량 통계(상위 15)>

(단위: 만 kl, %)

순위

국가

2023년

2022년

소비량

 

점유율

소비량

증감률

소비량

점유율

1

중국

3,768.0

20.1

0.0

3,767.6

20.1

2

미국

2,144.4

11.4

5.2

2,037.8

10.9

3

브라질

1,513.7

8.1

1.4

1,493.2

8.0

4

멕시코

1,024.9

5.5

2.6

999.0

5.3

5

러시아

872.7

4.6

1.9

856.1

4.6

6

독일

739.9

3.9

-5.5

782.7

4.2

7

베트남

455.0

2.4

-13.8

528.0

2.8

8

영국

443.2

2.4

-4.0

461.6

2.5

9

스페인

441.9

2.4

-0.5

444.1

2.4

10

남아프리카

공화국

438.8

2.3

4.6

419.4

2.2

11

일본

424.9

2.3

-1.0

429.4

2.3

12

폴란드

340.2

1.8

-8.4

371.2

2.0

13

인도

300.4

1.6

10.2

272.5

1.5

14

콜롬비아

255.1

1.4

2.8

248.2

1.3

15

한국

229.2

1.2

0.9

227.1

1.2

* 주: 순위는 2023년 기준

[자료: 기린 홀딩스]

 

기본 정보


품목명

HS CODE

맥주

220300

 

맥주는 발효 방식, 원재료 및 제조 방법에 따라 크게 에일(Ale)과 라거(Lager)로 구분되며, 각각의 특징과 종류가 다르다.


<맥주 종류 비교>

구분

(Ale)

(Lager)

특징

쓴맛이 강하고 탄산이 적으며, 과일, 꽃향과 같은 풍부한 보유

장기간 저온에서 발효, 가볍고 밋밋한 향이지만 탄산감이 강함

주요 원재료

ㅇ홉(hop)

-황록색 꽃으로, 맥주 특유의 향기와 쓴맛을 부여하는 중요한 첨가물

-천연 항균 성분을 가지고 있어 맥주 내 잡균을 억제하고 거품 유지

ㅇ맥아

-보리를 발아시킨 후 말린 것으로 맥주 특유의 달콤함 원천

발효방식

상면발효(上面发酵

-발효  발생하는 이산화탄소가 효모에 붙어 표면으로 떠오르고, 상면에 거품을 형성

 

ㅇ하면발효(面发酵

-저온에서 발효가 진행되며, 발효 시 효모가 아래로 가라앉음

 

 

발효기간

3주

6주

발효온도

15~24

4~10

색상

짙음

옅음

세부 품종

ㅇ페일 에일(Pale Ale)

-색상이 연한 편, 깔끔한 맛과 알코올 도수가 높음

-대표: 구스아일랜드 혼커스 에일(Goose Island Honkers Ale)

ㅇ다크 에일(Dark Ale)

-흑맥주 계열로 크게 단맛의 포터(Porter)와 쌉쌀한 스타우트(Stouts)로 구분, 커피, 초콜릿, 캐러멜 등 향을 보유

-대표: 기네스(Guinness)

ㅇ벨지언 에일(Belgian Ale)

-밀과 보리 혼합, 밀 함량 50% 넘게 함유, 과일 및 향신료 향으로 맛이 부드러움

-대표: 호가든(Hoegaarden), 블루문(Blue Moon), 크로넨버그 1664 블랑(Cronenberg 1664 Blanc)

ㅇ윗 비어(Wheat Beer)

-화이트맥주 계열로 밀 속에 함유되어 있는 단백질로 인해 탁하면서 약간 신 맛이 있음

-대표: 에델바이스(Edelweiss)

ㅇ페일 라거(Pale Lager)

-맛이 깔끔하고 담백, 청량한 탄산감이 강함

-대표: 버드와이저(Budweiser), 코로나(Corona), 하이네켄(Heineken), 카스(Cass), 하이트(Hite), 기린(Kirin), 아사히(Asahi), 칭다오(Tsingtao), 하얼빈(Harbin), 칼스버그(Carlsberg), 삿포로(Sapporo),

ㅇ다크 라거(Dark Large)

-볶은 곡물을 사용, 색상은 검은색으로 맛이 부드러움

-대표: 부드바르(Budvar)

ㅇ필스너(Pilsner)

-색상은 황금색, 쓴맛이 강한

-대표: 클라우드(Kloud), 필스너우르겔(Pilsner Urquell), 크롬바커(Krombacher)

ㅇ보크(Bocks)

-짙은 색상으로 단맛이 강한 편, 일반 라거보다 도수가 높음

-대표: 마이젤&프랜드 마르크 초콜릿 복(Maisel & Friends Marc's Chocolate Bock)

[자료: 각 브랜드 홈페이지, KOTRA 하얼빈무역관 정리]

 

맥주 시장동향


중국은 2002년 미국을 제치고 세계 1위 맥주 소비국으로 부상했지만 맥주 생산량은 2013년 4982만 kl에서 고점을 찍고 하락 추세에 있다. 2020년은 코로나 영향으로 3500만 kl를 하회했다. 2021년 중국 맥주 생산량은 3562만 kl로 전년 대비 4.4% 소폭 증가했으나 코로나 이전인 2019년과 비교했을 때 여전히 5.6%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4~2023년 중국 맥주 생산량 추이>

(단위: 만 kl)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근책소비연구원]


2013 4631 kl이었던 중국의 맥주 소비량도 2023 3768 kl 감소하였으며,이는 10년간  18.6% 하락한 수치.


<2014~2023년 중국 맥주 소비량 추이>

(단위: 만 kl) 

 

[자료: 기린 홀딩스]


2023년 기준, 중국 맥주 시장은 화뤈쉐화(华润雪花), 칭다오(青岛), 버드와이저 야타이(百威亚太, 중국 자회사), 옌징(燕京), 칼스버그 충칭그룹(嘉士伯重庆集团, 중국 자회사) 등 상위 5대 업체가 전국 시장의 9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로컬 업체 중 화뤈쉐화맥주, 칭다오맥주가 전국적으로 보급되어 소비되고 있다. 시장점유율 3위와 5위에 오른 버드와이저 야타이와 칼스버그 충칭그룹은 중국에서 가장 성공한 해외 맥주 브랜드다. 두 기업은 모두 중국 내 대규모 음악축제를 장기간 후원하며 강력한 브랜드 이미지와 고객 기반을 구축해 왔다.


<2023년 중국 맥주 시장 브랜드별 점유율>

 

[자료: 첸짠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고급 맥주, 수제 맥주 인기


중국 맥주 시장은 과거 대량 저가 소비를 중심으로 성장해왔으나, 최근  년간 소비자들의 취향 변화와 생활수준 향상에 따라 ·고가 맥주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2020~2024저가 맥주(5위안 이하/병) 비중은 매년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중가(6-10위안/병) 및 고가(10위안 이상/병 이상) 제품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고가 맥주의 비중이 2020 35%에서 2024 50% 확대되며, 시장 중심축이 점차 프리미엄 제품군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2020~2024년 중국 맥주 시장 내 가격대별 비중 변화 추이>

 

[자료: Wind]

 

MZ세대(1985~2010년대생) 젊은 소비자층을 중심으로 소비를 통한 자기 표현 경향이 강해지면서, 고급 맥주, 수제 맥주, 기능성 맥주  다양한 중고가 제품이 선호되고 있다. , 원산지, 디자인, 브랜드 스토리 등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가격보다 경험적 가치를 중요하게 여긴다.


<중국 중고가 맥주 시장 세부 동향>

고급 맥주

수제 맥주

기능성 맥주

개요

일반 라거 대비 원재료, 제조 방식, 브랜드 스토리에서 차별화

소규모 양조장에서 독창적인 방식으로 생산

저알코올, 무알코올, 비건저칼로리, 비타민 강화형  맥주 포함, 건강 지향

시장 특성

소비자들의 소득 증가와 프리미엄 소비 추구에 따라 빠르게 성장 

ㅇ주요 타깃층은 청년층  도시 소비자로 음료를 통한 자아 표현  취향 소비 성향이 강함

ㅇ로컬 콘텐츠와 원료를 결합

(: 윈난 커피 맥주, 쓰촨 고추 에일 )

건강·다이어트 등의 소비층을 타깃으로 성장 

시장 비중

약 15~18%

약 2~3%

약 1~2%

성장률

연평균 10% 이상

연평균 18~20% 이상

연평균 25% 이상

소비자층

고소득층, 외식층

MZ세대, 도시 청년층

건강 고려 소비자

주요 트렌드

라이프스타일 소비

로컬·문화 융합 맥주

무알코올·저칼로리 제품

유통 채널

호텔, 레스토랑고급 마트

브루펍, 온라인

온라인, 편의점, 건강식품몰

전망

고급 이미지 강화 지속

독립 양조장 확대, 브랜드 다양화

기능성 감성 소비 확장 전망

[자료: 관옌톈샤(观研天下), KOTRA 하얼빈무역관 정리]

 

중국 맥주 수출입 동향 


2024년 중국의 맥주 수출 총액 46억6000만 달러, 전년 대비 3.1% 증가했. 특히 2024년 1~3 수출량은 1619만5000 kl 전년 동기 대비 24.3% 증가했고, 금액은 10억8000만 불 24.6% 증가했다. 


<2020~2024년 중국 맥주(HS CODE 220300) 수출 추이>
(단위: 
US$ 백만)

 

[자료: MCR 컨설팅]


한편, 2024 중국의 맥주 수입 총액은 5억4529 달러, 전년 대비 5.7% 감소하였다. 이는 2022(-8.5%) 2023(-11.1%) 이어 3 연속 감소세 기록한 것으로, 중국  맥주 소비가 전반적으로 위축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국 맥주 수입은 많지 않지만 성장세를 보이며 시장 가능성을 확대하고 있다. 금액 기준으로  278 달러 규모로, 이는 일본, 유럽 등 주요국에 비해 낮은 편이다. 하지만 해외 맥주 수입 증가는 중국 소비자의 관심과 선호를 반영하는 것으로, 한국 맥주효과적으로 홍보한다면 중국 소비자의 관심을 보다 높일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22~2024년 중국 맥주(HS CODE 220300) 국가별 수입 통계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2022년

2023년

2024년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총계

650,252

-8.5

578,286

-11.1

545,294

-5.7

1

독일

139,873

-4.5

125,292

-10.4

116,428

-7.1

2

네덜란드

61,287

45.2

66,089

7.8

97,432

47.4

3

벨기에

107,156

-9.6

89,274

-16.7

54,540

-38.9

4

스페인

52,743

-0.6

43,865

-16.8

46,565

6.2

5

프랑스

71,208

-10.1

51,508

-27.7

35,611

-30.9

6

일본

15,354

27.1

15,508

1.0

24,806

60.0

7

아일랜드

8,643

-18.4

11,685

35.2

23,168

98.3

8

미국

15,245

9.7

19,442

27.5

19,649

1.1

9

멕시코

54,119

-32.6

25,844

-52.2

18,594

-28.1

10

러시아

21,642

-18.2

20,165

-6.8

17,327

-14.1

18

한국

2,116

-8.4

2,475

17.0

2,787

12.6

* 주: 순위는 2024년 기준

[자료: 한국무역협회]

 

경쟁동향


중국 맥주 시장은 '국산 대형 브랜드'와 '글로벌 프리미엄 브랜드', '신흥 수제맥주 브랜드' 간의 삼각 경쟁 구도를 보이고 있다.


<중국 국내외 맥주 브랜드>

구분

브랜드명

원산지

대표 제품

이미지

가격대

타깃 소비층

전략 특징

중국 국산 맥주

화뤈쉐화

(华润雪花)

중국

융촹톈야

(勇闯天涯)

 

 5위안

대중 소비자층

하이네켄 협력, 자동화 생산 강화

쉐화춴성

(雪花纯生)

 

칭다오

(青岛)

중국

칭다오 오리지널

 

6위안

연령, 프리미엄 소비층

유통망 전국화

1903

 

8.5위안

옌징

(燕京)

중국

옌징 U8

 

4.5위안

40대 이상, 저가 선호층

내몽골(内蒙古), 베이징(北京), 광시성(广西) 시장 공략

해외 맥주

버드와이저

미국

Budweiser

 

8위안

20~30대, 도심층

프리미엄 시장 집중, F1 및 음악축제 등 후원으로 마케팅 강화

중국

Harbin Beer

 

6위안

대중 소비자층

하얼빈맥주업체를 인수하여 중국에서 생산

하이네켄

네덜란드

Heineken

 

10위안

중산층, 고소득층

화뤈쉐화와 전략적 제휴, 로컬화 마케팅

칼스버그

덴마크

Carlsberg

 

7위안

젊은층 중심

중국 중서부 지역 위주

카스

한국

Cass Fresh

 

 10.5위안

한류 팬층, 20~30대

상쾌한 이미지, 한식과의 궁합 강조

테라

한국

Terra

 

12위안

20~30대 남성 소비자층

청정 이미지, TV 광고 연계 마케팅

클라우드

한국

Kloud Original

 

13위안

프리미엄 선호층

대형마트 유통, 무첨가 및 부드러운 맛 강조

아사히

일본

Asahi

 

7위안

도시 젊은층

소매 편의점 위주 진입

기린

일본

Kirin

 

8위안

30~40대 소비자층

수제 맥주

판다

중국

다크 라거,

필스너,

바이젠 에일

 

15위안

도시 젊은층, 취향 소비층

다양한 , 디자인 중심 브랜드 전략

징에이
(A)

 

10위안

따웨

(大跃)

 

40~60위안


[자료: 각 브랜드 홈페이지, ChinaIRN(中研网), 타오바오(淘宝), KOTRA 하얼빈무역관 정리]

 

중국 대형 브랜드는 전국 유통망과 가격 경쟁력으로 시장 기반을 유지 이고, 해외 브랜드는 프리미엄 이미지와 라이프스타일 연계 마케팅에 집중하고 있다. 한국산 맥주도 일부 대형마트와 한식당 등에서 발견할  있지만 유통되고 있는 수량은 적다. 특색 있고 브랜드를 갖춘 다양한 유럽 맥주가 중국시장 진출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산은 경쟁하기 다소 힘든 부분이 있지만, 한류 소비층 공략과 부드러운  강조로 틈새시장을 확보하고 있다. 수제 맥주 브랜드는 개성 있는 라벨, 지역 한정 출시  감성 마케팅이 강점이다.

 

유통구조


중국 맥주시장의 유통구조는 매우 다양하며, 다단계 유통, 온라인 채널, 로컬 소매 유통  특징을 갖고 있다. 


<중국 맥주 시장 유통 구조>

유통단계

주요 참여자

역할

생산

국내 제조사(5대 선두업체, 지역 맥주업체), 수입업체, OEM 공장

제품 생산  포장일부는 자체 유통망 보유

총판/1 유통상

대형 도매상, 지역 대리점

전국 혹은 지역 단위 물류 관리

브랜드별 독점 계약 구조 존재

2 유통상

지방 도매상, 소도시 상인

도시별 소매처 연결 담당

마진은 10~20% 수준

소매 채널

대형마트(월마트 ), 음식점편의점(세븐일레븐 ), 주점

최종 소비자 접점채널 다양화 추세

전자상거래

징둥(京), 티몰(Tmall), 핀둬둬, 하마셴셩

직접배송(D2C), 온라인 전용 SKU 확대

[자료: 관옌톈샤(观研天下)]

 

중국 맥주 수입 관세율 및 인증


<중국 맥주(HS CODE 220300) 수입 관세>

최혜국 세율(MFN)

한중 FTA 세율

증치세

5%

5%

13%

[자료중국 세관총서]


수출업체  제조업체는 반드시 중국세관총서(GACC) 등록되어 있어야 하며제품 라벨에 등록번호 표기 필수. 라벨에는 중국어 정보(제품명원산지원재료알코올 도수유통기한, 제조사·수입자 정보 등) 포함해야 하며위생·원산지·자유판매증명서  주요 서류를 제출해야 또한 검사 절차(CIQ) 거쳐야 하며식품안전 표준(GB 기준승인 후에야 정식 통관  판매가 가능하다. 


한국 맥주 브랜드의 중국시장 유통 전략

 

현재 한국의 대기업  중소 맥주 브랜드들이 중국 시장에 진출하고 있으며, 이들의 유통 구조는 기업 규모와 전략에 따라 상이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대기업의 경우, 중국 법인 또는 글로벌 파트너를 통한 직수입  전국 유통망 기반의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중소기업은 중국 수입업체  틈새 유통 채널을 활용유연한 방식으로 진입하고 있다.

 

대기업

 

(자체 법인 설립형) 직접 설립한 중국 법인에서 수입해 주요 도시의 지역 총판  도매상과 협력해 제품을 공급한다. 빠르게 변화하는 유통시장에 대한 대응 속도와 전략적 유연성이 뛰어나며, 브랜드 일관성을 유지할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법인 설립  초기 투자 비용, 현지 인력의 운영  관리, 현지 법률  규제에 따른 리스크에 대한 사전 검토가 필요하다.

 

(모기업 유통망 활용형) 중국에 이미 진출한 모기업의 유통망, 물류 시스템, 판매 채널 등을 적극 활용하는 방식이다. 초기 투자 비용을 줄이면서 자회사 또는 단독 법인 설립 없이, 기존 인프라를 기반으로 빠르게 시장에 안착할  있는 장점 있다. 중국 현지 물류 시스템과 유통 채널을 공유하며, 중국 전역의 대형 마트, 편의점, 이커머스 플랫폼에 진출하고 있다.


중소기업

 

중국 시장에 진출한 한국 중소기업 맥주 브랜드는 수제맥주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차별화된 품질과 스토리텔링을 통해 프리미엄 소비층을 공략하고 있다. 

 

국내 수제맥주 브랜드 B사는 중국 인플루언서 마케팅과 중국 SNS 플랫폼을 활용한 유통 전략이 특징이다. 정식 총판 없이 한식당, 주류 전문점, SNS 기반 판매 채널 통해 제한적 공급이 이루어지며, 라이브 커머스·브랜드 스토리 콘텐츠 통한 브랜드 확산을 병행하고 있다.

 

중국  주류(酒類) 유통업계에 따르면, 한국 주류는 대체로 중국에 () 대리점을 두고 판매점과 식당 등에서 유통되고 있다. 주류는 경쟁이 치열하고 소비자가 브랜드를 인지하는 데에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장기적인 연구와 준비가 필요하며, 특히 맥주의 경우 유통 과정에서 신선도 유지가 중요하기 때문에 물류 체인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중국 맥주 시장 발전 추진 관련 정책


중국 중앙  지방정부는 설비 업데이트, 디지털 전환, 산업 클러스터 조성, 프리미엄화 전략, 문화형 소비 확대, 외국 투자 유치 등을 통해 맥주 산업의 고도화·고부가가치화 다각도로 추진하고 있다.


<중국 맥주 시장 발전 추진 관련 정책>

연도

정책/계획명

주요 내용

관련 부처

영향 요약

2021

14 5개년 식품산업 계획

(食品工业十四五”发展规划)

- 프리미엄, 무알코올

기능성 맥주 생산 확대

- 스마트 생산라인 구축 촉진
- 매출 2400 위안 목표

국가발전개혁위원회, 공업정보화부

맥주 산업 고급화·기술화 강화

2022

외국인 투자 장려 산업 목록 개정

(鼓励外商投资产业目录修订)

- 맥주 원료 가공·스마트 설비에 

외자 유치 장려

- 수입 설비 관세 감면 대상 확대

상무부

외국기업의 맥주 생산 설비 투자 유도

2024

맥주산업 특화 산업단지 확대

정책(扩大啤酒产业

特色产业园区政策)

- 수제맥주·관광 융합단지 조성 지원
- 지역축제(: 칭다오 맥주축제) 

연계한 소비 활성화

문화관광부

지방 정부

문화형 소비 촉진, 수제맥주 활성화

[자료: 첸짠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전망 및 시사점

 

앞으로 중국 맥주시장에서는 고가 맥주가 시장 확대의 핵심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에서 ·고가 제품의 소비 비율이 50% 초과한  시점에서, 프리미엄 맥주 수요는 앞으로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한국산 고품질 맥주의 수출 확대 가능성을 시사한다. 향후 중국의 고가 맥주시장은 해외 브랜드와 국내 브랜드 간의 각축장이 될 것으로 보인다. 지속적인 R&D를 통해 새로운 맥주 개발 및 독특한 포장이 선행된다면 해외 맥주의 점유율이 상승할 것으로 기대된다.

 

칭다오맥주의 마케팅 담당자는 "기존의 맥주 시장은 유통채널이 가장 중요했지만, 소비자의 취향이 다양해지면서 대규모 표준화된 생산 방식에서 벗어나 특정 계층의 개성을 반영한 제품을 타깃해 소량 생산하는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또한 물류와 맥주 저장기술의 발전은 점차 많은 맥주회사들이 지역적 한계를 넘어 전국적 판매를 가능케 하고 있다. 외자와 중국 현지 기업의 합병, 빅 브랜드와 지역별 소규모 브랜드의 합병 등도 이뤄지고 있어 향후 전체 시장의 집중도는 더욱 뚜렷해질 전망이다.

 

중국 맥주시장은 보급형 시장에도 특색 있는 로컬 브랜드가 많고, 소매가가 한국에 비해 낮아 중소 브랜드의 진입이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가격이 아닌, 스토리와 브랜드로 경쟁하는 고급 맥주 시장을 공략 필요가 있다. 중국은 지역별 백주(白酒) 브랜드가 유명하고,  백주에 얽힌 스토리로 마케팅을 한다. 한국의 우수 수제맥주가 자신만의 스토리로 마케팅한다면 성공할 가능성이 충분하다.


 

자료: 기린 홀딩스, 중국 국가통계국, 근책소비연구원, 첸짠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Wind, ChinaIRN(中研网), 타오바오(淘宝), 관옌톈샤(观研天下), MCR 컨설팅, 한국무역협회, 중국 세관총서, KOTRA 하얼빈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맥주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